본문내용
간 영혼의 심연을 파헤친 잔인한 천재”, “휴머니즘의 설법자”, “탁월한 정신병 학자”, “위대한 종교 사상가” 등으로 불림
소설에서 다양한 인물들의 운명을 통해 신과 인간, 종교, 자유, 사회, 민족 등에 관한 문제를 다룸
*투르게네프(1818~1883)
‘자연묘사의 대가’이자, 1840년대 귀족 출신 자유주의의 대표자
1860년대 혁명적 민주주의자의 진보 사상을 이해하려 노력한 점진적 개혁주의자
러시아 사회의 발전을 방해하고 농민의 삶을 비참하게 만든 농노제도의 폐지를 위해 노력한 서구파 지식인이자 작가
*톨스토이(1828~1910)
도덕윤리의 탐구가로서 프랑스 계몽사상, 특히 루소의 ‘자연주의’사상에 심취함
야스나야 폴랴냐에서 학교 건립, 교과서 저술 등을 통해 농민을 교육시키고 계몽하는 한편, 농민들과 함께 농사 지음
-러시아 역사와 민족 문제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장편 <전쟁과 평화>를 썼으며, 장편 <안나 카레니나>에서는 연애, 결혼, 가정문제 등을 다룸
1879년 그는 무저항 정신에 입각한 ‘톨스토이 주의’를 몸소 실천하며, 기독교적 계율에 따라 삶을 사는 성자의 길을 가려고 노력하다,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함
*체호프(1860~1904)
러시아 단편의 대가
유머 잡지 투고로 돈을 벌어 모스크바 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후 의료 활동 체험을 소재로 작품을 씀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듯 주변의 현실과 인생을 다양한 관점에서 철저히 관찰하고 조사 분석하여 모순에 가득 찬 러시아 현실을 묘사
기존의 전통 장르들을 패러디해 새롭게 창조
시베리아를 경유 해 사할린에 도착(1890년)하여 사할린 강제수용소의 상황을 조사해 <사할린 섬>을 씀
농민 구제 운동 참여 무료 진료 활동
[6주차 - 1교시] 20세기 러시아 문학 (1)
1. 러시아 모더니즘
모더니즘의 정의 : 문학, 음악, 미술 등 예술 전반의 현상을 포괄하는 \'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에서 탈피하려는 새로운 경향을 의미함
모더니즘 문학 : 러시아 모더니즘 운동에서 주도적 역할 ←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전통에 반기를 든 상징주의 시문학 운동에서 비롯됨
★18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러시아 상징주의
- 옛 사회 질서에 대한 절망, 진보 사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 도덕적 가치에 대한 불신을 드러냄
- 예술을 도덕과 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순수예술을 지향
2. 상징주의 시인들
<초기 상징주의 시인들>
① 메레지콥스키, 기피우스
- 러시아 문학의 전통을 부정
- 새로운 예술 원칙을 세우려 시도
② 발몬트, 브류소프, 솔로구프
- 시어의 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에 관심을 가짐
<후기 상징주의 시인들>
① 블록, 벨르이, 이바노프
- 상징을 통해 우주관이나 세계관을 전개하려는 예술관을 세우려 함
3. 아크메이즘
아크메이즘의 정의
: \'정상\'이나 \'개화\'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크메\'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1912년경 러시아 상징주의의 여러 경향 중 신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발생한 예술지상주의와 개인주의를 말함
<아크메이스트>
구밀료프, 아흐마토바, 말델스탐
- 초이성적 신비를 부정
- 현실과 푸시킨 인생을 긍정하면서 사실주의의 부활을 주장함
4. 미래주의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상징주의가 쇠퇴
↓
아크메이즘과 함께 미래주의 상징주의를 대신
<미래파 시인들>
흘레브니코프, 마야콥스키, 파스테르나크
- 기존의 권위를 부정하면서 무정부적 지식인의 반항적 기분을 표현함
5. 신사실주의
신사실주의(1910년대에 출현한 새로운 산문 경향) :
전통적인 사실주의, 즉 비판적 사실주의의 부활, 비판적 사실주의와 상징주의를 절충한 양식
<신사실주의 작가들>
쿠프린, 부닌, 안드레예프, 레미조프, 고리키
- 구사실주의 문학에서 묘사하지 않은 사회 계층과 삶을 묘사하기 시작
- 사회주의 리얼리즘(사실주의)의 토대를 마련
6. 신사실주의 작가_부닌
부닌 (1870~ 1953)
- 자전 소설 <아르세니예프의 생애>로 1933년에 러시아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
-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지주 귀족 계급의 급속한 몰락 과정과 농민의 무지와 빈곤, 과거에 대한 향수와 비애, 고독, 불안, 절망을 묘사함
