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제 1장 원시 사회와 고조선
제 2장 삼국
제 3장 통일 신라와 발해
제 4장 고려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 5장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
제 6장 조선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 7장 조선전기의 변화
제 8장 조선후기 경제와 사회의 변동
제 9장 사회모순의 심화와 농민의 저항
제 10장 개항과 개혁운동
제 11장 대한제국기 열강의 침략과 저항
제 12장 을사조약과 국권회복 운동
제 13장 한일합병과 일제의 무단통치
제 14장 일제의 문화정치와 해방운동
제 15장 일제의 전시체제와 항일 투쟁
제 16장 해방과 분단
제 17장 분단체제의 고착
제 18장 군사독재정권과 경제개발
제 19장 5·6공화국의 등장
제 20장 북한사회의 변화
제 2장 삼국
제 3장 통일 신라와 발해
제 4장 고려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 5장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
제 6장 조선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 7장 조선전기의 변화
제 8장 조선후기 경제와 사회의 변동
제 9장 사회모순의 심화와 농민의 저항
제 10장 개항과 개혁운동
제 11장 대한제국기 열강의 침략과 저항
제 12장 을사조약과 국권회복 운동
제 13장 한일합병과 일제의 무단통치
제 14장 일제의 문화정치와 해방운동
제 15장 일제의 전시체제와 항일 투쟁
제 16장 해방과 분단
제 17장 분단체제의 고착
제 18장 군사독재정권과 경제개발
제 19장 5·6공화국의 등장
제 20장 북한사회의 변화
본문내용
는 무상으로 제공, 1957년부터는 유상차관으로 바뀜
· 원조 물자는 소비재 및 소비재 산업의 원료가 대부분
- 삼백(三白)공업이 주도 (섬유. 제당. 제분)
· 잉여농산물의 원조 : 한국의 식량문제 해결에 도움
· 원조경제의 영향 : 경제적으로 미국에 종속. 경제체제를 대외 의존적으로 만듬.
자립적인 민족경제형성 저해
4. 4월 혁명
1) 배경
(1) 경제위기의 심화 : 미국이 경제원조를 바꾸면서 195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경제 악화, 불황에 빠짐
(2) 야당과 국민탄압 : 국가보안법 개정. 지방자치법 개정
(자치단체장을 선거제에서 임명제로 바꿈) 반정부적인 경향신문 폐간
(3) 3·15부정선거 : 1960년 제 4대 정·부통령 선거의 부정…기권표 조작. 4할 사전투표. 공개투표. 완장부대 동원
2) 전개
· 1960년 3월 15일 :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시위
· 4월 11일 : 김주열의 시체 발견 - 시위의 전국 확산
· 4월 19일 : 시위의 절정. 경무대로 향하는 시위대에게 발포
- 대규모 반정부 운동으로 발전
· 4월 25일 : 교수들의 시국선언. 시위참여
· 4월 27일 : 이승만 하야 - 하와이 망명
(6월. 내각책임제 개헌→7·29총선<민주당 압승>→제 2공화국 탄생<장면 국무총리>)
3) 의의
(1) 학생들이 주도한 혁명
(2) 억눌렸던 민중들의 요구가 분출되는 계기
(3) 민주주의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 - 민주주의와 민족통일 지향
(4) 5·16 군사 쿠테타로 미완(未完)의 혁명이 됨
제 18장 군사독재정권과 경제개발
1. 5·16군사 쿠테타
1) 쿠테타의 발발
·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등의 군인들이 군사 쿠테타 일으킴 - 군정 실시
· 1963년 5대 대통령 당선 - 제 3공화국 출범 - 군사정부시대 개막
2) 3선 개헌
· 1967년 10월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3선 개헌을 강행
(국회별관에서 날치기 통과)
· 야당과 학생들이 반대투쟁을 벌였으나 개헌을 저지하지 못함
2. 경제개발정책
1) 1, 2차 경제개발
