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2차 세계대전 배경
1)개관
2)파리강화조약
3)경제
4)민족주의와 독재
2. 경과(미국과 유럽중심)
<영,독 전쟁 (1939.9~41.6)>
<독,소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발발>
<제2차 세계대전과 대동아공영권>
<전국의 전환>
<유럽의 종결>
<일본의 항복>
3. 제1차 세계대전 Vs 제 2차 세계대전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여로 보는 원폭의 무서움
4. 전체주의 Vs 민주주의
전체주의<totalitarianism>란
전체주의 발생배경
전체주의의 전개 과정
민주주의의 역동성
민주주의 발생
민주주의의 전개 과정
근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5. 제 2차 세계대전의 영향
1)정치적
2)문화적
3)경제적
6. 전쟁그후...
7. 참고문헌 및 참고 웹사이트
1)개관
2)파리강화조약
3)경제
4)민족주의와 독재
2. 경과(미국과 유럽중심)
<영,독 전쟁 (1939.9~41.6)>
<독,소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발발>
<제2차 세계대전과 대동아공영권>
<전국의 전환>
<유럽의 종결>
<일본의 항복>
3. 제1차 세계대전 Vs 제 2차 세계대전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여로 보는 원폭의 무서움
4. 전체주의 Vs 민주주의
전체주의<totalitarianism>란
전체주의 발생배경
전체주의의 전개 과정
민주주의의 역동성
민주주의 발생
민주주의의 전개 과정
근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5. 제 2차 세계대전의 영향
1)정치적
2)문화적
3)경제적
6. 전쟁그후...
7. 참고문헌 및 참고 웹사이트
본문내용
하는 보수파가 7월 20일 반(反)히틀러 쿠데타를 시도하였으나 실패로 끝났다. 미, 영군에 호응하여 소련군의 진격도 활발하여, 44년 가을에는 소련 영토를 해방하였다. 45년 1월 소련군이 바르샤바에 입성하고, 폴란드의 두 정권의 통일과 국경에 관하여는 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일단 해결을 보았다. 또한 이 회담에서는 독일 처리문제가 검토되었으며, 소련의 대일(對日)참전도 결정되었다. 히틀러는 44년 12월 서부전선 아르덴에서 일대 반격을 시도하지만 4일 만에 괴멸 당하고 만다. 45년 2월 소련군은 오데르강(江), 4월 나이세강(江)에 도달하였다. 동시에 영, 미군도 공격을 재개하여, 3월 쾰른을 점령하고 라인강(江)을 건너 4월 25일 엘베강(江)의 토르고에서 소련군과 교환(交歡)하였으며, 이 날 소련군은 베를린에 돌입하였다. 사태에 절망한 히틀러는 4월 30일 애인 에바 브라운과 결혼식을 올리고 자살하였다. 후계자로 임명된 데니츠 제독은 군대와 민간인을 가능한 한 영,미 점령지구로 옮기면서 5월 7일 무조건 항복하여 9일 항복이 정식 조인되었다. 5월 23일 데니츠 정부의 전원이 체포됨으로써 독일의, 제3제국은 명실공히 소멸되었다. 이탈리아 전선의 독일군이 4월 29일 항복하면서 무솔리니는 4월 28일 밀라노 근교에서 살해되고, 유럽에서의 전쟁은 끝났다
<일본의 항복>
45년 2월 미군은 마닐라를 탈환하고 이오섬에 상륙하였다. 4월에는 오키나와 본 섬에 상륙, 3개월이나 걸린 오키나와 전에서는 전 도민이 동원되어 희생됨으로써(9만여 명), 닥쳐올 본토 결전의 비참한 양상을 암시하였다.
7월 26일 미,영,중은 포츠담선언에서 대일 처리방침을 명시함과 아울러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다. 일본이 이를 묵살하자 미국은 8월 6일 히로시마에,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고 소련은 이 날 대일 참전하여 만주에서 일제히 공격을 개시하였다.
이에 이르러 일본 군부도 항복을 결의하고 10일 밤 포츠담선언 수락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주전파의 국체수호 고집으로 진통을 겪다가 일본왕의 결단으로 14일 가까스로 수락을 통고하고, 15일 일본왕은 이것을 국민에게 방송하였다. 30일 미군은 일본 본토를 점령하였고, 9월 2일 도쿄만의 미주리호에서 항복문서가 조인되면서 태평양전쟁과 함께 제2차 세계대전은 끝났다.
▶1차 대전 Vs 2차 대전
-1차 대전은 이 지구를 민주주의로 더 안전하게 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진 몇몇 미국 사람에 의해 치러졌지만 2차 대전은 세계를 전장(戰場)으로 하고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를 끌어들인 전쟁이었다. 참가국은 연합국 측이 49개국, 동맹국 측이 8개국이며, 중립국은 스위스 등 6개국에 불과하였다. 동원병력 1억 1000만 명, 전사자 2,700만 명, 민간인 희생자 2,500만 명으로, 그 중에서 독 소 양국의 희생이 가장 많아 소련의 전사자 1,360만 명, 민간인을 포함하여 사망자 2,000만 명, 전 인구의 약 1/10, 독일의 전사자 500만 명, 민간인을 포함하여 사망자 550만 명, 전 인구의 약 1/10이라고 알려졌다.