☆ 부닌의 주요작품
[마을], [센프란시스코에서 온 신사]
7. 신사실주의 작가_고리키
고리키 (1868 - 1936) : 신사실주의 작가이자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아버지\',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로 불림
니즈니 노브고로트 시(구 고리키 시)에서 어렸을 때 부모 잃음
↓
11살 때부터 심부름꾼, 접시딱이, 부두노농자 등 여러 가지 작업을 전전하면서 러시아 전국을 떠돌며 하층 계급 노동자들의 어려운 삶을 체험함
② 젊은 시절에 나로드니키(인민주의 혁명가)파 학생들과 교류
↓
이때 그들의 영향을 받아 혁명운동에 참여함
8. 신사실주의 작가_고리키의 작품
고리키는 자신의 체험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
초기 작품 : 부랑자들의 삶을 그림
- 자본주의에서 발생하는 소시민 근성의 문제
- 자본주의적 착취의 비인간성
→날카롭게 비판하고
① 밑바닥 생활자들의 권리 보호 투쟁의 필요성을 강조
② 더 나은 미래의 삶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 주려 노력
<노동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사회주의 이상의 성취
→새로운 사회 발전에 봉사하고 헌신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창조함
☆고리키의 주요작품
[인간], 희곡 [밑바닥에서], 장편 [어머니],[클림 삼긴의 생애] 등
9. 1917년 혁명과 내전
\'1917년 10월 혁명 후\' 많은 작가와 시인들(부닌, 메레지콥스키, 쿠프린, 안드레예프, 알렉세이 톨스토이, 츠베타예바, 이바노프 등) → 외국으로 망명하거나 내전 시 백군에 가담함
브류소프 등 소수의 작가 → 볼셰비키 정권에 참여
고리키를 중심으로 한 문인들 → 다소 비판적인 입장
아흐마토바 등 → 러시아에 남아 힘들게 삶
\'내전이 끝난 후\'
- 러시아 문학은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었음
-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작가 협회\'(라프: 1925~1932)와 \'예술 좌익 전설\'(레프: 1923~1930)등 문학 단체 출현
10. 망명작가와 형식주의
\'1910년대 중반 ~ 1920년대 말\'
<형식주의자들>
야콥슨, 토마
소설에서 다양한 인물들의 운명을 통해 신과 인간, 종교, 자유, 사회, 민족 등에 관한 문제를 다룸
*투르게네프(1818~1883)
‘자연묘사의 대가’이자, 1840년대 귀족 출신 자유주의의 대표자
1860년대 혁명적 민주주의자의 진보 사상을 이해하려 노력한 점진적 개혁주의자
러시아 사회의 발전을 방해하고 농민의 삶을 비참하게 만든 농노제도의 폐지를 위해 노력한 서구파 지식인이자 작가
*톨스토이(1828~1910)
도덕윤리의 탐구가로서 프랑스 계몽사상, 특히 루소의 ‘자연주의’사상에 심취함
야스나야 폴랴냐에서 학교 건립, 교과서 저술 등을 통해 농민을 교육시키고 계몽하는 한편, 농민들과 함께 농사 지음
-러시아 역사와 민족 문제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장편 <전쟁과 평화>를 썼으며, 장편 <안나 카레니나>에서는 연애, 결혼, 가정문제 등을 다룸
1879년 그는 무저항 정신에 입각한 ‘톨스토이 주의’를 몸소 실천하며, 기독교적 계율에 따라 삶을 사는 성자의 길을 가려고 노력하다,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함
*체호프(1860~1904)
러시아 단편의 대가
유머 잡지 투고로 돈을 벌어 모스크바 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후 의료 활동 체험을 소재로 작품을 씀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듯 주변의 현실과 인생을 다양한 관점에서 철저히 관찰하고 조사 분석하여 모순에 가득 찬 러시아 현실을 묘사
기존의 전통 장르들을 패러디해 새롭게 창조
시베리아를 경유 해 사할린에 도착(1890년)하여 사할린 강제수용소의 상황을 조사해 <사할린 섬>을 씀
농민 구제 운동 참여 무료 진료 활동
[6주차 - 1교시] 20세기 러시아 문학 (1)
1. 러시아 모더니즘
모더니즘의 정의 : 문학, 음악, 미술 등 예술 전반의 현상을 포괄하는 \'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에서 탈피하려는 새로운 경향을 의미함
모더니즘 문학 : 러시아 모더니즘 운동에서 주도적 역할 ←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전통에 반기를 든 상징주의 시문학 운동에서 비롯됨
★18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러시아 상징주의
