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언
2.본론
1)제1차 세계 대전과 대(大)루마니아 국가의 성립
2)양 차 세계 대전 사이의 루마니아
(1)내적 문제
(2)캐롤(Carol)왕의 독재
3)제2차 세계 대전과 루마니아
(1)안토네스쿠의 독재와 소련과의 전쟁
(2)반(反)파시즘 저항 운동의 특징
4)루마니아 공산화 과정
(1)공산정권 수립의 정치적 과정
(2)공산정권 수립의 경제적 과정
3.결언
<참고문헌>
2.본론
1)제1차 세계 대전과 대(大)루마니아 국가의 성립
2)양 차 세계 대전 사이의 루마니아
(1)내적 문제
(2)캐롤(Carol)왕의 독재
3)제2차 세계 대전과 루마니아
(1)안토네스쿠의 독재와 소련과의 전쟁
(2)반(反)파시즘 저항 운동의 특징
4)루마니아 공산화 과정
(1)공산정권 수립의 정치적 과정
(2)공산정권 수립의 경제적 과정
3.결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몇 가지 중요한 조치를 취했다. 우선 소련 당국은 1940년 독일 등의 압력에 못이겨 루마니아가 헝가리에 할양했던 트랜실바니아를 루마니아로 되돌려 줌으로써 루마니아 국민들에게 환심을 샀다. 이어 새 정부가 수립된 지 불과 2주 후인 3월 20일 토지 개혁법을 공포하였다
) 앞에 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정보센터, pp.58-60
. 이는 전범, 부재 지주, 50ha 이상의 농지를 무상으로 몰수하여 145만 ha의 토지가 약 80만의 빈농 및 농업 노동자에게 분배되었다. 또한 1945년 8월 포츠담 선언에서 나치 독일과 동맹했던 국가와의 외교적 관계 재개가 허용되자 소련 정부는 곧 외교적 관계를 수립했으나, 영국과 미국의 심한 항의와 국제적 비판이 전개되고 국왕과 우파 정당과 그로자 정부와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이에, 1945년 12월 모스크바에서 소련, 미국, 영국 사이에 회의에서 타협을 이루었다. 즉, 민족-농민당과 자유당에서 1명씩을 국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그로자 정부를 인정하였다.
이후, 소련 및 루마니아의 공산주의자들은 정권의 완전히 장악을 위한 두 가지 공식적 절차를 진행시켰다. 즉, 1946년 11월의 선거와 1947년 2월의 파리 평화 협정이다. 먼저, 첫 번째인 11월 선거는 그로자 정부에 의해 대표되는 정치질서를 민주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즉, 정치적 테러 속에서 치루어진 선거는 정부 블럭인 국민 민주 전선이 347석을 차지한 데 비해, 전통적 정당인 민족-농민당은 33석, 민족자유당은 3석을 획득하는데 그쳤다. 두 번째는 1947년 2월에 조인한 파리 평화 협정은 11월 선거의 정치 질서의 최종적 승인과 전후 루마니아의 국경과 소련 군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행위였다.
이로써 루마니아는 완전 공산화되었다. 이후 공산정권은 야당을 정치에서 완전히 배제하기 위해 1947년 7월, 민족-농민당을 해체시키고 지도자인 마뉴(Maniu)를 체포하였다. 한편 정부내에 잔류했던 자유당 분파의 정당대표들은 1947년 말 공산주의자들로 대체하고, 1948년에는 끝내 사회 민주당을 흡수, 통합하여 루마니아 노동당으로 개편하였으며, 미하이 왕은 1947년 12월 30일 강요에 의하여 퇴위되고, 루마니아 인민 민주 공화국(Republic Popolar )의 성립이 선포되었다
) 앞에 책, 이정희, pp.462-463
.
(2)공산정권 수립의 경제적 과정
1944년 9월 13일 소련과의 휴전협정을 체결하였을 당시의 루마니아의 경제는 완전히 소련에 종속되었다. 즉, 3억 달러의 전쟁 배상금 외에도 루마니아의 모든 군사시설과 항구, 군함 등은 소련의 영향하에 있었고, 10만명의 루마니아 노동자를 선발하여 소련으로 보냈다.
그로자 정권이 성립된 직후의 1945년 3월 20일에는 이는 전범, 부재 지주, 50ha 이상의 농지를 무상으로 몰수하는 토지 개혁법을 발표하였다. 이로 인해 전국 145만 ha의 토지가 약 80만의 빈농 및 농업 노동자에게 분배되었다. 이로 인해 역사적인 반(反)소 감정은 어느 정도 진정시킬 수 있었으며, 5월 8일에는 소련과 경제협정을 맺어 소련-루마니아의 합병 회사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석유, 운송, 가스, 화학, 목재, 보험 등 16개 부분에서 설치되고, 거의 모든 중요 산업 부분에 걸쳐서 소련의 지배가 확립되었다
) 앞에 책, 이정희, pp.463-464
. 또한, 루마니아는 "국민 민주 블록"이라는 형태로 출발하였기에 모든 산업의 국유화는 당시 동유럽 국가에 비해 비교적 늦게 진행되어 1946년 12월까지 국유화 된 시설은 중앙 은행뿐이었다. 하지만 1947년 루마니아 인민 민주공화국이 성립되고 난 후에 1948년 6월이 되서야 광·공업, 은행, 보험, 운수의 모든 부분이 국유화되었다.
1949년부터는 농업의 집단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농업의 집단화 사업이 시작한 처음 몇 년 동안에는 집단농장에 등록하기를 거부한 8만명의 농민들이 체포되었으며, 모스크바에서 "경제상호원조회의(Consiliul de Ajutor Economic Reciproc)"가 창설되어 소련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 앞에 책, 김성기, p.62
.
