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목차
Ⅰ. 콘크리트 공학
1. 콘크리트의 정의
2. 시멘트의 역사
3. 시멘트의 화학성분 및 반응
4. 굳기 전 콘크리트의 물성
5. 굳은 후 콘크리트의 물성
6. 최신 콘크리트의 개발
Ⅱ. 특 수 콘 크 리 트
1. 고강도 콘크리트
1-1. 개 요
1-2.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
1) 강도상의 정의
2) 제조방법사의 정의
3) 제조방법
4) 시공방법
2. 경량콘크리트
2-1. 개 요
2-2. 경량골재 콘크리트
1) 경량골재의 종류
2-3.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특징
3. 섬유보강 콘크리트
3-1. 개 요
Ⅲ. 고강도 콘크리트
1. 머리말
2. 콘크리트강도의 이론적인 한계
3. 고강도콘크리트 재료의 선정
3.1 시멘트
3.2 골 재
3.2.1 잔골재
3.2.2 굵은골재
3.3 혼화재료
3.3.1 고성능AE감수제
3.3.2 포졸란 재료
4.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수법
4.1 결합재 자체의 고강도화
4.2 결합재와 골재계면의 결합력 증강
5.배치,비비기 및 운반
5.1 개요
5.1.1 믹서
5.1.2 재료투입순서
5.1.3 비비기 시간
5.2 운반
5.2.1 일반사항
5.2.2 운반차
6. 맺음말
Ⅳ. 콘크리트의 중성화 및 중성화 속도
Ⅰ. 서 론
- 콘크리트 중성화 정의
Ⅱ. 본 론
1. 콘크리트 중성화에 미치는 주요인
2. 콘크리트 중성화의 조사방법
3. 콘크리트 중성화에 따른 콘크리트 성질
4. 콘크리트 중성화의 속도
Ⅲ. 결 론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책
Ⅴ. 콘크리트의 균열 및 방지대책
1. 균열의 개요
2. 초기균열
3. 경화 후의 균열
4. 하중에 의한 균열
5. 균열의 평가
6. 균열의 보수방법
Ⅵ. 철근 콘크리트의 유래
1. 인공결합재
2. 선사시대의 석회콘크리트
3. 로마시대의 포졸라나
4. 콘크리트의 부활과 자연산 시멘트
5. 포틀랜드 시멘트
6. 철근콘크리트의 등장
1. 콘크리트의 정의
2. 시멘트의 역사
3. 시멘트의 화학성분 및 반응
4. 굳기 전 콘크리트의 물성
5. 굳은 후 콘크리트의 물성
6. 최신 콘크리트의 개발
Ⅱ. 특 수 콘 크 리 트
1. 고강도 콘크리트
1-1. 개 요
1-2.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
1) 강도상의 정의
2) 제조방법사의 정의
3) 제조방법
4) 시공방법
2. 경량콘크리트
2-1. 개 요
2-2. 경량골재 콘크리트
1) 경량골재의 종류
2-3.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특징
3. 섬유보강 콘크리트
3-1. 개 요
Ⅲ. 고강도 콘크리트
1. 머리말
2. 콘크리트강도의 이론적인 한계
3. 고강도콘크리트 재료의 선정
3.1 시멘트
3.2 골 재
3.2.1 잔골재
3.2.2 굵은골재
3.3 혼화재료
3.3.1 고성능AE감수제
3.3.2 포졸란 재료
4.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수법
4.1 결합재 자체의 고강도화
4.2 결합재와 골재계면의 결합력 증강
5.배치,비비기 및 운반
5.1 개요
5.1.1 믹서
5.1.2 재료투입순서
5.1.3 비비기 시간
5.2 운반
5.2.1 일반사항
5.2.2 운반차
6. 맺음말
Ⅳ. 콘크리트의 중성화 및 중성화 속도
Ⅰ. 서 론
- 콘크리트 중성화 정의
Ⅱ. 본 론
1. 콘크리트 중성화에 미치는 주요인
2. 콘크리트 중성화의 조사방법
3. 콘크리트 중성화에 따른 콘크리트 성질
4. 콘크리트 중성화의 속도
Ⅲ. 결 론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책
Ⅴ. 콘크리트의 균열 및 방지대책
1. 균열의 개요
2. 초기균열
3. 경화 후의 균열
4. 하중에 의한 균열
5. 균열의 평가
6. 균열의 보수방법
Ⅵ. 철근 콘크리트의 유래
1. 인공결합재
2. 선사시대의 석회콘크리트
3. 로마시대의 포졸라나
4. 콘크리트의 부활과 자연산 시멘트
5. 포틀랜드 시멘트
6. 철근콘크리트의 등장
본문내용
대한 저항이 소실되고 콘크리트는 액상화해서 유동성이 크게 된다. 이 결과 적절하게 진동다짐을 행한 콘크리트는 충진상태가 밀실하게 되어 경화 후의 각종 성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진동 다짐효과는 된비빔 콘크리트의 경우에 현저하다.