·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66) : 자립경제의 구축이 목표
· 제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71) : 식량자급과 수출증대. 철강과 화학공업의 기계화에 역점
· 자본의 부족을 메꾸기 위하여 외자도입(외국의 원조와 차관) 정책추진
- 외국자본 의존도 높아짐
· 수출지향정책 채택 - 수출을 통한 산업화 추진 - 정경유착의 폐단 심화
3. 유신체제
1) 유신체제의 등장
(1) 등장의 배경
· 미국의 긴장완화정책 : 미소 냉전체제 완화.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닉슨 독트린)
· 남북화해 정책 : 8·15선언. 이산가족 찾기운동. 남북적십자회담. 7·4남북공동성명
(7·4 남북공동성명 : 자주·평화·민족대단결)
· 박정희의 강권(독재)정치 :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
- 집회. 시위. 단체행동권 금지
(2) 10월 유신(維新) (1972년 10월 17일)
· 유신의 선포 : 비상계엄선포. 국회해산. 정당의 정치활동 금지 한 후 유신을 선포
· 유신의 성격 : 박정희가 정권을 계속 장악하려고 일으킨 궁정 쿠테타
· 유신의 명분 : 한국적 민주주의 실현. 평화통일을 위한 강력한 영도력
2) 유신헌법의 내용
· 대통령 임기 6년으로 연장. 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 박정희의 영구집권 기도
· 대통령 선거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에 의한 간접 선거
· 대통령의 막강한 권한 : 국회의원 ⅓추천권. 국회 해산권. 대법관 임명권
3) 유신체제의 붕괴
(1) 배경
· 야당의 우위 - 반(反)유신 공세 강화
· 박정권에 불만 고조 - 경기침체·물가 폭등.
· YH 무역회사 노동자에 대한 탄압
· 부마항쟁 :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체제 반대 시위
- 정부는 위수령을 내리고 군병력 투입
(2) 붕괴 :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를 저격함으로써
유신체제 붕괴
제 19장 5·6공화국의 등장
1. 신군부의 등장과 광주민중항쟁
1) 서울의 봄
· 1980년 봄 : 유신철폐와 민주화 요구 분출
· 민주화세력(재야와 정치세력)은 김영삼·김대중을 중심으로 분열
· 12·12쿠테타 : 전두환 등 신군부세력이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제거하고 권력장악
2) 광주민중항쟁
· 정부에서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선포지역을 전국으로 확대 - 김대중 등 구속
· 5월 18일 광주의 전남대 학생들이 항의 시작 - 시내 전역으로 항쟁 확산
· 의의 : 반 독재 민주화운동의 연장. 한국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
신군부의 폭력성과 반민주성 폭력.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
미국에 대한 인식의 전환
3) 제 5공화국의 등장
· 1981년 2월 전두환을 대통령으로 하여 출범
4) 제 6공화국의 등장
· 1988년 2월 노태우를 대통령으로 하여 출범
2. 6월 민주항쟁 (1987년)
1) 배경 : 개헌문제의 표면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민주화에 대한 열망
2) 전개 : 민주화세력은 직선제 개헌. 정권타도 주장 (전두환 정권은 4·13 호헌조치 발표)
· 6월 10일 민주항쟁 절정
3) 결과 : 6·29선언을 이끌어 내어 직선제 개헌을 관철시킴
제 20장 북한사회의 변화
· 농업협동화 운동 : 1954년부터 시작. 토지를 통합하여 공동경영하고 생산물의 분배는 노동의 양에 따라 하는 완전한 사회주의 체제 지향
· 8월 종파사건 : 1956년∼58년. 김일성 개인 숭배를 비판하고 집단지도체제의 도입을
주장한 연안파 (김두봉·무정·최창익). 소련파. 국내파들이 숙청됨
- 김일성 유일사상 지도체계 확립
· 3대 혁명운동 : 1960년대. 사상·기술·문화 혁명 추진. 천리마운동. 청산리 방법.
