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 출생 및 생애
2. 이승휴와 『제왕운기』
3.『제왕운기』 저술 의도 및 내용
4.『제왕운기』에 나타난 이승휴의 역사인식 태도
마치며...
1. 출생 및 생애
2. 이승휴와 『제왕운기』
3.『제왕운기』 저술 의도 및 내용
4.『제왕운기』에 나타난 이승휴의 역사인식 태도
마치며...
본문내용
였다. 무인정권의 집권층은 고려는 대내외적으로 고구려의 계승자라는 일원적 역사계승의식을 다져가게 되었고 이것은 몽고족의 침입과 가혹한 내정간섭을 받게 되면서 한국사에 대한 역사의식이 크게 발전 확대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즉 강대한 이민족의 압박이 단군을 민족동일의 시조로 하는 다 같은 하나의 민족이라는 역사의식을 낳게 하였던 것이다.
마치며...
이승휴는 우리역사에 있어서 가장 험난한 시대를 살아가며 민족의 체계를 바로잡는 훌륭한 역사서인 『제왕운기』를 저술하였다. 이는 고려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사인식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해결 문제나 식민사관의 탈피, 그리고 민족의식 고취라는 과제가 주어진 이 시점에서 이승휴의 역사인식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마치며...
이승휴는 우리역사에 있어서 가장 험난한 시대를 살아가며 민족의 체계를 바로잡는 훌륭한 역사서인 『제왕운기』를 저술하였다. 이는 고려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사인식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해결 문제나 식민사관의 탈피, 그리고 민족의식 고취라는 과제가 주어진 이 시점에서 이승휴의 역사인식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