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황오제 (三皇五帝) - 신화와 역사관계성에 대하여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황오제 (三皇五帝) - 신화와 역사관계성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 (起)
승 (承)
1. 삼황오제의 기원과 전승
2. 삼황(三皇) 설화
3. 오제(五帝) 설화
전 (轉) - 삼황오제 신화와 중국 역사의 관계
결 (結)

본문내용

, 태황(泰皇),《사기 史記》
2) 천황, 지황, 인황(人皇)《하도 河圖》
3) 수인(燧人), 복희(伏羲), 신농(神農) 《상서대전 尙書大轉》
4) 복희, 신농, 축융(祝融)《백호통 白虎通》
5) 복희, 여와, 신농《춘추운과추 春秋運科樞》
6) 복희, 신농, 황제(皇帝) 《상서 尙書》
고대 문헌에 나타난 오제(五帝)
1) 태호(太 : 복희), 염제(炎帝 : 신농), 황제, 소호(小), 전욱(頊), 《예기 禮記》
2) 황제, 전욱, 제곡(帝), 당요(唐堯), 우순(虞舜), 《사기 史記》
3) 소호, 전욱, 고신(高辛 : 제곡), 당요, 우순, 《상서 尙書》
삼황(三皇)설화
여와 : 뱀의 몸뚱이에 사람의 얼굴(蛇身人頭), 인류를 탄생시킨 창조의 여신, 혼인제도를 만듬
복희 : 蛇身人頭, 인류에게 불과 도구, 문자의 사용법을 알려줌
신농 : 사람의 몸뚱이에 소의 얼굴(人身牛頭),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켜 줌, 인류문화의 창조자
오제(五帝) 설화
황제(黃帝) : 동서남북의 중앙신, 황색(土)으로 상징되며 중국 개국의 시조
전욱 : 북방의 신, 신과 인간세계의 분화가 이루어짐(天梯의 붕괴), 인류의 수난 시작
제곡 : 중국 고대제왕(古代帝王)의 시조들을 등장시킨 신
요(堯)와 순(舜) : 후세에 가장 이상적인 제왕으로 추앙되는 임금
삼황오제 신화와 중국 역사의 관계
인류문물의 발전과정을 반영
유교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역사이해
신화 그 자체가 역사적 사실이라고는 살수 없지만 어느정도 역사적인 진실성을 내포하고 있음
삼황오제는 역사가 아니지만 우리들이 중국의 역사를 배우기 이전에 꼭 이해해야할 역사의 단서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11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