진동에 의한 다짐효과는 진동시간과 더불어 크게 되고, 유효범위도 증대한다. 그러나 진동시간이 과대하게 되면 콘크리트는 재료분리를 일으키고, AE콘크리트는 공기량이 감소한다. 이것은 특히 단위수량이 많은 콘크리트의 경우에 현저하다. 따라서 한 개소에서 오래 진동기를 쓰면 효과가 없다. 일반적으로 봉형 진동기의 유효반경을 30~50cm정도로 생각해 삽입간격은 60~75cm이하로 하고 한 개소에서의 진동시간은 15~20초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5. 굳은 후 콘크리트의 물성
(1) 개요
좋은 콘크리트(good uniform concrete)란 요구되는 강도(strenth), 내구성(durability) 및 경제성(economy)을 지닌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콘크리트의 강도가 가장 중요한 성질이라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강도가 콘크리트 품질을 대표하는 성질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콘크리트가 목재나 강재와 같은 다른 재료와 본질적으로 다른 특징은, 첫째 크고 작은 골재입자를 시멘트풀로 결합시킨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라는 것과, 둘째로 결합재인 시멘트풀은 시멘트의 수화반응(hydration)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강도를 발현한다는 데 있다. 그러므로 콘크리트의 품질은 시멘트풀(혼화재료와 공기도 포함)과 골재 등의 구성재료의 개개의 성질에 따라 좌우되는 것만이 아니고, 이들의 복합성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는 구성재료의 성질과 배합비율, W/C비, 배합, 치기, 다짐, 양생방법, 주변환경, 재령 및 시험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에는 강도 이외에도 변형, 체적변화, 균열, 수밀성, 열적성질과 내화성, 내구성, 중량등이 있다.
(2) 콘크리트 강도의 본질
① 콘크리트 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라는 말이 갖는 내용은 매우 복잡하다. 즉 압축, 인장, 휨, 전단, 지압 등의 강도, 철근과의 부착강도, 조합응력에 대한 강도,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하에서의 시간과 관련된 강도(예: 피로강도)등이 모두 포함된 용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콘크리트강도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를 지칭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압축강도가 다른 강도에 비하여 상당히 크고, 또한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도 이것이 유효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 압축강도로부터 다른 강도의 크기와 강도 이외의 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시험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내에 존재하는 공극은 콘크리트의 파괴기구(failure mechanism)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재료파괴시의 변형률이 0.001~0.005사이에 들면 취성거동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콘크리트는 정적하중하의 비교적 낮은 변형률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다소의 소성작용을 갖는다 하더라도 취성재료로 간주된다.
(3) 콘크리트의 강도표현
① 표준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시체로는 현재 우리나라의 KS가 규정하고 있고, 미국, 일본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지름 150mm, 높이 300mm의 원주형 공시체(cylindrical specimen), 영국, 독일 등 유럽 일부 국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변의 길이가 150mm 또는 200mm인 정육면체 공시체(cube specimen), 불란서, 동구권 국가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70×70×350mm 또는 100×100×500mm의 직육면체 공시체(prism specimen)등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원주형공시체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시험전에 모든 공시체는 KS가 규정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공시체를 제작하여 습윤양생하고 재령 28일에 실험한 값을 압축강도로 정의한다.
설계자가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를 위하여 설정한 목표강도를 설계강도(design strength)라 하고, 시공자가 이 설계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설계강도에다 재료의 품질변동 등의 현장조건 등을 고려하고자 1보다 큰 증가계수를 곱한 강도를 배합강도라 하며, KS규정에 따라 재령 28일에 시험으로 얻어지는 강도를 재령 28일 강도라 한다.
(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① 구성재료의 영향
㉠ 시멘트
시멘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일 시멘트의 강도를 K라 하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 콘크리트의 강도
X : 시멘트물비
K : 시멘트 강도
A, B : 상수
㉡ 굵은 골재
ⅰ.골재의 종류
원주형공시체가 극한강도의 50~75%정도의 일축하중을 받게 되면 공시체 표면 및 내부에 수직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균열이 형성되는 응력수준은 주로 굵은 골재의 성질에 따라 좌우된다. 즉 표면이 매끄러운 골재는 거친 골재보다 낮은 응력에서 균열을 형성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기계적인 부착이 어느정도까지는 골재의 표면성질과 골재의 형상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ⅱ.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소정의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하여 굵은 골재의 치수가 큰 것을 사용하게 되면, 단위중량당 시멘트풀과 접촉할 골재의 표면적이 감소하므로 소요수량이 적게 요구되고, 따라서 물 시멘트비가 감소하면서 강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런 거동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38mm 내지 40mm정도까지는 타당하다고 할 수 있으나, 골재치수가 40mm 정도를 초과하게 되면, 감수효과로 인한 강도증가는 골재와 시멘트풀의 접촉면적의 부족과 큰 입자 때문에 생기는 불연속성으로 인한 강도감소효과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특히 부배합의 콘크리트에서는 강도가 오히려 감소하고, 빈배합의 경우에만 강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골재최대치수는 배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배합의 경우에는 100~150mm의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구조용으로 볼
