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 전반에 관한 내용 요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처치 전반에 관한 내용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 안정
심한 shock 수반
응급처치 : 겨드랑이부터 발가락까지 충분한 길이의 부목, 7개의 삼각건
한사람 한손씩 발 뒤꿈치와 발을 각각잡음
하지를 바른자세로 끌어당겨 잡고 허리,무릎,발목 밑으로 삼각건
넣고 부목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음
같은 모양의 짧은 부목 대퇴골 안쪽에 대고 붕대로 묶음
부목이 없을 경우 양다리를 잘 고인 후 양다리 합쳐 붕대 묶음
- 슬개골 골절
증상 : 구르거나 부딪히는 경우 생김
슬개골을 만져보면 부러진 부분을 알 수 있음, 일반적 골절 증상
응급처치 : 폭10cm이상, 허리에서 발뒤꿈치까지 길이의 부목을 밑으로 댐
무릎, 발 뒤꿈치 고임, 붕대를 슬개골 위, 아래에 하나씩 부목에
묶고 다른 2개의 붕대로 다리와 부목에 단단히 고정
붓는 것을 위해 둘러 싸매지는 않는다
부목이 없다면 베게나 담요로 대용
- 하퇴골 골절
증상 : 무릎과 발목 사이 1개이상의 뼈가 부러졌을 경우
2개가 다부러진 경우 - 일반골절증상
1개가 부러진 경우 - 기형이 별로 나타나지 않음
발목 바로 위의 골절 - 염좌로 착각하기 쉬움
응급처치 : 허리-발끝, 엉덩이-발끝의 부목준비
골절된 다리밑 대퇴부분에 2개 하퇴부분에 2개의 삼각건
-무릎과 발목아래에 넣음 - 다리바깥과 안쪽에 부목을 댐
하퇴 위아래, 대퇴 부분 고정
운반시 골절되지 않은 다리와 함께 묶어 운반
부목이 없다면 양다리 사이에 부드러운 물건 고이고
양다리 묶어 고정
- 발목, 발등 골절
발목 골절시 : 발전체 담요로 싸서 붕대로 감아 고정
담요가 없다면 발뒤축-무릎아래 2개의 부목을 싸서 양쪽으로
하나씩 묶어 고정, 통증완화위해 구두와 양말을 벗기고 넓은
헝겁을 두툼히 고임, 붕대묶음
4) 탈 구
- 정의 : 관절이 어긋나 뼈가 제자리에서 물러난 상태
뼈를 연결하는 인대, 액랑의 부분적, 전면적 파손
관절주위의 혈관, 건, 근육, 신경등의 손상 및 파손
- 원인 : 타박, 떨어지거나 넘어짐, 심한 근육운동
어깨와 손가락 탈구가 가장 많음, 하악골, 주관절, 대퇴골관절, 슬개골
- 증상 : 매우 아픔, 관절모양이 붓고 변함, 관절의 운동이 불완전
심한 shock 동반
- 응급처치 : 빠르고도 정확한 처치 필요
비상시가 아니면 의료전문요원이 하는 것이 원칙
찬물찜질로 통증완화, 붓는 것을 막음, shock 응급처치
슬관절 탈구 부상시 배게나 윗도리 접어 무릎밑에 괴어줌
5) 염 좌
- 원인 : 직접, 간접 충격이 관절에 작용, 무리한 관절운동
인대의 부분적, 전변적 손상
정상범위 벗어난 관절운동, 심한 근육활동
무거운 것을 무리하여 들거나 떨어졌을 때 생김
- 증상 : 손상과 동시에 아프고 붓고 움직일수록 통증
피부색이 곧 변하지 않으나 변색하면 수주 계속
- 응급처치 : 염좌와 탈구, 관절골절의 구별 판단
골절의 의심이 있다면 골절로 간주 처치
정도의 차이가 심함
-일반적 응급처치
: 부위를 높이고 손목은 팔걸이
발목은 옷이나 배게 염좌된 부위에 괴어 높이고 안정, 냉찜질
손상이 골절을 겸하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한 걷지 않도록 한다
6) 특수한 골절 상황
◎ 머리, 척추 골절
머리, 목, 척추부상 - 사망의 반을 차지
