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음식 문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음식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도의 음식과 경험담
1. 인도의 음식문화
1)인도이야기
2)인도의 음식문화
-인도요리는?
-음식문화의 특징
-인도음식의 종류?
3)인도의 향이 담긴 전통요리
-빵요리
-쌀요리
-수프
-고기요리
-음료수에 대하여
4)인도는 향신료의 나라
5)인도는 세계 최대의 차의 생산지
6)카레??커리??
7)인도의 부엌
-탄두리

2. 인도여행의 십계명(참고자료)

3. 내가 먹은 음식 사모사와 탕그리 케밥
1)사모사
2)탕그리 케밥

4. 소감

본문내용

천민과 기독교도 등은 쇠고기를 먹지만 대부분의 흰도교도 들과 이슬람교도들은 서로의 종교적인 정서를 존중하여돼지고기와 쇠고기를 기피한다. 흰두교도는 대부분 채식주의자이고, 이슬람교도·시크교도·기독교도들은 비채식주의자이다. 종교적 또는 경제적 이유로 많은 인도인들은 곡물과 콩으로부터 단백질을 섭취하는데, 우유로 만든 다히(dahi)와 버터를 요리에 많이 이용하므로 영양적으로 별 문제가 없다. 가난한 계층의 사람들은 종교적이라기보다는 경제적인 이유로 채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도시의 여유있는 계층에게는 육식도 널리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인도 전통을 지키는 채식주의자들은 예전과 같이 엄격하게 채식을 하며 생활한다. 채식주의자 중에는 비채식주의자와의 동석을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식당중에는 방이 확실하게 구분 되어 있거나 내부가 나누어져 있기도 하고 다른 메뉴를 취급하는 곳도 많다.
⑴ 음식 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모든 음식이 한꺼번에 개인별로 제공된다.
·주식에서 간식에 이르기까지 인도의 모든 음식에는 향신료를 사용한다.
·가열해서 만든 음식이 많다.
·장시간 은근하게 쪄서 향신료가 잘 스며들어 깊은 맛이 있다.
·국민의 약 30%가 엄격한 채식주의자 이다.
⑵ 식의 금기와 허용
·달걀을 식용으로 하는 것을 금한다. 달걀은 생명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우육을 식용으로 하는 것을 엄히 금하고 있다. 육식은 은주와 간음보다 더 죄가 크다고 마누 법전에서 지시하고 있으며, 소는 성스러운 동물로 여기고 있다.
낮은 카스트 제도에서는 우육 외의 육류를 식용으로 허용하며 때로는 쇠고기를
먹는 것도 암암리에 허용된다.
·가금류, 염장한 돼지고기, 양파, 마늘, 버섯, 무청(turnip green) 등을 식용으로 하는 것을 금한다.
·초기 힌두교에서는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는 생선을 별이 헤엄치는 것과 같은
이치로 표현하고 있어, 산과 동등한 위치에 있는 생선을 신성시하는 개념이 여기 에서 유래하였다. 아리안(Aryan)족은 생선을 식욕으로 하지 않으나 벵갈(Bangal) 지방이나 그 주변의 부족들은 생선을 먹는다.
·브라타(Vratas)라고 하는 단식과 기도의 날들이 많이 있다. 그때는 완전히 단식을
하거나 또는 적어도 요리된 음식을 먹는 것을 삼간다.
-인도음식의 종류?
우리에게 알려진 대표적인 인도 음식 인도의 주식은 북인도와 남인도에 차이가다.
북인도는 밀가루로 만든 인도 빵인 난 (Naan), 남인도는 쌀밥을 주식으로 한다.
난은 밀가루에 물과 소금만 넣고 탄두르에 구워내 는 평평한 세모 모양으로 만든 빵이다.
쌀도 일반적으로 하얗게 먹는 흰밥과 샤프란, 박하잎, 닭고기를 넣고 볶은 \'브리야니(Biriyani)\'가 있다.
또한 버섯, 콩, 당근, 커터즈치즈를 넣어 볶은 \'필라프\'라는 볶음밥도 있다.
