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UN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urea는 거의 모두가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배설되지만 그 일부는 세뇨관 및 유두부에서 수동적으로 재흡수되어 혈류로 유입된다.
(4) 재흡수되는 양은 생체내 수분량, 즉, 수분의 재흡수량에 따라 규제를 받는데 생리적으로는 사구체로 여과된 양의 35%가 재흡수된다.
(5) 그러나 탈수 시에는 재흡수량이 60%에 달한다.
(6) 사구체 여과치가 50% 이하로 떨어지면 혈중 urea는 정성 범위 이상으로 증가한다. 즉 사구체 여과량의 감소와 동시에 증가한다.
(7) 혈중 urea는 사구체 여과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조직 붕괴 정도, 단백 섭취량, 소화관내 혈액(소화관 출혈), 생체내 수분량, 요량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8) 신사구체 기능을 평가할 경우 반드시 혈철 creatinine과 대비할 필요가 있다.
(9) 생리적인 상태에서는 BUN : Creatinine = 10 : 1 이다. 그리고 임신, 중증 간부전, 만성적인 저영양 상태에서는 이 비율이 낮아진다.
(10) BUN이 정상보다 낮은 경우(저질소혈증 : hypoazotemia)와 높은 경우(고질소혈증 : azotemia)가 있으나 임상적으로는 후자의 목적으로 BUN을 주로 측정한다.
(11) 저질소혈증은 단순히 현상으로 이해할 뿐 임상적인 의의는 별로 없다.
<임상적 의의>
(1) 혈장내 평균 농도: 15-20mg/dl
(2) 감소되는 경우 : 신소관내 재흡수의 희석과 결여, 간 질환, 기아 상태
(3) 증가하는 경우 : 신장 기능 저하, 열, 스테로이드 사용, 종양, 울혈성 심부전, 세뇨관 혹은 요도 폐쇄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16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