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우리음악의 이해
II. 우리음악의 구성
1.국악가창
2.국악기 실기
3.국악감상
4.국악창작
III. 제언
IV. 음악교사로서의 자각
II. 우리음악의 구성
1.국악가창
2.국악기 실기
3.국악감상
4.국악창작
III. 제언
IV. 음악교사로서의 자각
본문내용
단소의 독주곡으로 널리 연주된다. 가곡과 마찬가지로 5장으로 되어 있으며, 3장과 4장 사이에 중여음이 있다.
<시조>
가곡과 함께 시조시를 노래하는 성악곡으로 가곡과는 달리 초장·중장·종장의 3장으로 되어있고, 5박장단과 8박장단을 사용하며, 반주는 장구 하나로도 이루어지며, 장구가 없을 경우 무릎장단을 치기도 한다.
3-3-2 민속악
<산조>
산조란 남도시나위에 바탕을 둔 기악 독주곡이다. 산조에는 가야금 산조를 비롯하여 거문고 산조·피리산조·아쟁산조·대금한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산조에는 사사계보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바디 또는 제라고도 부르는 유파라는 것이 있어 제 나름대로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산조의 형식은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의 3개의 기본형식으로 되어있는데, 산조의 종류에 따라 더 첨가되기도 한다.
<시나위>
심방곡이라고도 하는 이 곡은 시나위권의 무의식(巫儀式)에서 무가(巫歌)와 무무(巫舞)의 반주에 사용되던 음악이다. 원래는 향피리·대금·해금·장구·징으로 편성되었으나, 요즘은 아쟁과 가야금·거문고 등이 곁들여지기도 하고, 독주로도 연주된다.
<풍물>
풍물은 매구·굿·농악 등으로도 부른다. 음악과 무용 그리고 놀이가 혼합된 종합예술로서 농민들이 집단으로 김을 매면서 치는 두레굿, 정월이나 시월에 마을 집집마다 돌면서 풍물치며 축복해주는 고사굿(걸립굿), 그리고 구경꾼을 위하여 넓은 마당에서 여러 가지 놀이와 장기를 보여주는 판굿 등 의식과 노동에 주로 사용된다. 판굿에는 진법놀이와 개인놀이로 나뉘는데, 개인놀이에는 상쇠놀이,설장고,법고놀이,열두발 상모,무동놀이 등이 있다.
<판소리>
판소리는 광대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춘향가·심청가와 같은 긴 이야기로 된 사설을 소리(창)와 말(아니리) 그리고 몸짓(발림)으로 하는 극가로 옛날 판이라 불리는 넓은 마당에서 구경꾼을 상대로 불리워졌다. 판소리는 원래 12마당이 있었으나, 현재는 5마당만이 전한다.
<가야금병창>
가야금을 손수 타면서 노래하는 것을 가야금병창이라 한다. 병창곡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판소리·단가·민요 등에서 따다가 부르는데, 판소리 대목으로는 사랑가·제비노정기·토끼화상 등이 있고, 단가로는 만고강산·강산유람·강상풍월 등이 있으며, 민요로는 새타령·진도아리랑·남원산성·장기타령 등이 흔히 불린다.
4. 국악창작
변주, 장단(기본형과 변화형), 멕이고 받는 형식
III. 제언
1. 무체계가 국악의 특징-적당히, 변화와 변주가 국악의 특징-고정적이 아닌 유동적
2. 초등국악교육에서 민속악 위주에서 정악이 가미된 교육으로의 전환 필요
3. 작곡자가 중요시되는 서양음악과 그렇지 않은 국악(동양음악)의 차이성 이해시켜야
4. 특정분야에만 치중하는 교육은 지양하고, 다양한 장르와 경험을 제공해야
5. 음악사대주의와 국수주의는 피해야
6. 음악의 오락적인 기능과 자기 수양적인 기능을 병행해야
IV. 음악교사로서의 자각
1. 문화는 서로 다른 것이라는 인식
2. 우리 문화가 중요하면 다른 문화도 중요
3. 온고이지신
4. 편견을 탈피해야-21세기는 문화의 세기
<시조>
가곡과 함께 시조시를 노래하는 성악곡으로 가곡과는 달리 초장·중장·종장의 3장으로 되어있고, 5박장단과 8박장단을 사용하며, 반주는 장구 하나로도 이루어지며, 장구가 없을 경우 무릎장단을 치기도 한다.
3-3-2 민속악
<산조>
산조란 남도시나위에 바탕을 둔 기악 독주곡이다. 산조에는 가야금 산조를 비롯하여 거문고 산조·피리산조·아쟁산조·대금한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산조에는 사사계보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바디 또는 제라고도 부르는 유파라는 것이 있어 제 나름대로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산조의 형식은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의 3개의 기본형식으로 되어있는데, 산조의 종류에 따라 더 첨가되기도 한다.
<시나위>
심방곡이라고도 하는 이 곡은 시나위권의 무의식(巫儀式)에서 무가(巫歌)와 무무(巫舞)의 반주에 사용되던 음악이다. 원래는 향피리·대금·해금·장구·징으로 편성되었으나, 요즘은 아쟁과 가야금·거문고 등이 곁들여지기도 하고, 독주로도 연주된다.
<풍물>
풍물은 매구·굿·농악 등으로도 부른다. 음악과 무용 그리고 놀이가 혼합된 종합예술로서 농민들이 집단으로 김을 매면서 치는 두레굿, 정월이나 시월에 마을 집집마다 돌면서 풍물치며 축복해주는 고사굿(걸립굿), 그리고 구경꾼을 위하여 넓은 마당에서 여러 가지 놀이와 장기를 보여주는 판굿 등 의식과 노동에 주로 사용된다. 판굿에는 진법놀이와 개인놀이로 나뉘는데, 개인놀이에는 상쇠놀이,설장고,법고놀이,열두발 상모,무동놀이 등이 있다.
<판소리>
판소리는 광대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춘향가·심청가와 같은 긴 이야기로 된 사설을 소리(창)와 말(아니리) 그리고 몸짓(발림)으로 하는 극가로 옛날 판이라 불리는 넓은 마당에서 구경꾼을 상대로 불리워졌다. 판소리는 원래 12마당이 있었으나, 현재는 5마당만이 전한다.
<가야금병창>
가야금을 손수 타면서 노래하는 것을 가야금병창이라 한다. 병창곡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판소리·단가·민요 등에서 따다가 부르는데, 판소리 대목으로는 사랑가·제비노정기·토끼화상 등이 있고, 단가로는 만고강산·강산유람·강상풍월 등이 있으며, 민요로는 새타령·진도아리랑·남원산성·장기타령 등이 흔히 불린다.
4. 국악창작
변주, 장단(기본형과 변화형), 멕이고 받는 형식
III. 제언
1. 무체계가 국악의 특징-적당히, 변화와 변주가 국악의 특징-고정적이 아닌 유동적
2. 초등국악교육에서 민속악 위주에서 정악이 가미된 교육으로의 전환 필요
3. 작곡자가 중요시되는 서양음악과 그렇지 않은 국악(동양음악)의 차이성 이해시켜야
4. 특정분야에만 치중하는 교육은 지양하고, 다양한 장르와 경험을 제공해야
5. 음악사대주의와 국수주의는 피해야
6. 음악의 오락적인 기능과 자기 수양적인 기능을 병행해야
IV. 음악교사로서의 자각
1. 문화는 서로 다른 것이라는 인식
2. 우리 문화가 중요하면 다른 문화도 중요
3. 온고이지신
4. 편견을 탈피해야-21세기는 문화의 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