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INTERACTIVE TV’란 무엇인가?
3. ITV의 이용 모습
1) 서비스 유형
2) 외국의 ITV 사례(Open TV)
4. ITV 도입의 배경
1) ITV기술의 장점
2) ITV 기술의 도입 과정
5. 생각의 자유를 보장하라!
2. ‘INTERACTIVE TV’란 무엇인가?
3. ITV의 이용 모습
1) 서비스 유형
2) 외국의 ITV 사례(Open TV)
4. ITV 도입의 배경
1) ITV기술의 장점
2) ITV 기술의 도입 과정
5. 생각의 자유를 보장하라!
본문내용
점에서 그 의미가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이러한 TV를 \"인터액티브(Interactive) TV\" 혹은 \"ITV\", 이러한 TV에 의한 서비스를 \"인터액티브 서비스\" 혹은 \"ITV 서비스\"라는 용어로 통일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ITV의 개념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TV에 대한 시청자의 조정력\\통제력(control)에 있다. Ovum(1995)은 인터액티브 TV를 \'무엇을 시청할 것인가와 언제 시청할 것인가에 관한 시청자 스스로의 통제(control)를 더 넓혀주는 기술들의 결합\'이라고 설명하면서, ITV는 수신 단말기와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까지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영국의 독립텔레비전위원회 (Independent Television Commission; ITC)도 인터액티브 서비스를 정의하는 요소는 시청자들이 시청하고자 하는 것과 시청시간에 대한 통제의 수준이라고 하면서, 인터액티브 서비스는 시청자들이 이용가능한 정보들 중에서 선택하고, 원하는 때에 \'끌어당기는(pull)\' 서비스라고 하였다. 이것은 \'푸시 서비스(push service)\'와 상반되는 것이다. 인터액티브 환경에서 시청자들은 TV 리모콘이나 무선 키보드와 같은 현재 테크놀로지의 확장된 기능성을 이용해서 원하는 정보를 끄집어내고, 시청자들의 TV 또는 셋탑박스가 전화나 케이블과 같은 회선(return path)에 연결된 경우에는 화면을 통해서 상품구매, 각종거래 등 모든 \'잡아끄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I. Thompson(1999)의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에 대한 정의를 통해서도 ITV의 개념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그는 \"인터랙티비티\"란 \'50개나 500개의 채널 가운데 하나를 단순히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미디어에 대해 개개인이 관여(engagement)의 방향을 더욱 강력한 방법으로 조정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현재 인터넷은 인터액티브한 특성 때문에 인기가 높은데, 인터넷에서 각 이용자는 개인적인 흥미 영역을 지정하고 서핑을 하다가 이용자의 관심 영역이 아닌 경우에는 간단한 방법으로 당장 거기서 벗어나 다른 곳으로 서핑 방향을 바꾸는 등 강력한 조정력\\통제력을 발휘한다. ITV도 기존의 TV에 비해 이러한 시청자의 조정력\\통제력을 바탕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그 특성이 있다. 시청자의 조정력\\통제력은 전통적인 일방향(one-way)적 의사전달이 쌍방향(two-way)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기존의 TV는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시청자)에게로 일방향적인 콘텐츠 전달이 이루어졌으나, ITV에서는 시청자가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 가운데 원하는 것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찾거나 또는 간단한 컨텐트를 제공할 수조차 있는 등 커뮤니케이션이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ITV는 TV를 쌍방향(two-way)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T. Swedlow(2000)는 ITV를 본질적으로 인터액티브한 스타일을 부여한 비디오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하면서 구체적인 예를 들었는데, 비디오에 관한 데이터, 비디오에 관한 그래픽, 비디오 안의 비디오(video in video), 또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검색과 디지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프로그램 녹화 등 인터액티브 스타일을 부여한 것을 ITV로 보았다. 한은영, 인터액티브 TV 서비스의 전개 현황 및 주요 쟁점(2000, KISDI), 3p~4p에서 정리.
3. ITV의 이용모습
1) 서비스 유형 이혜진, 쌍방향TV(1998), 2p. 8p에서 정리.
