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조어도의 지리상·거리상 위치
2. 조어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배경 및 경과
1) 중국이 조어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역사적 배경
2) 일본이 조어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역사적 배경
3. 조어도의 중요성
4. 영토분쟁에 관한 양측 주장
5. 분쟁 현황 및 향후 분쟁 전망
Ⅲ. 결론
참 고 문 헌
Ⅱ. 본론
1. 조어도의 지리상·거리상 위치
2. 조어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배경 및 경과
1) 중국이 조어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역사적 배경
2) 일본이 조어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역사적 배경
3. 조어도의 중요성
4. 영토분쟁에 관한 양측 주장
5. 분쟁 현황 및 향후 분쟁 전망
Ⅲ.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조어도를 둘러싼 중일 영토 분쟁
Ⅰ. 서론
냉전체제가 붕괴 이후 세계 평화에 대한 국제적인 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새로운 위기가 도래한 것이다. 동아시아지역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그 어느 지역보다 더 첨예하고 예민하며 다양한 요인들과 결합하여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영유권 분쟁이다.
인간이 태어난 이후부터 자신들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은 계속되어 왔다. 그것은 동물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도 마찬가지다. 그 결과 현대에 이르러 지구상의 인간이 거주하는 어느 곳에서든지 그 땅의 소유는 명확해졌다. 그러나 1994년 11월 유엔 해양법협약이 발효되면서부터 새로운 형태의 영토확보를 위한 분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보이지 않는 땅, 바다밑의 땅이 그 대상이 된 것이다. 바다밑의 땅이 가치있는 땅으로 급부상한 이래로 많은 분쟁이 일어나고 있다. 독도 영유권 분쟁 또한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있어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크랩을 하면서 중국과 일본도 조어도에 관한 영유권분쟁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 많은 분쟁들 중 우리의 이웃나라인 중국과 일본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조어도 분쟁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결정하였다.
본론에서는 조어도가 어떤 섬인지 알아보고 왜 중국과 일본이 자기들의 영토라고 주장하는지 양측 주장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조어도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영유권 분쟁에 관한 중국과 일본과의 현황과 향후 분쟁 전망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정리하고 나의 의견도 제시할 것이다.
Ⅱ. 본론
1. 조어도의 지리상거리상 위치
일본은 첨각열도(尖閣列島 - Senkaku Islands), 대만은 조어대(釣魚臺 - Tiaoytai), 중 국은 조어도(釣魚島 - Diao-yu Dao)라고 불리는 이 섬은 동중국해의 남부. 일본 오키나 와 본섬의 나하 서쪽 약 420㎞, 중국 대륙의 복주 동쪽 약 420㎞, 석원도 북쪽 175㎞, 대 만의 기륭 북쪽 190㎞ 해역에 위치해 있으며 조어도북소도남소도구장도대정도 등 5개 도서와 비뢰북암남암 등 3개 암초로 구성되어 있다.
조어도의 총면적은 약 6.32㎢이다. 가장 큰 섬인 조어도는 동서 약 3.5㎞, 남북 1.3㎞의 타원형으로 면적은 4.32㎢, 표고 362m로 거의 전 섬이 밀림으로 덮여 있다.주1)
<조어도 위치>
2. 조어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배경 및 경과
중국과 일본간의 조어도 영유권 분쟁은 1971년 미국이 2차대전 종결 이후 점령해오던 오 키나와와 함께 첨각열도를 일본에 반환하자 중국과 대만이 이에 강하게 항의함으로써 시 작되었다.
1) 중국이 조어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역사적 배경
① 조어도는 대만이나 중국 본토의 복건성에서 출어하는 어선들의 전초기지였으며, 특히 물고기가 많이 잡히는 시기에는 수 개월씩 이 섬에서 어부들이 살았다.
↓
② 중국이 조어도를 영유한 기록은 1372년으로서, 명나라의 시조인 홍무제(洪武帝) 가 유 구열도를 중국에 귀속시킴으로 인해 명나라와 청나라는 유구왕국의 종주국으로서 지위 를 가졌다는 것이다. 중국의 황제는 24명의 사절을 중국에 보냈으며, 이들은 귀국 후
주1) http://www.au.ac.kr/report/110/10동중국해및남중국해도서영유권분쟁실태분석.hwp
2004. 6. 21. p.3-4
황제에게 자세한 보고서를 제출하여 조어도를 비롯한 주변의 지리적 환경에 대해 언급 을 하였다. 이처럼 조어도는 명나라 이후부터는 유구열도로 가는 항로의 지표로 사용된 것이다.
