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기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natomy
<thyoid>
<breast>
<stomach>
<liver>
<gall bladder>
<colon>

본문내용

빨라짐, 혈압상승
심장 박동이 느려짐
위장관
설사
변비
비뇨기
월경량 감소, 무월경
월경이상 , 월경과다
피부
따뜻하고, 발그레하며 수분이 많은 피부
거칠고, 차가우며 건조한 피부
신경, 근육
피로, 몸이 떨림, 근력의 약화
근육통, 근쇠약감
감정
신경예민, 집중을 못하며, 불안 불면증
우울해지며, 정신집중을 못하며, 계속 자고 싶음

-유방의 구조
초경이 이어지기 전에 바육하기 시작하여 사춘기를 지나면서 뚜렷한 성장을 하여 차 성징을 나타낸다. 유방의 발육에는 여성의 성장에 따라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k
는 여성호르몬이 영향을 미친다. 임신과 수유을 거치면서 젖샘이 완전히 발달한다.
<유방의 구조와 기능>
조 직
형 태 / 기 능
유두
흔히 말하는 젖꼭지로 양쪽 유방의 중앙에 있으며 모유가 나옵니다.
유두는 대개 4번째 갈비뼈 부근, 즉 젖의 중간 부위 약간 아래에 위치하며 약간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데 젖꼭지를 통해서 약 15-25개의 젖관 구멍이 나있습니다.
유두에는 땀샘이 존재하므로 청결하지 않으면 배꼽과 같이 곱이끼고 냄새가 나기도하며, 특히 함몰유두(구시젖)에서는 더욱 심합니다.
유두에는 털이 나지 않습니다.
유륜
젖꽃판이라고도 하며 유두주위에서 유방과 구별되는 색을 뛰며 유두를 둘러싼 피부입니다.일종의 젖물림판 역할을 하며 지름이 작게는 1.5cm정도, 크게는 6cm에 이르기도 합니다.
유관
젖관이라고도 하며 관모양을 하고 있고 유선에서 생산된 모유가 유두로 이동하는 통로입니다.
대단위 젖샘으로부터 각각 독립된 젖분비관이 나오게 되며 이들이 젖꼭지에 있는 각자의 구멍으로 통하게 됨으로 젖꼭지에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15-25개의 구멍이 있습니다.
대단위 젖관은 직경이 약 2mm 정도의 아주 미세한 관이지만 젖꼭지 바로 밑에서는 5-8mm 정도로 넓어지게 됩니다. 바로 이 부분이 젖관의 팽대부(彭大部, lactiferous sinus)인데 분비된 젖이 일시적으로 고여 있다가 아기가 젖을 물면 젖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장치로 볼 수 있습니다.
유선
젖샘으로 유방 한쪽에 약 15~20개 정도 있으며 유방에 골고루 분포하며 모유를 생산 합니다.
유선조직은 기본적으로 젖을 생산하는 꽈리샘과 생산된 젖이 분비되는 젖관으로 되어 있습니다.
젖샘꽈리가 수십개 또는 백개 정도 모여서 중간단위의 소엽(lobule,小葉)을 이루고, 다시 이들 소엽이 20-40개 모여서 이제는 약 15-25개의 대단위 젖샘을 이룹니다.
지방조직
유방의 전체에 분포합니다.지방조직이 부드러움을 갖게 합니다.
섬유조직
유방의 둘레를 싸고 있으며 유방의 형태를 유지 시켜주며 유방이 탄력을 갖게 합니다.
가슴근육
가슴의 모양을 유지하고 어깨,팔운동이 가능하게 합니다.
유방뒤쪽 지방조직
흉근막과 유방을 분리하여 줍니다.

위는 섭취된 음식이 저장되고 위액과 섞이는 소화기관으로 소화효소와 위액이 분비되며 여동운동에 의하여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넘어가게 된다
위의 경계는 오른위쪽에 있는 함몰된 소만과 왼아래쪽을 구성하는 돌출된 대만으로 구성되고 두 경계는 식도와 연접되는 분문부에서 만나게 된다.
-위의 구조
질기고 튼튼한 3층의 근육으로 연동운동 작용
분문부(cardiac gland)-위점막을 보호하는 점액 분비
위저선(fundic gland)-펩신 및 염산을 분비하는 곳으로 펩신은 주세포에서
염산은 벽세포에서 분비
유문선(pyloric gland)-위저선의 벽세포를 자극하여 염산 분비를 촉진하는 gastrin분비
-위장의 기능
기계적 분절작용. 화학적 분해작용
자기 방어작용

간의 구조
간은 우리 몸 중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는 약 1200-1500g 즉,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2%를 차지한다.
우측 횡격막 아래 위치한 간은 거의 늑골(갈비뼈) 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간은 적갈색을 띄고 있으며 심장에서 박출하는 혈액의 25%에 해당하는 약 1.45L 의 혈액을 공급받고 있다.
간은 외형적으로는 1개의 장기로 되어 있으나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좌엽 (left lobe)과 우엽(right lobe)으로 구분되어 있다. 사람의 간은 참깨만한 크기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를 구성하고 있는 약 5 -10만개의 간소엽(liver lobule)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혈액공급: 간동맥(1/3), 문맥(2/3)
--대부분의 혈액이 정맥혈이어서 산소공급이 적은편
--간에 혈액공급이 약간 감소되면 hypoxia되기 쉬움
간의 기능
(1) 담즙 생성
알칼리성의 진한 황녹색인 담즙 (bile juice)을 생성 ,담즙은 지방의 흡수를 돕습니 다. 담즙이 부족하게 되면 비타민 A, D, E, K 같은 지용성 비타민 흡수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2) 면역기능 및 해독작용
간의 쿠퍼(Kupffer) 세포는 혈액으로부터 유입된 세균을 제거하는 탐식작용을 한 다. 따라서 장내세균이 혈액속에 들어오게 되는 경우 쿠퍼(Kupffer) 세포는 감염에 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3) 단백질 대사기능
(4) 포도당 대사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바꾸어 간에 저장하였다가 혈액의 포도당 농도가 어느 정 도 낮아지면 글루코겐을 다시 글루코즈로 전환함으로써 혈당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간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혈당조절이 불안정하여 갑자기 저혈 당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5) 지방대사
탄수화물 및 단백질을 지방으로 전환시킨다.
(6) 혈액응고 관여
우리 몸은 출혈이 생길 경우 지혈을 시키려고 하는 물질들이 있는데 간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혈액 응고에 관련된 물질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간에 장애가 있 는 경우 이러한 혈액 응고 기전에 장애가 생겨 잇몸 출혈이나 멍이 쉽게 드는 경 향이 있다.
(7) 비타민 및 철분 저장
비타민 A, D, B 복합체 등을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저장하며, 혈색소내에 저장된 철분을 제외하고 인체의 대부분의 철분은 간에 페리틴이라 불리는 형태로 저장된 다.
(8) 호르몬 균형유지
간에서 화학작용으로 변화되거나 배출되며, 갑상선 호르몬 , 에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5.27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