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동법의 기틀을 마련한 왕 광해군 1

2. 허준의 <동의보감>과 광해군 1

3. 기강을 바로잡아라! 2

4. 광해군은 왜 폭군으로 기억되는가! 3

5. 광해군의 즉위과정 3

6. 왕위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던 광해군 4

7. 인조반정으로 쫓겨난 왕, 광해군 5

본문내용

배되었고, 광해군의 조카인 능양군이 왕위에 올랐다. 그가 바로 인조다. 그리고 정권은 대북파에서 서인으로 넘어갔다. 이때 인조반정을 일으킨 이들은 광해군을 내쫓는 명분으로 폐모살제를 내세웠다.
이후 조선시대 내내, 그리고 어쩌면 지금까지 광해군은 폐모살제한 폭군으로 우리에게 인식되어왔다. 사실 유교사상을 근본사상으로 삼고 있던 조선시대에 폐모살제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니 당시 일반백성들에게 광해군을 내 쫓는 명분으로 폐모살제는 좋은 구실이 되었다. 그러나 과연 폐모살제는 광해군을 내 쫓는 명분이 될 수 있는가? 동·서를 막론하고 중세정치사에서 왕의 혈족을 제거하는 건 결코 드문 일이 아니다. 태종도 왕자의 난을 통해 배다른 형제들을 숙였으며, 세조도 단종을 영월로 유배 보낸 뒤 죽음에 이르게 했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들 세조나 태종을 폭군으로 하지 않고 유독 광해군만을 폭군으로 기억한다. 이는 아마도 역사적인 평가를 그대로 받아들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의 우리는 광해군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물론 광해군에게도 문제가 있었다. 왕위에 대한 불안함으로 자신을 지지하는 대북파만을 등용하고, 소북파와 서인·남인들을 제거해 반정의 불씨를 제공했다. 어쩌면 이것은 왕위 계승에 정통성을 가지지 못했던 광해군의 한계였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광해군은 임진왜란 직후 정신적·경제적으로 황폐해 있던 조선을 다시 세우기 위한 작업들을 과감히 추진해 나갔다.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있었던 엇이다.
지금 우리가 광해군을 더 이상 폭군이라고 이야기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키워드

광해군,   한국사,   역사,   조선,   대동법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20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