(1) 전송 교환 서비스
-텔레컨퍼런스 서비스: 영상이나 음성 및 문자(전자게시판 등)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원격회의 서비스
(2) 고도통신 서비스
-전자 우편 서비스: 송신자가 메시지를 일시에 네트워크의 메모리에 비축하여 이것을 수신자에게 보내거나 수신자가 접속하여 전문을 받아 가는 서비스
(3) 정보제공검색 서비스
-정보광고 서비스: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세한 정보와 더불어 사용방법 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추가한 광고 서비스
-정보검색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지화 또는 동화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여기에는 뉴스, 일기예보, 교통, 물가정보 등의 일반정보 검색 서비스와 기술, 경제, 의료, 법률정보 등의 전문 정보 검색 서비스가 있다.
(4) 정보처리 서비스
-리모터 컴퓨팅 서비스: 원격지의 단말장치를 조작하여 중앙 센터 등의 대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처리 등을 하는 서비스
-텔리소프트웨어 서비스: 방송망이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계산처리나 TV게임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의료 컨설팅 서비스: 건강이나 질병 등에 관한 상담을 단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재택학습 서비스: 등교하지 않고 가정에서 단말기를 통해 각종 학교 수업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재택행정 서비스: 해당 관공서에 직접 가지 않고 가정에서 단말기를 통해 주민등록표나 자치단체의 공지 사항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슈퍼나 백화점에 직접 가지 않고 가정에서 단말기를 통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홈쇼핑 서비스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전자자금결제나 온라인 거래의 제도적 보장이 선결되어야 한다.
-일렉트로닉 뱅킹 서비스: 은행에 직접 가지 않고 회사나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를 조작하여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서비스로, 기업에서 제공받는 서비스를 펌 뱅킹 서비스, 가정에서 제공받는 서비스를 홈뱅킹 서비스라고 한다.
-홈 딜링 서비스: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회사 또는 가정에서 주식 정보를 제공받거나 주식매매가 가능한 서비스
-원격 방범방재 서비스: 방범정보나 방재정보 등의 긴급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센터에서 수집하여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서비스
-각종 예약 서비스: 회사나 가정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기관이나 극장 등의 각종 좌석 예약이 가능한 서비스
-원격 검침 서비스: 통신회선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검침하는 서비스
이상에서 살펴본 각종 쌍
3. ITV의 이용모습
1) 서비스 유형 이혜진, 쌍방향TV(1998), 2p. 8p에서 정리.
(1) 전송 교환 서비스
-텔레컨퍼런스 서비스: 영상이나 음성 및 문자(전자게시판 등)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원격회의 서비스
(2) 고도통신 서비스
-전자 우편 서비스: 송신자가 메시지를 일시에 네트워크의 메모리에 비축하여 이것을 수신자에게 보내거나 수신자가 접속하여 전문을 받아 가는 서비스
(3) 정보제공검색 서비스
-정보광고 서비스: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세한 정보와 더불어 사용방법 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추가한 광고 서비스
-정보검색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지화 또는 동화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여기에는 뉴스, 일기예보, 교통, 물가정보 등의 일반정보 검색 서비스와 기술, 경제, 의료, 법률정보 등의 전문 정보 검색 서비스가 있다.
(4) 정보처리 서비스
-리모터 컴퓨팅 서비스: 원격지의 단말장치를 조작하여 중앙 센터 등의 대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처리 등을 하는 서비스
-텔리소프트웨어 서비스: 방송망이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계산처리나 TV게임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의료 컨설팅 서비스: 건강이나 질병 등에 관한 상담을 단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재택학습 서비스: 등교하지 않고 가정에서 단말기를 통해 각종 학교 수업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재택행정 서비스: 해당 관공서에 직접 가지 않고 가정에서 단말기를 통해 주민등록표나 자치단체의 공지 사항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슈퍼나 백화점에 직접 가지 않고 가정에서 단말기를 통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홈쇼핑 서비스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전자자금결제나 온라인 거래의 제도적 보장이 선결되어야 한다.
-일렉트로닉 뱅킹 서비스: 은행에 직접 가지 않고 회사나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를 조작하여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서비스로, 기업에서 제공받는 서비스를 펌 뱅킹 서비스, 가정에서 제공받는 서비스를 홈뱅킹 서비스라고 한다.
-홈 딜링 서비스: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회사 또는 가정에서 주식 정보를 제공받거나 주식매매가 가능한 서비스
-원격 방범방재 서비스: 방범정보나 방재정보 등의 긴급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센터에서 수집하여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서비스
-각종 예약 서비스: 회사나 가정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기관이나 극장 등의 각종 좌석 예약이 가능한 서비스
-원격 검침 서비스: 통신회선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검침하는 서비스
이상에서 살펴본 각종 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