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 머리말
이. 사건의 내용과 판결이유
【평 석】
일. 논 점
이. 사실혼관계에 있는 자가 제삼자와 혼인신고를 한 경우의 그 효력
삼. 사실상혼인관계존재확인청구소송이 승소로 확정된 경우의 그 효력
이. 사건의 내용과 판결이유
【평 석】
일. 논 점
이. 사실혼관계에 있는 자가 제삼자와 혼인신고를 한 경우의 그 효력
삼. 사실상혼인관계존재확인청구소송이 승소로 확정된 경우의 그 효력
본문내용
그 혼인이 유효하게 성립할 수 있는 근거는 그 혼인이 사실상혼인관계존재확인의 재판이 확정됨으로써 혼인이 법적으로 성립한 데에 있는 것이다. 즉, 법원이 당사자쌍방이 부부로서 혼인의사를 가지고 있다고 인정함으로써 혼인이 훌륭히 성립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을 당사자의 일방으로 하여금 신고하게 한 것은, 호적법에 그 사실을 기재하기 위한 데 불과한 것이다.
_ 더우기나 호적법 제칠육조의이의 규정에 신고기간이 규정되어 있는 것은 그러한 혼인신고가 보고적 신고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해주는 것이다. 만약 대법원판결의 판시와 같이, 그 혼인신고가 일반적 혼인신고와 마찬가지로 창설적 혼인신고라면 신고기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할 수도 없다. 아니 호적법 제칠육조의이 자체의 규정이 부필요할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혼인신고에 관한 규정으로 충분할 것이기 때문이다(민법 제팔일이조, 호적법 제칠육조 참조).
_ 이와 같은 견해에 입각한다면, 본건에 있어서는 중혼상태가 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피청구인 Y₁과 피청구인 Y₂가 한 혼인신고가 앞서 있으므로, 그것은 유효한 혼인신고가 되고 그 사실을 알지 못하고 한 대판원판결에 의하여 인정된 청구인과 피청구인 Y₁과의 혼인관계는 후에 성립한 혼인이므로 인한 취소사유가 되는 것이다(민법 제팔일육조).
_ 결과적으로, 청구인이 피청구인 Y₁에 대한 사실혼인관계존재확인의 재판에서 승소하였지만, 그 때에는 이미 소용 없는 헛수고를 했던 것이다.
_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이미 본 바와 같이 이 사실혼인관계존재확인제도가 실효성이 있기 위해서는 혼인금지가처분이 인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_ 더우기나 호적법 제칠육조의이의 규정에 신고기간이 규정되어 있는 것은 그러한 혼인신고가 보고적 신고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해주는 것이다. 만약 대법원판결의 판시와 같이, 그 혼인신고가 일반적 혼인신고와 마찬가지로 창설적 혼인신고라면 신고기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할 수도 없다. 아니 호적법 제칠육조의이 자체의 규정이 부필요할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혼인신고에 관한 규정으로 충분할 것이기 때문이다(민법 제팔일이조, 호적법 제칠육조 참조).
_ 이와 같은 견해에 입각한다면, 본건에 있어서는 중혼상태가 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피청구인 Y₁과 피청구인 Y₂가 한 혼인신고가 앞서 있으므로, 그것은 유효한 혼인신고가 되고 그 사실을 알지 못하고 한 대판원판결에 의하여 인정된 청구인과 피청구인 Y₁과의 혼인관계는 후에 성립한 혼인이므로 인한 취소사유가 되는 것이다(민법 제팔일육조).
_ 결과적으로, 청구인이 피청구인 Y₁에 대한 사실혼인관계존재확인의 재판에서 승소하였지만, 그 때에는 이미 소용 없는 헛수고를 했던 것이다.
_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이미 본 바와 같이 이 사실혼인관계존재확인제도가 실효성이 있기 위해서는 혼인금지가처분이 인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혼외성관계와 결혼
성문화 - 혼전성관계
결혼의 성립. 사실혼. 국제 결혼, 동성결혼, 개정된 가족법
신화에서 보여지는 남자와 여자의 관계와 부자(父子) 관계 중심
친권관계
성인기·중년기 정신건강 파워포인트 PPT(성인기결혼,직장,혼전관계 중년기우울증,가족,직장,...
성인기·중년기 정신건강 보고서(성인기결혼,직장,혼전관계 중년기우울증,가족,직장,혼외관계)
[계약][계약 특징][계약 기능][계약 성립][계약 효력][계약전 조치사항][계약시 확인사항][계...
친족관계를 보는 관점) 친족관계의 범위, 가족의 사회관계망으로서 친족
[가족관계] 고부갈등, 고부관계에 대해서
[의식변화][영문학][18세기][영국][노사관계][지식사회][의식][의식구조][의식세계][공동체의...
현대사회 가치변화로 가족관계 변화에 따른 장점, 단점,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응방안
혼전성관계,혼전성관계의 유형,혼전성관계 찬반론,사회적성문제,대학생성문화,혼전임신
A(30세, 남성)와 B(30세, 여성)는 같은 직장에 다니는 근로자이다. A와 B의 생활에 관련한 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