-일본의 전사자는 185만 명, 민간인을 포함하여 사망자 250만 명, 전인구의 약 1/40이라고 한다. 이 개수(槪數)에서도 제1차 세계대전과 비교할 때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동원병력 수는 약 2배, 전사자는 약 5배, 민간인 희생자는 약 50배이다.
요컨대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민간인의 희생자가 현저히 많다. 이것은 나치스의 인종론적 절멸(絶滅)정책에 유래한다. 민간인의 희생자 가운데 약 500만 명은 유대인인데 이것은 나치스 지배하의 유대인 총수의 약 70%라고 한다. 또 하나의 이유는 현대의 전쟁이 민간인을 제외하지 않은 제노사이드(genocide:대량살륙)전쟁으로 된 데에서 찾을 수 있겠다. 전비(戰費), 파괴된 재산을 오늘날의 물가에 맞추어 재평가한다면 너무나 방대하여서 아마도 계산할 수가 없을 정도일 것이다.
-2차 대전은 1차 대전보다 규모가 훨씬 컸을 뿐만 아니라 평등사상에 기초한 자유민주주의 대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나치즘, 일본의 군국주의(軍國主義) 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체제 하에서는 공산주의를 지칭하게 되어 반(反)공산주의 슬로건으로 전용되기 시작한 전체주의의 투쟁이라는 성격이 선명하게 부각되었으며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로 끝났다.
-1차 대전에서 독일군은 영국군을 상대로 최초로 독가스를 사용하였으며, 영국은 신병기로 전차를 사용했고, 주로 정찰용으로 쓰인 비행선은 독일이 처음 사용하였다. 2차 대전에서는 원자폭탄이 발명되어 사용되었는데, 원자폭탄의 발명은 핵 시대를 열게 되었으며, 치열한 무기경쟁이 시작되었다.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여로 보는 원폭의 무서움
: 태평양전쟁이 끝나기 9일전 1945년 8 월 6일에 B-29폭격기로부터 TNT 20,000톤의 위력을 가진 U-235가 든 폭탄이 히로시마의 오타강 위쪽 도심에 떨어졌다. 0.6초 후 직경 180미터의 온도 300,00도의 불덩이가 섬광과 같이 나타났다.
지열은 곧바로 6,000도가 되었고 모든 구조물들은 폭발과 함께 무너져 내렸다. 무너져 내린 집들은 곧 불에 타 버렸고, 도시 지역 내 모든 것들이 황폐화되었다. 남녀노소 포함한 인구 400,000명중 25%가 하루만에 죽었다. 도시에서 달아난 사람들 중 50,000명이 방사선 때문에 죽었다.
폭심에서 5,000미터 떨어진 곳에 있던 사람은 오렌지색 섬광과 함께 수많은 유리조각이 사람의 몸을 뚫고 지나가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건물이 붕괴되어지는 것과 사람들이 쓰러지고 불타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이 부근에 있던 사람중 대부분이 삼일에서 사일 안에 죽었다.
시내의 집들은 차례로 붕괴되어 내려앉아 버렸고 이 집들은 곧 불이 붙었다.
시내의 전차는 핵폭발로 인한 폭풍으로 인해 넘어지고 시내 곳곳에는 불이 나고 많은 사람들이 불에 타거나 이미 죽어 있었다.
핵폭발 후 먼지와 핵 분열 생성물이 하늘로 올라갔고 낙진으로 인한 두 번째 방사선 피폭이 시민들에게 내려 앉았다.
핵폭발 후 2주가 지난 후 핵폭발 시 아무런 상처도 입지 않았던 사
<일본의 항복>
45년 2월 미군은 마닐라를 탈환하고 이오섬에 상륙하였다. 4월에는 오키나와 본 섬에 상륙, 3개월이나 걸린 오키나와 전에서는 전 도민이 동원되어 희생됨으로써(9만여 명), 닥쳐올 본토 결전의 비참한 양상을 암시하였다.
7월 26일 미,영,중은 포츠담선언에서 대일 처리방침을 명시함과 아울러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다. 일본이 이를 묵살하자 미국은 8월 6일 히로시마에,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고 소련은 이 날 대일 참전하여 만주에서 일제히 공격을 개시하였다.
이에 이르러 일본 군부도 항복을 결의하고 10일 밤 포츠담선언 수락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주전파의 국체수호 고집으로 진통을 겪다가 일본왕의 결단으로 14일 가까스로 수락을 통고하고, 15일 일본왕은 이것을 국민에게 방송하였다. 30일 미군은 일본 본토를 점령하였고, 9월 2일 도쿄만의 미주리호에서 항복문서가 조인되면서 태평양전쟁과 함께 제2차 세계대전은 끝났다.
