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동신문』의 헤드라인에 사용되어진 어휘 문체론적 기법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동신문』의 헤드라인에 사용되어진 어휘 문체론적 기법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북한의 문체론 개관

III. 헤드라인에 쓰인 어휘 문체론적 기법

1. 어휘 문체론적 기법

1) 비유법

(1) 직접 비유
(2) 숨은 비유
(3) 이웃비유
(4) 사람비유
(5) 빗댐 비유(야유)

2. 과장법

3. 에두름법

4. 상징법

5. 꾸밈법

6. 헤드라인에 쓰인 그 밖의 형식적 특징

III. 맺는말

본문내용

과장, 상징 등의 어휘 문체론적 기법들은 로동신문의 목적과 취지에 걸 맞는 기사와 내용들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비유와 과장 그리고 상징 등의 어휘 문체론적 기법 등은 기사 전말뿐 아니라 한 문구나 문장의 형태로 제목의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그 기사가 의미하고 있는 내용들을 미리 암시해주는 역할을 하는 헤드라인 속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단락에서는 헤드라인 속에 나타난 어휘 문체론적 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비유법, 과장법, 에두름법, 상징법, 꾸밈법으로 분류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1. 어휘 문체론적 기법
1) 비유법
비유법은 단어의 뜻 변화, 새로운 보충적인 뜻에 기초하여 새로운 의미를 낳게 함으로 써 형상성을 보장하는 수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비유법은 대상, 현상과 비유적 수단 과의 연계의 성격에 따라 ‘직접 비유’, ‘숨은 비유’, ‘이웃 비유’, ‘사람 비유’ 로 분류하여 예를 들어 살펴보았다.
(1) 직접 비유
직접 비유는 어떤 한 대상이나 현상을 다른 대상이나 현상에 직접 비기어 표현함으로써 표현하려는 사상이나 내용을 직관적으로 두드러지게 강조하거나 표현하려는 대상이나 현 상에 대한 생동한 표상을 주는 수법이다. 이 수법은 반드시 비교되는 비교대상이 있어 야하고 비교대상에 관한 본질상 차이가 크면 클수록 표현적 기능이 높아지는 것으로 이 해할 수 있다. ‘처럼’ , ‘같이’ , ‘듯’ 과 같은 방법으로 쓰인다.
ㄱ. 사탕발림 소리에 비낀 미국의 승냥이 같은 속심에 대해 폭로한 글(6면)
ㄴ. 대추씨처럼 야무진 조선 인민병사들(4면)
ㄷ. 혁명적공세의 불바람 같은 대규모자연흐름식 물길건설장(3면)
ㄹ. 위대한 김일성동지의 사상과 위업은 선군의 기치처럼 영원히 빛날 것이다.(1면)
헤드라인 속에 나타난 직접비유의 예를 보면 ‘승냥이 같은’ , ‘대추씨처럼’ , ‘불바람같 은’ 같은 표현을 사용하였다.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생동감 있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데 비교의 표식은 ‘미국’ , ‘조선인민병사들’ , ‘물길건설장’ 등이 될 수 있다.
(2) 숨은 비유
숨은 비유는 대상이나 현상들 사이의 비슷한 표식에 기초하여 본래 가지고 있는 뜻 대 신에 새로운 뜻으로 바꾸어 쓰는 수법이다. 숨은 비유는 비교 대상이나 현상 사이의 비슷 한 속성을 가지고 비교를 한다는 데서 직접비유와의 차이를 두고 있다. 형상적 추상화의 정도를 높이고 섬세한 감정 정서를 나타내는 수법이다. 대상이나 현상을 나타내는 단 어 표식의 유사성이 숨은 비유의 기초가 된다. 『남북한 언어연구』- 북한의 문체, 김영자, (서울:1997), p122.
ㄱ. 김정일동지의 선군정치는 인류를 지켜 주는 만능의 보검.(6면) 
ㄴ. 혁명의 씨앗이다.(3면)
ㄷ. 총칼이 숲은 이룬 전진 속에서도 우리는 굴함이 없어야 한다.(2면)
ㄹ. 청산리정신 청산리방법은 우리 시대의 혁명적 기상이며 나래이다.(1면)
ㅁ. 위대한 령장을 모신 조선은 무적의 강철대오.(6면)
ㅂ. 세계의 청춘, 혁명의 등대, 조선의 심장(4면)
ㅅ. 조국은 내 삶의 정든 집(6면)
위의 예에서 숨은 비유에 사용된 ‘만능의 보검’ , ‘나래’ , ‘강철대오’ , ‘내 삶의 정든 집’ 등은 모두 대상을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그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대상 사이의 유사 성에 기초하여 새로운 문맥적 의미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혁명의 씨앗’ 이라는 숨 은 비유는 씨앗이 싹이 터서 자라는 성질상의 의미를 이용하여 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 바 탕에 비유한 것으로써 새로운 문맥상의 일시적 의미가 형성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총칼이 숲은 이룬 전진 속에서도 우리는 굴함이 없어야 한다.’ 의 예에서도 숨은 비유는 숲은 나무가 우거지거나 꽉 들어찼다는 것을 기초로 적군이 많다는 것을 비유함으 로써 새로운 의미가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이웃비유
이웃 비유란 어떤 한 대상의 이름을 공간적 시간적 인접성에 기초하여 다른 대상의 이 름으로 바꾸어 부름으로써 좀더 일반성 추상성을 띠게 하는 수법이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비교 표현하려는 대상이나 현상과 연관되어 있는 대상이나 현상들의 표식을 내용과 형식 전체에 대한 부분 포함하는 것과 포함되는 것 등의 방법 등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웃 비유는 비유대상과 비유사이에 공간적, 시간적, 기능적으로 깊은 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숨은 비유와 구별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접성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실질적인 것 뿐만 아니라 상징적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고 하면서 상징적 인접성으로 이웃비유를 만든 경우도 있다. 김민수.『김정일 시대의 북한언어』태학사.(서울.1997). p127.
ㄱ. 우등불이 밤을 태운다.(3면)
ㄴ. 온 조선이 당에 송가를 드린다.(3면)
ㄷ. 당신을 기다립니다.(2면), 당신께 최대의 축원을.(2면)
ㄹ. 조국애로 심장을 불 태워야 한다.(3면) 
ㅁ. 위대한 백두령 계시여 주체의 사회주의조국은 영원히 번영할 것이다.(2면) 
ㅂ. 분노한 조선은 원수에게 섬멸적인 죽음을 보장하리라.(6면)
ㅅ. 조선아 그대앞에 영광 있으라.(4면)
위와 같은 예문에서 ‘조선’은 ‘조선인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포함하는 전체집합으로 포 함되는 부분을 대체한 것이다. ‘심장’은 신체의 일부로 사람 전체를 대표한 것이다. 그리 고 ‘백두령’은 백두산의 령을 의미하지만 김정일 장군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이웃 비유는 비유 대상과 비유 사이에 공간적, 시간적, 기능적으로 깊은 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숨은 비유와 구별된다.
인접성에서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실질적인 것 뿐만 아니라 상징적으로도 설정될 수 있 는 상징적 인접성도 이웃 비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 조선이 당에 송가를 드린다.’ , ‘우등불이 밤을 태운다.’ 같은 경우이다. 이웃 비유는 보통 문학작품에 많이 쓰이는데 인물들의 개성적 특성을 생동하게 묘사하며 그에 대한 글 쓰는 사람의 입 장이나 자세를 나타내기 위하여 많이 쓰인다. 하지만 로동신문의 3면의 성격을 빌어 노래 와 문학작품이 실릴 경우 자주 사용되는 것을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7.1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