대안의 사업체계에 의해 진행
· 주체사상 : 역사발전의 동력을 인간의 의식, 즉 자주성·창조성·의식성에서 찾는 사상 (1970년대에 정립) - 독창적인 사상으로 체계화(마르크스 레닌주의와 차이). 김일성 유일사상체계(북한의 유일한 지도이념).
김정일이 주체사상을 이론적으로 정립시키면서 후계자로 떠오름.
· 합영법 : 1984년 제정.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제도. (외국인 투자부진)
· 원조 물자는 소비재 및 소비재 산업의 원료가 대부분
- 삼백(三白)공업이 주도 (섬유. 제당. 제분)
· 잉여농산물의 원조 : 한국의 식량문제 해결에 도움
· 원조경제의 영향 : 경제적으로 미국에 종속. 경제체제를 대외 의존적으로 만듬.
자립적인 민족경제형성 저해
4. 4월 혁명
1) 배경
(1) 경제위기의 심화 : 미국이 경제원조를 바꾸면서 195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경제 악화, 불황에 빠짐
(2) 야당과 국민탄압 : 국가보안법 개정. 지방자치법 개정
(자치단체장을 선거제에서 임명제로 바꿈) 반정부적인 경향신문 폐간
(3) 3·15부정선거 : 1960년 제 4대 정·부통령 선거의 부정…기권표 조작. 4할 사전투표. 공개투표. 완장부대 동원
2) 전개
· 1960년 3월 15일 :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시위
· 4월 11일 : 김주열의 시체 발견 - 시위의 전국 확산
· 4월 19일 : 시위의 절정. 경무대로 향하는 시위대에게 발포
- 대규모 반정부 운동으로 발전
· 4월 25일 : 교수들의 시국선언. 시위참여
· 4월 27일 : 이승만 하야 - 하와이 망명
(6월. 내각책임제 개헌→7·29총선<민주당 압승>→제 2공화국 탄생<장면 국무총리>)
3) 의의
(1) 학생들이 주도한 혁명
(2) 억눌렸던 민중들의 요구가 분출되는 계기
(3) 민주주의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 - 민주주의와 민족통일 지향
(4) 5·16 군사 쿠테타로 미완(未完)의 혁명이 됨
제 18장 군사독재정권과 경제개발
1. 5·16군사 쿠테타
1) 쿠테타의 발발
·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등의 군인들이 군사 쿠테타 일으킴 - 군정 실시
· 1963년 5대 대통령 당선 - 제 3공화국 출범 - 군사정부시대 개막
2) 3선 개헌
· 1967년 10월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3선 개헌을 강행
(국회별관에서 날치기 통과)
· 야당과 학생들이 반대투쟁을 벌였으나 개헌을 저지하지 못함
2. 경제개발정책
1) 1, 2차 경제개발
·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66) : 자립경제의 구축이 목표
· 제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71) : 식량자급과 수출증대. 철강과 화학공업의 기계화에 역점
· 자본의 부족을 메꾸기 위하여 외자도입(외국의 원조와 차관) 정책추진
- 외국자본 의존도 높아짐
· 수출지향정책 채택 - 수출을 통한 산업화 추진 - 정경유착의 폐단 심화
3. 유신체제
1) 유신체제의 등장
(1) 등장의 배경
· 미국의 긴장완화정책 : 미소 냉전체제 완화.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닉슨 독트린)
· 남북화해 정책 : 8·15선언. 이산가족 찾기운동. 남북적십자회담. 7·4남북공동성명
(7·4 남북공동성명 : 자주·평화·민족대단결)
· 박정희의 강권(독재)정치 :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
- 집회. 시위. 단체행동권 금지
(2) 10월 유신(維新) (1972년 10월 17일)
· 유신의 선포 : 비상계엄선포. 국회해산. 정당의 정치활동 금지 한 후 유신을 선포
· 유신의 성격 : 박정희가 정권을 계속 장악하려고 일으킨 궁정 쿠테타
· 유신의 명분 : 한국적 민주주의 실현. 평화통일을 위한 강력한 영도력
2) 유신헌법의 내용
· 대통령 임기 6년으로 연장. 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 박정희의 영구집권 기도
· 대통령 선거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에 의한 간접 선거
· 대통령의 막강한 권한 : 국회의원 ⅓추천권. 국회 해산권. 대법관 임명권
3) 유신체제의 붕괴
(1) 배경
· 야당의 우위 - 반(反)유신 공세 강화
· 박정권에 불만 고조 - 경기침체·물가 폭등.