진동에 의한 다짐효과는 진동시간과 더불어 크게 되고, 유효범위도 증대한다. 그러나 진동시간이 과대하게 되면 콘크리트는 재료분리를 일으키고, AE콘크리트는 공기량이 감소한다. 이것은 특히 단위수량이 많은 콘크리트의 경우에 현저하다. 따라서 한 개소에서 오래 진동기를 쓰면 효과가 없다. 일반적으로 봉형 진동기의 유효반경을 30~50cm정도로 생각해 삽입간격은 60~75cm이하로 하고 한 개소에서의 진동시간은 15~20초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5. 굳은 후 콘크리트의 물성
(1) 개요
좋은 콘크리트(good uniform concrete)란 요구되는 강도(strenth), 내구성(durability) 및 경제성(economy)을 지닌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콘크리트의 강도가 가장 중요한 성질이라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강도가 콘크리트 품질을 대표하는 성질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콘크리트가 목재나 강재와 같은 다른 재료와 본질적으로 다른 특징은, 첫째 크고 작은 골재입자를 시멘트풀로 결합시킨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라는 것과, 둘째로 결합재인 시멘트풀은 시멘트의 수화반응(hydration)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강도를 발현한다는 데 있다. 그러므로 콘크리트의 품질은 시멘트풀(혼화재료와 공기도 포함)과 골재 등의 구성재료의 개개의 성질에 따라 좌우되는 것만이 아니고, 이들의 복합성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는 구성재료의 성질과 배합비율, W/C비, 배합, 치기, 다짐, 양생방법, 주변환경, 재령 및 시험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에는 강도 이외에도 변형, 체적변화, 균열, 수밀성, 열적성질과 내화성, 내구성, 중량등이 있다.
(2) 콘크리트 강도의 본질
① 콘크리트 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라는 말이 갖는 내용은 매우 복잡하다. 즉 압축, 인장, 휨, 전단, 지압 등의 강도, 철근과의 부착강도, 조합응력에 대한 강도,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하에서의 시간과 관련된 강도(예: 피로강도)등이 모두 포함된 용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콘크리트강도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를 지칭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압축강도가 다른 강도에 비하여 상당히 크고, 또한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도 이것이 유효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 압축강도로부터 다른 강도의 크기와 강도 이외의 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시험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내에 존재하는 공극은 콘크리트의 파괴기구(failure mechanism)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재료파괴시의 변형률이 0.001~0.005사이에 들면 취성거동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콘크리트는 정적하중하의 비교적 낮은 변형률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다소의 소성작용을 갖는다 하더라도 취성재료로 간주된다.
(3) 콘크리트의 강도표현
① 표준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시체로는 현재 우리나라의 KS가 규정하고 있고, 미국, 일본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지름 150mm, 높이 300mm의 원주형 공시체(cylindrical specimen), 영국, 독일 등 유럽 일부 국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변의 길이가 150mm 또는 200mm인 정육면체 공시체(cube specimen), 불란서, 동구권 국가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70×70×350mm 또는 100×100×500mm의 직육면체 공시체(prism specimen)등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원주형공시체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시험전에 모든 공시체는 KS가 규정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공시체를 제작하여 습윤양생하고 재령 28일에 실험한 값을 압축강도로 정의한다.
설계자가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를 위하여 설정한 목표강도를 설계강도(design strength)라 하고, 시공자가 이 설계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설계강도에다 재료의 품질변동 등의 현장조건 등을 고려하고자 1보다 큰 증가계수를 곱한 강도를 배합강도라 하며, KS규정에 따라 재령 28일에 시험으로 얻어지는 강도를 재령 28일 강도라 한다.
(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① 구성재료의 영향
㉠ 시멘트
시멘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일 시멘트의 강도를 K라 하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 콘크리트의 강도
X : 시멘트물비
K : 시멘트 강도
A, B : 상수
㉡ 굵은 골재
ⅰ.골재의 종류
원주형공시체가 극한강도의 50~75%정도의 일축하중을 받게 되면 공시체 표면 및 내부에 수직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균열이 형성되는 응력수준은 주로 굵은 골재의 성질에 따라 좌우된다. 즉 표면이 매끄러운 골재는 거친 골재보다 낮은 응력에서 균열을 형성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기계적인 부착이 어느정도까지는 골재의 표면성질과 골재의 형상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ⅱ.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소정의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하여 굵은 골재의 치수가 큰 것을 사용하게 되면, 단위중량당 시멘트풀과 접촉할 골재의 표면적이 감소하므로 소요수량이 적게 요구되고, 따라서 물 시멘트비가 감소하면서 강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런 거동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38mm 내지 40mm정도까지는 타당하다고 할 수 있으나, 골재치수가 40mm 정도를 초과하게 되면, 감수효과로 인한 강도증가는 골재와 시멘트풀의 접촉면적의 부족과 큰 입자 때문에 생기는 불연속성으로 인한 강도감소효과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특히 부배합의 콘크리트에서는 강도가 오히려 감소하고, 빈배합의 경우에만 강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골재최대치수는 배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배합의 경우에는 100~150mm의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구조용으로 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