- 옛 사회 질서에 대한 절망, 진보 사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 도덕적 가치에 대한 불신을 드러냄
- 예술을 도덕과 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순수예술을 지향
2. 상징주의 시인들
<초기 상징주의 시인들>
① 메레지콥스키, 기피우스
- 러시아 문학의 전통을 부정
- 새로운 예술 원칙을 세우려 시도
② 발몬트, 브류소프, 솔로구프
- 시어의 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에 관심을 가짐
<후기 상징주의 시인들>
① 블록, 벨르이, 이바노프
- 상징을 통해 우주관이나 세계관을 전개하려는 예술관을 세우려 함
3. 아크메이즘
아크메이즘의 정의
: \'정상\'이나 \'개화\'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크메\'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1912년경 러시아 상징주의의 여러 경향 중 신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발생한 예술지상주의와 개인주의를 말함
<아크메이스트>
구밀료프, 아흐마토바, 말델스탐
- 초이성적 신비를 부정
- 현실과 푸시킨 인생을 긍정하면서 사실주의의 부활을 주장함
4. 미래주의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상징주의가 쇠퇴
↓
아크메이즘과 함께 미래주의 상징주의를 대신
<미래파 시인들>
흘레브니코프, 마야콥스키, 파스테르나크
- 기존의 권위를 부정하면서 무정부적 지식인의 반항적 기분을 표현함
5. 신사실주의
신사실주의(1910년대에 출현한 새로운 산문 경향) :
전통적인 사실주의, 즉 비판적 사실주의의 부활, 비판적 사실주의와 상징주의를 절충한 양식
<신사실주의 작가들>
쿠프린, 부닌, 안드레예프, 레미조프, 고리키
- 구사실주의 문학에서 묘사하지 않은 사회 계층과 삶을 묘사하기 시작
- 사회주의 리얼리즘(사실주의)의 토대를 마련
6. 신사실주의 작가_부닌
부닌 (1870~ 1953)
- 자전 소설 <아르세니예프의 생애>로 1933년에 러시아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
-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지주 귀족 계급의 급속한 몰락 과정과 농민의 무지와 빈곤, 과거에 대한 향수와 비애, 고독, 불안, 절망을 묘사함
☆ 부닌의 주요작품
[마을], [센프란시스코에서 온 신사]
7. 신사실주의 작가_고리키
고리키 (1868 - 1936) : 신사실주의 작가이자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아버지\',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로 불림
니즈니 노브고로트 시(구 고리키 시)에서 어렸을 때 부모 잃음
↓
11살 때부터 심부름꾼, 접시딱이, 부두노농자 등 여러 가지 작업을 전전하면서 러시아 전국을 떠돌며 하층 계급 노동자들의 어려운 삶을 체험함
② 젊은 시절에 나로드니키(인민주의 혁명가)파 학생들과 교류
↓
이때 그들의 영향을 받아 혁명운동에 참여함
8. 신사실주의 작가_고리키의 작품
고리키는 자신의 체험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
초기 작품 : 부랑자들의 삶을 그림
- 자본주의에서 발생하는 소시민 근성의 문제
- 자본주의적 착취의 비인간성
→날카롭게 비판하고
① 밑바닥 생활자들의 권리 보호 투쟁의 필요성을 강조
② 더 나은 미래의 삶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 주려 노력
<노동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사회주의 이상의 성취
→새로운 사회 발전에 봉사하고 헌신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창조함
☆고리키의 주요작품
[인간], 희곡 [밑바닥에서], 장편 [어머니],[클림 삼긴의 생애] 등
9. 1917년 혁명과 내전
\'1917년 10월 혁명 후\' 많은 작가와 시인들(부닌, 메레지콥스키, 쿠프린, 안드레예프, 알렉세이 톨스토이, 츠베타예바, 이바노프 등) → 외국으로 망명하거나 내전 시 백군에 가담함
브류소프 등 소수의 작가 → 볼셰비키 정권에 참여
고리키를 중심으로 한 문인들 → 다소 비판적인 입장
아흐마토바 등 → 러시아에 남아 힘들게 삶
\'내전이 끝난 후\'
- 러시아 문학은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었음
-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작가 협회\'(라프: 1925~1932)와 \'예술 좌익 전설\'(레프: 1923~1930)등 문학 단체 출현
10. 망명작가와 형식주의
\'1910년대 중반 ~ 1920년대 말\'
<형식주의자들>
야콥슨, 토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