인도 음식에 주로 쓰이는 용기인 \'탄두리(Tandoori)\'를 사용한 요리는 별미이다. 탄두리는 흙으로 만들어진 화덕을칭하는 인도어로 24시간 동안 계속 숯불에 달구어져 있다. 이 옹기에 양이나 소, 닭, 돼지고기를 바비큐 스타일로 구워지는 음식을 탄두리 음식이라고 한다. 닭을 요구르트와 고추, 커더멈, 정향, 계피, 커민씨드를 넣어 양념한 후 탄두리에 구워낸탄두리 치킨이 우리 입맛에 맞다.
인도 대표격으로 알려진 음식은 역시커리. 양고기,닭고기, 생선을 기본으로 소스로 쓰이는 양파, 토마토,요구르트 등을 넣어 끊이고, 집집마다 취향에 맞게 배합한 향신료(기본적인 향신료는 마살라)를 넣고 걸쭉하게 끊이는데, 주식의 반찬으로 먹는다. 카레와 비슷한 \'달(Dhal)\'은 부드럽게 삶은 콩에 마살라를 가미한 것으로 다양한 콩을 사용하며 콩에 따라 맛과 모양이 다르다.
이 외에 만두피에 야채나 고기, 치즈 등을 듬뿍 얹어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내는 인도식 만두 \'사모사\', 고기를 갈아 볼이나 소시지 모양으로 만들어 탄두리에서 구워내는 까밥 등이 있다.
빼놓을 수 없는 인도 홍차 \'차이(Chay)\'는 찻잎에 우유와 설탕, 때로는 가지가 들어간 인도인들이 즐겨 마시는 차이다. 또 요구르트에 설탕과 물을 넣어 청량음료처럼 마시는 \'라 시(Lassi)\'는 단맛과 짠맛이 석인 음료로 여성들이 선호하고 있다.
3)인도의 향이 담긴 전통요리
-빵요리
인도빵은 서구식 빵처럼 모양이나 맛이 그리 다양하지 않다. 모양이라야 밀가루를 반죽해 납작하고 둥글게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특이한 것은 빵에 곁들여 먹는 반찬이 있다는 점이다. 인도인들은 빵만을 먹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음식을 빵에 싸서 같이 먹거나 각종 향신료(마살라)를 넣어 걸쭉하게 만든 커리를 반찬으로 해서 빵을 찍어 먹는다. 인도의 빵은 대체로 \'음식을 위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빠라타처럼 빵안에 다진 양념으로 버무린 야채 따위를 넣어 먹는 경우도 있다.
로띠(Roti)는 인도식 빵의 총칭으로 , 밀가루의 종류와 굽는 방법, 그리고 안에 넣는 내용물 등에 따라 각기 명칭이 다른데, 그 중에 짜빠티(Chapati), 난(Naan), 빠라타(Paratha), 뿌리(Puri) 등이 애표적이다.

짜빠티
◎ 가장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인도 빵, 짜빠티(Chapati)
짜빠띠는 인도 빵 종류 가운데 가장 넓은 지역에서 일상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식당에서 로띠를 주문하면 이것이 나온다. 즉, 짜빠띠는 인도의 대표적인 빠응로 인도빵의 대명사라 할 수 있으며, 로띠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정제하지 않은 밀가루(통밀을 그대로 빻은 밀가루로 \'아따\'라고 부른다.)를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그래서인지 소화가 잘 되는 편이다. 간을 하지 않거나 소금을 약간 넣은 밀가루 반죽을 발표시키지 않은 채, 둥근 방망이로 밀어서 얇고 평평하고 둥글게 모양을 만들어, 철판이나 화덕에서 양면을 구워낸다. 학교의 기숙사나 일반 식당에서 갖아 흔하게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따끈따끈한 것을 뜯어서 먹으면 통밀 고유의 구수한 맛을 즐길 수 있으며, 싱겁고 담백한 맛이 있어 물리지 않고 먹을 수 있다. 대량으로 음식을 구울 때는 화덕을 쓰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따와(Tava)\'라고 하는 둥글고 두툼한 쇠판을 사용한다. 이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06.2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