· YH 무역회사 노동자에 대한 탄압
· 부마항쟁 :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체제 반대 시위
- 정부는 위수령을 내리고 군병력 투입
(2) 붕괴 :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를 저격함으로써
유신체제 붕괴
제 19장 5·6공화국의 등장
1. 신군부의 등장과 광주민중항쟁
1) 서울의 봄
· 1980년 봄 : 유신철폐와 민주화 요구 분출
· 민주화세력(재야와 정치세력)은 김영삼·김대중을 중심으로 분열
· 12·12쿠테타 : 전두환 등 신군부세력이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제거하고 권력장악
2) 광주민중항쟁
· 정부에서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선포지역을 전국으로 확대 - 김대중 등 구속
· 5월 18일 광주의 전남대 학생들이 항의 시작 - 시내 전역으로 항쟁 확산
· 의의 : 반 독재 민주화운동의 연장. 한국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
신군부의 폭력성과 반민주성 폭력.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
미국에 대한 인식의 전환
3) 제 5공화국의 등장
· 1981년 2월 전두환을 대통령으로 하여 출범
4) 제 6공화국의 등장
· 1988년 2월 노태우를 대통령으로 하여 출범
2. 6월 민주항쟁 (1987년)
1) 배경 : 개헌문제의 표면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민주화에 대한 열망
2) 전개 : 민주화세력은 직선제 개헌. 정권타도 주장 (전두환 정권은 4·13 호헌조치 발표)
· 6월 10일 민주항쟁 절정
3) 결과 : 6·29선언을 이끌어 내어 직선제 개헌을 관철시킴
제 20장 북한사회의 변화
· 농업협동화 운동 : 1954년부터 시작. 토지를 통합하여 공동경영하고 생산물의 분배는 노동의 양에 따라 하는 완전한 사회주의 체제 지향
· 8월 종파사건 : 1956년∼58년. 김일성 개인 숭배를 비판하고 집단지도체제의 도입을
주장한 연안파 (김두봉·무정·최창익). 소련파. 국내파들이 숙청됨
- 김일성 유일사상 지도체계 확립
· 3대 혁명운동 : 1960년대. 사상·기술·문화 혁명 추진. 천리마운동. 청산리 방법.
대안의 사업체계에 의해 진행
· 주체사상 : 역사발전의 동력을 인간의 의식, 즉 자주성·창조성·의식성에서 찾는 사상 (1970년대에 정립) - 독창적인 사상으로 체계화(마르크스 레닌주의와 차이). 김일성 유일사상체계(북한의 유일한 지도이념).
김정일이 주체사상을 이론적으로 정립시키면서 후계자로 떠오름.
· 합영법 : 1984년 제정.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제도. (외국인 투자부진)
추천자료
언어의 이해 A형:외적 언어학 또는 인접과학과 언어학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언어의 이해 - D형 인간언어의 음성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철학의이해 A) 자본주의 역사 바로알기 발췌요약 및 독후감
영어권국가의 이해 B형 로버트 월폴 (Robert Walpole) 영국병(British Disease) 성금요일 협...
교육고전의 이해 ‘격몽요결’
교육고전의 이해 닐 ‘서머힐’
교육고전의 이해 페스탈로치의 ‘숨은이의 저녁노을’
교육고전의 이해 루소 ‘에밀’ (루소 에밀)
교육고전의 이해 코메니우스 ‘대교수학’
교육고전의 이해 프뢰벨의 ‘인간교육’
서사문학의 이해와 창작,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현재 자신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친 사건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