교통사고가 대부분, 추락, 스포츠, 폭력
심각한 것으로 간주 - 뇌부상, 신체마비, 사망
증상 : 의식변화
심한고통 머리, 목, 등에 압박
손, 손가락, 발, 발톱에 따끔따끔한 아픔, 감각상실
신체 움직임의 부분적, 완전한 상실, 등이나 머리에 이상한 충격과 압박
코나 귀에 피나 다른 유동체
머리, 목, 등의 심한 외부 출혈, 발작
부상으로 인한 불완전한 호흡과 손상된 시력, 메스꺼움과 구토
균형감각 상실, 귀 뒤나 눈 주변, 머리의 타박상
응급처치 : 119나 의료기관에 필히 전화
환자의 경추 움직임을 최소화
머리-신체와 일직선으로 고정, 의료인이 올때까지 보호
한쪽으로 심하게 돌려져 있는 경우 - 그대로 유지 고정 보호
의식이 없는 경우 기도개방, 호흡 확인
심한 출혈 조절, 몸 온도 주의
머리, 목, 척추 골절에 있어서 일반적 처치
- 머리, 목, 등의 움직임의 최소화 하라
- 기도가 열려 있도록 하라
- 의식과 호흡을 확인하라
- 외부출혈을 조절하라
- 환자가 차가워지거나 열이 많이 나지 않도록 하라
◎ 늑골, 골반의 골절
추락, 스포츠, 사고 - 압도적으로 누르고 관통하는 힘을 기인
늑골골절의 경우 고통 때문에 숨을 잘 쉬기 어렵고 숨이 작고 얕다.
환자의 피부가 창백, 출혈가능
심각한 가슴부상은 등부상을 동반
가슴에 환자의 담요나 배게등의 물건사용,
팔을 대고 묶는 것은 호흡을 도울수 있다
가능하면 환자가 평평한 곳에 누워있도록 하라
내부 출혈이 있는지 주목
전문의료인이 도착시까지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라
◎ 골 관절 근육 손상
골절
뼈가 부러지거나 깨진 경우
단순골절(폐쇄성 골절)
단순히 뼈만 금이 가거나 부러진 경우. 골절부위 상처가 없다.
분쇄 골절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숴 진 경우
개방성(복합골절) 골절
외상이 동반하며 피부가 찢어지고 뼈는 돌출되어 피부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 오염된다.
폐쇄성골절
주변피부는 찢어지지 않은 채 주변의 조직 손상으로 부종이 있다.
탈구
관절에서 뼈의 어긋남(탈구(은 뼈를 다른 위치로 비틀거리게 하는 강한 힘이나 강한 근육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인대 손상이 동반하기도 한다. 탈구되는 관절은 어깨, 엄지, 손가락 턱 관절이다.
연조직 손상
인대나 근육의 손상을 말한다.
염좌
뼈와 근육이 연결되는 곳에서 근육이나 이를 연결하는 인대가 일부분 찢어진 것
파열
근육 자체 또는 인대가 완전히 찢어진 것
깊은 타박
찢어진 근육이 여럿이면 심한 타박이 일어난다.
뼈 관절 근육 손상의 판정
※ 알아둘 것
o 바로 전에 발생한 충돌이나 낙상
o 부러진 뼈나 끊어진 인대에서 나는 툭하는 소리
o 근육 손상으로 인한 날카로운 통증
o 사지를 정상으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것
o 다친 곳이나 부근의 통증이 움직일 때마다 심해진다. 심하고 욱신거리는 통증은 흔히 탈구를 의미하며 반면에 뼈 바로 위를 만질 때의 통증은 골절을 의미한다.
o 튀어나오고 붓고, 멍이 있다.
o 골절이 허벅지 뼈, 갈비뼈 또는 골반 뼈에 오면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77페이지
  • 등록일2004.08.10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