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데이터 전송의 정의

2.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

3. 데이터 전송 방식

4.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

5.비동기식 전송과 동기식 전송

6.아날로그/디지털 데이터 전송

7.통신망 기술

본문내용

단말장치의 연결 모습이 이웃하는 것끼리만 연결
지점간(point-to-point)vs. 멀티포인트(multipoint)
데이타 링크의 회선 구성 형태는 링크를 구성하는 스테이션의 물리적인 배열에 따라 서 달라집니다. 지점간(point-to-point) 회선은 두 스테이션을 직접 연결하는 형태를 말하 며, 멀티포인트(multipoint)회선은 한개의 회선에 여러 개의 스테이션이 연결되는 형태를 말합니다.
멀티포인트 회선은 전통적으로 컴퓨터(주스테이션)와 여러 개의 단말기(부스테이션)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말기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지점간 회선 형태를 사용 하려면, 컴퓨터는 단말기 개수만큼의 입출력 포트(port)와 전송 회선을 갖추고 있어야합 니다. 하지만 멀티포인트 회선 형태를 사용하면 하나의 입출력 포트와 전송회선만 있으면 되므로 하드웨어 비용과 회선 구성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회선 이용방식은 데이타의 전송 방향과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가지로 나눌 수 있 습니다.
3)전송량의 단위
Neper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송 단위. 송단의 전류를 I1, 수단의 전류를 I2라고 할 때 =logeI1/I2(N)이며, dB와의 관계는 1N=8.686dB, 1dB=0.115N이다.
dBm(절대 레벨)
dBm이란, mW 단위의 전력을 dB 스케일로 나타낸 단위 를 의미합니다. 상용화된 RF에서는 작은 전력을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W단위가 아닌 보통 mW단위의 전력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기준의 간편함을 위하여 mW를 기준으로 만든 dB전력값을 dBm이라 부르는 것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5.28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