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심리학의 본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 심리학의 본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Ⅰ. 심리학의 접근방법
1. 심리학의 정의
2. 심리학의 역사

Ⅱ. 현대 심리학의 5가지 접근
1. 신경생물학적 접근
2. 행동적 접근
3. 인지적 접근
4. 정신분석학적 접근
5. 현상학적 접근

Ⅲ. 심리학의 분야
1. 임상심리학
2. 상담심리학
3. 산업심리학
4. 학교심리학
5. 학습심리학
6. 동물심리학
7. 생리심리학
8. 사회심리학
9. 성격심리학
10. 발달심리학
11. 언어심리학

Ⅳ. 심리학의 연구 방법
1. 경험주의
2. 체계적 접근
3. 측정
4. 용어의 정의

Ⅴ. 심리학에서의 측정
1. 측정의종류
2. 자료와 통계

Ⅵ. 현대 심리학의 동향
1. 현대 심리학의 학문적 동향
2. 현대 심리학의 직업적 성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는데 이로 보아 임상전공의 비율이 1975년과 1983년 사이에 크게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미국 심리학자들 중 박사학위를 가진 사람들의 직장 별 분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사실은 약 40%의 심리학자들이 대학에서 연구하거나 가르친다는 것과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일하는 심리학자가 전체의 245가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향은 고학력 심리학자에서 볼 수 있는 경향으로 박사학위가 없으면 기업, 정부기관 등에 직장을 갖는 율이 높아지고 대신 병원 또는 상담소에 취직하거나 개업을 하는 율은 떨어진다.
현대 심리학자의 활동영역은 다양하다. 그들의 활동의 다양성은 미국심리학회 안에 설치되어 있는 분과회(Division이라 불리움)의 이름만 살펴봐도 알 수 있다. 1986년 현재 미국심리학회내에는 42개 분과회가 있었는데 1990년에는 3개 분과(소수인 종의심리학적 연구, 대중매체심리학, 운동 및 스포츠심리학)가 더 생겨 45가 되었다. 앞에서 심리학의 분야라고 제시한 것은 대학원에서의 전공을 의미할 뿐 실제 심리학자들의 활동분야는 훨씬 다양함을 알 수 있다. 한국에는 한국심리학회 회원으로 등록한 사람들을 기준으로 볼 때 398명의 심리학자가 있으며 그중 36%가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다(1990년 현재). 한국심리학회 산하에는 현재 인지 및 실험심리학, 생물 및 생리심리학, 사회심리학,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산업 및 조직심리학, 그리고 발달심리학의 7개 분과회를 두고 있다. 한국의 심리학계는 1978년 이래 급격한 성장을 해왔다.1977년 이전에는 2개의 교육심리학과를 포함해서 모두 6개의 심리학과가 있을 뿐이었으나 1986년 무렵에는 3개의 교육심리학과를 포함해서4개의 심리학과로 늘어났다. 그 후 다시 2개가 늘어 현재(1990년)에는 26개 학과가 있다.
학구심리학자들의 1983년 현재 전공별 분포를 보면, 임상심리학 전공이 20%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고 그 다음이 상담심리학 전공자(15%)이다. 미국의 경우는 임상심리전공자가 36%였고 상담심리전공자가 11%였었다. 이로 보아 비율적으로 우리나라에는 임상심리학 전공자가 아직도 소수에 머물고 있는 반면 상담심리전공자는 비교적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심리학자들의 직장별 분포를 보면, 대학교수가 61%로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 비율은 미국의 43%보다 거의 20%가 더 높은 것이다. 이것은 한국에서 다른 대학 이외의 직장이 아직은 많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진출해 있는 직장은 병원(심경정신과)인데 8%에 해당한다. 병원이나 대학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모두 석사학위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고 대학의 전임교수는 거의 대부분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다. 다른 직장에서 일하는 심리학자는 석사학위나 학사학위 소지자들이다.
(표1-3) 미국의 6개 사회과학분야 박사학위 취득자 변화추이
구 분/년
1970-1971
1975-1976
1979-1980
심리학
6213
10393
10574
역 사
6148
4672
3079
경제학
2716
2850
2498
정치학
3018
2914
2473
사회학
2382
2783
1924
인류학
1007
1356
1191
(표1-4) 미국심리학자들의 전공분야별 최종학위별 분포(1983현재) (Stapp, Tucker, & VandenBos, 1985)
분야
박사
석사
계(%)
임상
44.4
26.5
38.0
학교, 교육
10.6
36.0
19.4
상담
11.2
13.2
11.7
산업, 조직, 공학
6.5
4.8
5.7
실험, 생리
4.5
1.1
3.5
발달
4.1
2.2
3.5

2.9
1.0
2.3
지역사회, 측정, 기타
15.9
15.2
15.8

100.0
100.0
100.0
* 이들의 약 반은 미국심리학회 회원이 아님
(표1-5) 박사학위를 가진 미국 심리학자들의 직장별 분포(Stapp & Fulcher, 1981)
직장
백분율(%)
대학(대학교, 의과대학)
43.1
초, 중등학교, 교육위원회
4.6
병원, 진료소, 지역정신보건소, 상담소
23.9
개 업
14.7
기업체, 정부관청, 연구기관
13.0
기타
0.7

100.0
(표1-6) 미국 심리학의 분과회들 (1986년 현재)
일반심리학
자문심리학
재활심리학
정신지체
심리학교육
산업 및 조직심리학
이론심리학
인구 및 환경심리학
실험심리학
교육심리학
행동의 실험적 분석
여성심리학
평가 및 측정
학교심리학
심리학사
종교문제연구 심리학자
생리 및 비교심리학
상담심리학
지역사회심리학
아동, 청소년,가족봉사
발달심리학
소비자심리학
약물심리학
보건심리학
성격 및 사회심리학
공무원 재직 심리학자
심리치료
정신분석학
사회문제의 심리학 연구
군사심리학
최면심리학
임상신경심리학
심리학과 예술
성인발달과 노화
주 심리학회업무
심리학과 법률
임상심리학
공학심리학
인본주의 심리학
개업심리학자
가족심리학
동성애 심리학적 연구
* .제4분과와 제11분과는 없음
(표1-7) 한국심리학회 회원들의 전공분야별 분포 (1983년 8월 현재) (Cha, 1987)
전공분야
회원수
백분율(%)
임상심리학
49
19.8
상담심리학
37
14.9
발달심리학
28
11.3
산업심리학
26
10.5
사회심리학
23
9.3
교육심리학
20
8.1
실험심리학
17
6.9
측정심리학
8
3.2
성격심리학
8
3.2
기타
32
12.9

248
100.0
(표1-8) 한국심리학회 회원들의 직장별 분포(1983년 8월 현재) (Cha, 1987)
직장
회원수
백분율(%)
대학전임교수
152
61.3
대학강사
16
6.5
연구소 연구원(조교 포함)
16
6.5
정신병원
20
8.0
정부기관
6
2.4
사 기업체(심리학 전문가)
3
1.2
일반회사원, 개인사업
4
1.6
중등학교교사
1
0.4
대학원생, 유학중, 무직
18
7.3
기타
12
4.8

248
100.0
참고문헌
1. 홍대식(역), <심리학개론>, 박영사, 1984
2. 장동환, 김영채, 손정락(역), <심리학입문>, 박영사, 1986
3. 이의철, <심리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7.1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