3.결언
<참고문헌>
♠김성기,『루마니아학 입문』,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9
♠『루마니아 편람』, 대외 경제 정책 연구원 지역 정보센터, 1996
♠이정희,『동유럽사』,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87
♠차하순,『서양사 총론』, 탐구당, 1986
) 앞에 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정보센터, pp.58-60
. 이는 전범, 부재 지주, 50ha 이상의 농지를 무상으로 몰수하여 145만 ha의 토지가 약 80만의 빈농 및 농업 노동자에게 분배되었다. 또한 1945년 8월 포츠담 선언에서 나치 독일과 동맹했던 국가와의 외교적 관계 재개가 허용되자 소련 정부는 곧 외교적 관계를 수립했으나, 영국과 미국의 심한 항의와 국제적 비판이 전개되고 국왕과 우파 정당과 그로자 정부와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이에, 1945년 12월 모스크바에서 소련, 미국, 영국 사이에 회의에서 타협을 이루었다. 즉, 민족-농민당과 자유당에서 1명씩을 국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그로자 정부를 인정하였다.
이후, 소련 및 루마니아의 공산주의자들은 정권의 완전히 장악을 위한 두 가지 공식적 절차를 진행시켰다. 즉, 1946년 11월의 선거와 1947년 2월의 파리 평화 협정이다. 먼저, 첫 번째인 11월 선거는 그로자 정부에 의해 대표되는 정치질서를 민주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즉, 정치적 테러 속에서 치루어진 선거는 정부 블럭인 국민 민주 전선이 347석을 차지한 데 비해, 전통적 정당인 민족-농민당은 33석, 민족자유당은 3석을 획득하는데 그쳤다. 두 번째는 1947년 2월에 조인한 파리 평화 협정은 11월 선거의 정치 질서의 최종적 승인과 전후 루마니아의 국경과 소련 군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행위였다.
이로써 루마니아는 완전 공산화되었다. 이후 공산정권은 야당을 정치에서 완전히 배제하기 위해 1947년 7월, 민족-농민당을 해체시키고 지도자인 마뉴(Maniu)를 체포하였다. 한편 정부내에 잔류했던 자유당 분파의 정당대표들은 1947년 말 공산주의자들로 대체하고, 1948년에는 끝내 사회 민주당을 흡수, 통합하여 루마니아 노동당으로 개편하였으며, 미하이 왕은 1947년 12월 30일 강요에 의하여 퇴위되고, 루마니아 인민 민주 공화국(Republic Popolar )의 성립이 선포되었다
) 앞에 책, 이정희, pp.462-463
.
(2)공산정권 수립의 경제적 과정
1944년 9월 13일 소련과의 휴전협정을 체결하였을 당시의 루마니아의 경제는 완전히 소련에 종속되었다. 즉, 3억 달러의 전쟁 배상금 외에도 루마니아의 모든 군사시설과 항구, 군함 등은 소련의 영향하에 있었고, 10만명의 루마니아 노동자를 선발하여 소련으로 보냈다.
그로자 정권이 성립된 직후의 1945년 3월 20일에는 이는 전범, 부재 지주, 50ha 이상의 농지를 무상으로 몰수하는 토지 개혁법을 발표하였다. 이로 인해 전국 145만 ha의 토지가 약 80만의 빈농 및 농업 노동자에게 분배되었다. 이로 인해 역사적인 반(反)소 감정은 어느 정도 진정시킬 수 있었으며, 5월 8일에는 소련과 경제협정을 맺어 소련-루마니아의 합병 회사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석유, 운송, 가스, 화학, 목재, 보험 등 16개 부분에서 설치되고, 거의 모든 중요 산업 부분에 걸쳐서 소련의 지배가 확립되었다
) 앞에 책, 이정희, pp.463-464
. 또한, 루마니아는 "국민 민주 블록"이라는 형태로 출발하였기에 모든 산업의 국유화는 당시 동유럽 국가에 비해 비교적 늦게 진행되어 1946년 12월까지 국유화 된 시설은 중앙 은행뿐이었다. 하지만 1947년 루마니아 인민 민주공화국이 성립되고 난 후에 1948년 6월이 되서야 광·공업, 은행, 보험, 운수의 모든 부분이 국유화되었다.
1949년부터는 농업의 집단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농업의 집단화 사업이 시작한 처음 몇 년 동안에는 집단농장에 등록하기를 거부한 8만명의 농민들이 체포되었으며, 모스크바에서 "경제상호원조회의(Consiliul de Ajutor Economic Reciproc)"가 창설되어 소련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 앞에 책, 김성기, p.62
.
3.결언
<참고문헌>
♠김성기,『루마니아학 입문』,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9
♠『루마니아 편람』, 대외 경제 정책 연구원 지역 정보센터, 1996
♠이정희,『동유럽사』,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87
♠차하순,『서양사 총론』, 탐구당, 1986
추천자료
축제의 어원, 기능 및 동유럽의 축제
[루마니아][루마니아의 정치][루마니아의 역사][루마니아의 자연환경][루마니아의 언어][루마...
동유럽발 금융위기와 글로벌금융위기
[루마니아][루마니아문화][루마니아의 문화][차우세스코 무덤][경제]루마니아의 역사, 루마니...
[루마니아][루마니아문화][루마니아 종교][루마니아 정치][루마니아 경제][루마니아 원자력산...
[루마니아][루마니아 정치][루마니아 경제][루마니아 차우세스코 무덤][루마니아 종교][음악]...
동유럽 자본주의화가 세계경제에 미친영향
동유럽 국가들의 체제전환정책이 남북한 경제통합에 주는 시사점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