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국어 기말보고서 황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국어 기말보고서 황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 황사의 정의

2. 황사의 현황
2.1. 역사에 기록된 황사
2.2. 황사의 주 발생지역과 황사 발생의 시간적 배경

3. 황사의 발생원인
3.1. 기후적·지리적 요인
3.2. 사막화로 인한 황사 발생지역의 확대

4. 황사의 이동 및 침강

5. 황사의 단점과 장점
5.1. 단점
5.1.1. 중국 본토의 사막화
5.1.2. 인체에 미치는 영향
5.1.3 정밀산업의 피해
5.2. 장점
5.2.1. 지구 온난화 방지 (냉각화)
5.2.2. 토양과 호수의 산성화 방지와 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6.6. 황사에 대한 대책
6.1. 생활 속에서의 대책
6.2. 정부차원에서의 대책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 방지와 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황사 속에 2~6%정도 존재하는 석회(칼슘) 등의 알칼리금속 성분들은 물에 녹을 경우 염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산성비를 중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황사는 토양과 호수의 산성화를 어느 정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식물과 해양플랑크톤에 이와 같은 칼슘성분들을 공급함으로서 생태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6. 황사에 대한 대책
6.1. 생활 속에서의 대책
황사가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특히 저항력이 약한 노인이나 몸이 약한 사람, 어린이들은 병에 걸리기 쉬우니 더욱 조심해야 한다.
기관지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등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어린이는 부득이 외출 시는 마스크를 써야 하며, 집안은 건조하지 않게 습도 조절을 해주고 실내공기는 깨끗이 한다. 운동장에서도 달리기 등 가급적 심한 운동이나 놀이는 하지 않아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
밖에서 들어오면 손, 발을 비누칠하여 깨끗이 씻어 먼지를 말끔히 닦아서 황사 입자에 묻어있을지 모르는 병원성이나 바이러스성 세균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한다. 목은 약한 소금물로 헹구어 내면 좋으며, 눈에 먼지가 들어갔을 때는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고 깨끗한 물로 씻어내도록 한다. 또한 콘택트렌즈의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6.2. 정부차원에서의 대책
황사의 발원지인 중국이나 몽골뿐 아니라 황사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는 한국 일본 등에서도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각종 대책이 수립되고 있지만, 아직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는 상태이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방풍림 조성이다. 중국에서는 황사의 발원지인 사막지역에 꾸준히 방풍림을 조성해 왔는데, 연구 결과 2m 높이의 방풍림을 조성할 경우 방풍림 뒤쪽 20m 이내의 황사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의 전체면적 가운데 15%가 넘는 1억 5000만㏊가 사막지역이기 때문에 이 방대한 지역에 방풍림을 조성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 관련국들이 공동으로 황사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학술적인 논의는 물론, 중국 서부지역의 사막화를 줄이고 나아가 사막화 지역 주민의 사회 경제적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1년 2월 베이징[北京]에서 제1차 한 중 일환경장관 회의가 열렸고, 같은 해 12월에는 서울에서 제2차 전문가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본원적인 해결책 외에 기상위성 영상자료를 통한 황사의 수평분포 조사, 황사의 진로와 강도 예측, 레이저 레이더를 이용한 황사의 연직분포도 조사, 황사와 대기오염 물질의 관계,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7. 결론
앞에서 살펴본 대로 황사는 과거에도 꾸준히 존재하여왔던 현상이고, 한반도 뿐 아니라 중국과 몽고, 일본 그리고 멀리는 태평양 건너까지 관측되고 있다. 또한 그로 인한 영향도 기후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의학적 측면, 산업적 측면에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막화로 인해 그 빈도와 강도마저 더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국과 몽고의 황사로 인한 피해는 엄청나며, 황사현상이 사막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단순한 자연현상으로 간주하여 그냥 내버려둘 수 없는 일이 되었다. 이러한 황사에 대한 대책은 어느 한 국가만이 노력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황사에 대한 주변국들의 폭넓은 이해와 협력이 필요하고, 주변국 과학자들의 협력연구로 황사의 발생원인과 그 대책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적인 규모의 실제적이고 즉각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Encyber
토마스 그레텔 폴 크루첸, 기후 변동, 사이언스북스, 1999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김동일 외, 현대과학대사전,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1993
http://yellow.metri.re.kr/index.shtml
http://www.me.go.kr/www/index.html(환경부)
http://www.kma.go.kr/(기상청)
http://members.tripod.lycos.co.kr/doolyaa/library.htm
http://medcity.com/jilbyung/whangsa.html
http://here.provin.chungbuk.kr/hwangsa.html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27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