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 인물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테일러 (Frederick Taylor)
1. 테일러리즘이란 ?
2.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의 출발점은 ?
3. 주요 내용
4. 공장관리에서 말하는 과학적 관리법의 원인에서의 4대원칙
5. 과학적 관리법에 대한 비판
6. 현대적인 시각

간트(Henry L. Gantt)
1. 과업상여제도 특징
2. 인간의 행동이 금리적 동기
3. 간트과업 상여제도
4. 간트 차아트

길브레드 부부 (Frank & Lilhan Gilbreth)
1. 테크노크러시(technocracy)
2. 지배와 생산 제 요인과의 연관
3. 생산기업에 있어서 무엇이 희소성을 가진 결정적인 요인이 되겠는가 ?
4. 테크노스트럭쳐란
5. 길브레이드의 제안
6. 길브레이드의 의도

훼이욜 (Henri Fayol)
1. 전통적 관리개념의 수정
2. 페이욜의 관리론
3. 필수능력의 상대적 중요성
4. 페이욜의 관리원칙

뮌스터버그 (H. Munsterberg)
1. 경영자역할 연구법
2. 민츠버그교수의 10가지의 역할 수행
3. 민츠버그교수의 이론에 대한 비판
4. 현대경영상의 이윤의 생성원천
5. 요약

본문내용

공정의 원칙 ; 이 원칙은 종업원에 대한 공정한 취급을 뜻하며, 페이욜은 "종업원이 그 직능을 수행함에 있어 헌신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에게 호의적으로 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12) 비용정의 원칙 ; 비용자에 대한 안정된 조건을 말하며, 바로 공정의 원칙에서 뜻하는 여러 가지 면에서의 '호의적인 취급'이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13) 창의존중의 원칙 ; 바로 이니셔티브의 원칙이며, 부하들의 이니셔티브를 권장하고 그들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존중하는데서 경영의 합리화가 기해진다는 것이다.
14) 협동.단결의 원칙 ; 뭉치면 힘이 나온다는 원리를 말하며, 명령의 일원화원칙을 확대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뮌스터버그 (H. Munsterberg)
1. 경영자역할 연구법
경영관리에 대한 연구방법 중 가장 최근의 것은 민츠버그교수에 의해 보급된 경영자역할 연구법이다. 이 연구방법은 본질적으로 경영자가 실제 수행하고 있는 것을 관찰하여 경영자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구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민츠버그교수는 각기 상이한 기업에 종사하는 5명의 최고경영자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결과, 이들 경영자들은 전통적인 관리직능 - 계획화.조직화.조정 및 통제화 - 대로 행동하고 있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2. 민츠버그교수의 10가지의 역할 수행
1) 대인적 역할
1> 대표자 역할 ; 조직의 대표자로서 양식이나 사회적 의무를 수행하는 역할
2> 지도자 역할
3> 섭외자 역할
2) 정보적 역할
1> 기업경영에 관한 역할
2> 유포자 역할 ; 정보를 하위자에게 전하는 역할
3> 대변인 역할 ; 정보를 조직외부에 전하는 역할
3) 의사결정 역할
1> 기업자 역할
2> 문제처리자 역할
3> 자원배분자 역할
4> 협상자 역할 ; 다양한 인간과 집단을 다루는 역할
3. 민츠버그교수의 이론에 대한 비판
1) 그의 조사에 사용된 표본의 수적인 면에서 볼 때 그와 같은 결론을 내리기에는 너무 적다.
2) 경영자들의 실제활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 최고경영자로부터 하부경영자까지 - 조사자가 주의해야 할 것은 모든 경영자는 순수한 관리적인 업무에 속하지 않는 일을 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회사의 회장도 자기의 업무시간중의 일부를 사회일반이나 주주들과의 관계를 위해, 또는 자본증식을 위해, 거래인들과의 상담을 위해, 시장활동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3) 민츠버그교수의 조사에 나타난 많은 활동들은 계획화.조직화.요원화.지휘 및 통제화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원의 배분은 계획화이며, 대인적 역할은 지휘기능과 다를 바 없는 것이며, 정보적 역시 다수인의 기능적 부분과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민츠버그는 조직관리에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즉, 조직을 구성하는 일이라든가, 경영자를 선택하고 평가하는 일이라든가, 주전략을 결정하는 일과 같은 중요한 관리적 활동을 민츠버그의 분류 가운데서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4. 현대경영상의 이윤의 생성원천
이윤의 정당성 내지 그것의 경영상의 필요성을 더욱 명백히 하기 위해서는 현대경영이념하에서는 그러한 이윤의 생성원천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가에 관해 볼 필요가 있다. 민츠버그는 경영자의 탁월한 역할, 정보적 역할, 그리고 의사결정역할등과 같은 특수한 전문적 역할에 의한 창조력의 발휘에 의해 이유니 생성된다고 하였다.
5. 요약
확실히 경영자역할 연구법은 적어도 민츠버그가 판단했던 만큼 경영관리이론으로써 또는 실무적 기초로써 적합한 것인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경영관리에 대한 새로운 국면을 개척하고 있다는 데서 타당한 것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6.17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