↓
③ 중국 황제의 사절 중의 한 사람인 칸쳔(Kan Chen)은 1534년 유구를 다녀온 보고서에
5월 11일 저녁 우리는 유구에 속해있는 쿠미(Kumi)섬을 발견하였다.라는 기록이 있 다. 여기서 말하는 Kumi섬이라는 것이 바로 조어도로부터 150해리 동쪽에 위치한 쿠 미지마(Kume Jima, 久米島)라는 섬이다. 그러므로 이 기록에 의하면 유구열도는 조어 도가 아니라, Kume Jima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559년 황제의 사절 중의 한사람인 씬쿵
Ⅰ. 서론
냉전체제가 붕괴 이후 세계 평화에 대한 국제적인 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새로운 위기가 도래한 것이다. 동아시아지역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그 어느 지역보다 더 첨예하고 예민하며 다양한 요인들과 결합하여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영유권 분쟁이다.
인간이 태어난 이후부터 자신들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은 계속되어 왔다. 그것은 동물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도 마찬가지다. 그 결과 현대에 이르러 지구상의 인간이 거주하는 어느 곳에서든지 그 땅의 소유는 명확해졌다. 그러나 1994년 11월 유엔 해양법협약이 발효되면서부터 새로운 형태의 영토확보를 위한 분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보이지 않는 땅, 바다밑의 땅이 그 대상이 된 것이다. 바다밑의 땅이 가치있는 땅으로 급부상한 이래로 많은 분쟁이 일어나고 있다. 독도 영유권 분쟁 또한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있어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크랩을 하면서 중국과 일본도 조어도에 관한 영유권분쟁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 많은 분쟁들 중 우리의 이웃나라인 중국과 일본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조어도 분쟁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결정하였다.
본론에서는 조어도가 어떤 섬인지 알아보고 왜 중국과 일본이 자기들의 영토라고 주장하는지 양측 주장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조어도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영유권 분쟁에 관한 중국과 일본과의 현황과 향후 분쟁 전망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정리하고 나의 의견도 제시할 것이다.
Ⅱ. 본론
1. 조어도의 지리상거리상 위치
일본은 첨각열도(尖閣列島 - Senkaku Islands), 대만은 조어대(釣魚臺 - Tiaoytai), 중 국은 조어도(釣魚島 - Diao-yu Dao)라고 불리는 이 섬은 동중국해의 남부. 일본 오키나 와 본섬의 나하 서쪽 약 420㎞, 중국 대륙의 복주 동쪽 약 420㎞, 석원도 북쪽 175㎞, 대 만의 기륭 북쪽 190㎞ 해역에 위치해 있으며 조어도북소도남소도구장도대정도 등 5개 도서와 비뢰북암남암 등 3개 암초로 구성되어 있다.
조어도의 총면적은 약 6.32㎢이다. 가장 큰 섬인 조어도는 동서 약 3.5㎞, 남북 1.3㎞의 타원형으로 면적은 4.32㎢, 표고 362m로 거의 전 섬이 밀림으로 덮여 있다.주1)
<조어도 위치>
2. 조어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배경 및 경과
중국과 일본간의 조어도 영유권 분쟁은 1971년 미국이 2차대전 종결 이후 점령해오던 오 키나와와 함께 첨각열도를 일본에 반환하자 중국과 대만이 이에 강하게 항의함으로써 시 작되었다.
1) 중국이 조어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역사적 배경
① 조어도는 대만이나 중국 본토의 복건성에서 출어하는 어선들의 전초기지였으며, 특히 물고기가 많이 잡히는 시기에는 수 개월씩 이 섬에서 어부들이 살았다.
↓
② 중국이 조어도를 영유한 기록은 1372년으로서, 명나라의 시조인 홍무제(洪武帝) 가 유 구열도를 중국에 귀속시킴으로 인해 명나라와 청나라는 유구왕국의 종주국으로서 지위 를 가졌다는 것이다. 중국의 황제는 24명의 사절을 중국에 보냈으며, 이들은 귀국 후
주1) http://www.au.ac.kr/report/110/10동중국해및남중국해도서영유권분쟁실태분석.hwp
2004. 6. 21. p.3-4
황제에게 자세한 보고서를 제출하여 조어도를 비롯한 주변의 지리적 환경에 대해 언급 을 하였다. 이처럼 조어도는 명나라 이후부터는 유구열도로 가는 항로의 지표로 사용된 것이다.
↓
③ 중국 황제의 사절 중의 한 사람인 칸쳔(Kan Chen)은 1534년 유구를 다녀온 보고서에
5월 11일 저녁 우리는 유구에 속해있는 쿠미(Kumi)섬을 발견하였다.라는 기록이 있 다. 여기서 말하는 Kumi섬이라는 것이 바로 조어도로부터 150해리 동쪽에 위치한 쿠 미지마(Kume Jima, 久米島)라는 섬이다. 그러므로 이 기록에 의하면 유구열도는 조어 도가 아니라, Kume Jima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559년 황제의 사절 중의 한사람인 씬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