▶1차 대전 Vs 2차 대전
-1차 대전은 이 지구를 민주주의로 더 안전하게 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진 몇몇 미국 사람에 의해 치러졌지만 2차 대전은 세계를 전장(戰場)으로 하고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를 끌어들인 전쟁이었다. 참가국은 연합국 측이 49개국, 동맹국 측이 8개국이며, 중립국은 스위스 등 6개국에 불과하였다. 동원병력 1억 1000만 명, 전사자 2,700만 명, 민간인 희생자 2,500만 명으로, 그 중에서 독 소 양국의 희생이 가장 많아 소련의 전사자 1,360만 명, 민간인을 포함하여 사망자 2,000만 명, 전 인구의 약 1/10, 독일의 전사자 500만 명, 민간인을 포함하여 사망자 550만 명, 전 인구의 약 1/10이라고 알려졌다.
-일본의 전사자는 185만 명, 민간인을 포함하여 사망자 250만 명, 전인구의 약 1/40이라고 한다. 이 개수(槪數)에서도 제1차 세계대전과 비교할 때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동원병력 수는 약 2배, 전사자는 약 5배, 민간인 희생자는 약 50배이다.
요컨대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민간인의 희생자가 현저히 많다. 이것은 나치스의 인종론적 절멸(絶滅)정책에 유래한다. 민간인의 희생자 가운데 약 500만 명은 유대인인데 이것은 나치스 지배하의 유대인 총수의 약 70%라고 한다. 또 하나의 이유는 현대의 전쟁이 민간인을 제외하지 않은 제노사이드(genocide:대량살륙)전쟁으로 된 데에서 찾을 수 있겠다. 전비(戰費), 파괴된 재산을 오늘날의 물가에 맞추어 재평가한다면 너무나 방대하여서 아마도 계산할 수가 없을 정도일 것이다.
-2차 대전은 1차 대전보다 규모가 훨씬 컸을 뿐만 아니라 평등사상에 기초한 자유민주주의 대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나치즘, 일본의 군국주의(軍國主義) 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체제 하에서는 공산주의를 지칭하게 되어 반(反)공산주의 슬로건으로 전용되기 시작한 전체주의의 투쟁이라는 성격이 선명하게 부각되었으며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로 끝났다.
-1차 대전에서 독일군은 영국군을 상대로 최초로 독가스를 사용하였으며, 영국은 신병기로 전차를 사용했고, 주로 정찰용으로 쓰인 비행선은 독일이 처음 사용하였다. 2차 대전에서는 원자폭탄이 발명되어 사용되었는데, 원자폭탄의 발명은 핵 시대를 열게 되었으며, 치열한 무기경쟁이 시작되었다.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여로 보는 원폭의 무서움
: 태평양전쟁이 끝나기 9일전 1945년 8 월 6일에 B-29폭격기로부터 TNT 20,000톤의 위력을 가진 U-235가 든 폭탄이 히로시마의 오타강 위쪽 도심에 떨어졌다. 0.6초 후 직경 180미터의 온도 300,00도의 불덩이가 섬광과 같이 나타났다.
지열은 곧바로 6,000도가 되었고 모든 구조물들은 폭발과 함께 무너져 내렸다. 무너져 내린 집들은 곧 불에 타 버렸고, 도시 지역 내 모든 것들이 황폐화되었다. 남녀노소 포함한 인구 400,000명중 25%가 하루만에 죽었다. 도시에서 달아난 사람들 중 50,000명이 방사선 때문에 죽었다.
폭심에서 5,000미터 떨어진 곳에 있던 사람은 오렌지색 섬광과 함께 수많은 유리조각이 사람의 몸을 뚫고 지나가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건물이 붕괴되어지는 것과 사람들이 쓰러지고 불타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이 부근에 있던 사람중 대부분이 삼일에서 사일 안에 죽었다.
시내의 집들은 차례로 붕괴되어 내려앉아 버렸고 이 집들은 곧 불이 붙었다.
시내의 전차는 핵폭발로 인한 폭풍으로 인해 넘어지고 시내 곳곳에는 불이 나고 많은 사람들이 불에 타거나 이미 죽어 있었다.
핵폭발 후 먼지와 핵 분열 생성물이 하늘로 올라갔고 낙진으로 인한 두 번째 방사선 피폭이 시민들에게 내려 앉았다.
핵폭발 후 2주가 지난 후 핵폭발 시 아무런 상처도 입지 않았던 사
추천자료
국화와칼 [인문과학]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일제의 식민지정책- 신민지 토지조사의 비교를 통하여)
일본군 위안부에 대하여
위안부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성매매(매춘) 문제에 대하여
[일본][자위대][군사력][군사대국화][동북아지역][군사잠재력][일본 군사정책][일본 군사력]...
1940,50년대 시/ 청록파 시인
안테나 공학 (야기안테나)
미국의 대일본 외교정책
영남대학교 세계문화탐방 인터넷강의 여중철 대양주, 아프리카편 정리
제2차 세계대전 요약 핵심 레포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분야별 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침체, 대한...
일본군 성노예 문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