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고 재해 환경 파괴를 없애라
2. 협력 업체에도 환경 보호 요구
3. 신뢰를 전파하는 종업원
4. NGO와도 협력한다.
5. 부패는 인간의 진보를 가로막는다.
2. 협력 업체에도 환경 보호 요구
3. 신뢰를 전파하는 종업원
4. NGO와도 협력한다.
5. 부패는 인간의 진보를 가로막는다.
본문내용
아모코가 합병을 발표했을 때 세계 경제는 놀라움을 표시했다. 1,100억 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합병 규모도 사건이었지만 메이저들 사이의 생존을 위한 결합이란 사실이 더욱 눈길을 끌었다. 합병 회사 BP는 이와 함께 국제 석유 시장의 3대 메이저로 등장하게 됐다.
아모코와의 합병은 지난1909년 설립된 BP에게도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90년 역사에서 세계 최대 기업의 하나로 거듭나게 되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BP의 시작은 19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BP의 탄생에 초석을 놓은 영국의 부호 윌리엄 녹스 드 아키는 석유를 찾기 위해 이란사막으로 진출해 사업을 시작했다. 벤처 사업가로서 낯선 환경의 어려움과 싸우던 드 아키는 마침내 1908년 유전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이듬해 BP의 전신인 '앵글로-페르시안 오일'이 탄생하게 된다. 그러나 개척자 드 아키는 그 동안의 비용 부담으로 인해 창업 대열에는 참여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지만 BP는 자사의 역사를 기록할 때 꼭 1901년의 출발부터 시작한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 정신과 진보의 기업 정신이 난관을 극복한 개척자 드 아키에서부터 출발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BP는 양차 대전 중 급성장을 경험하기도 했고 50년대에는 집중 투자돼 있던 이란에서 지분 전체가 국유화되는 시련을 당하기도 했다. 또한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으면서 오랫동안 국영 기업으로 구분되기도 했다.
BP에게 가장 고통스러웠던 시기는 70년대이다.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생존 전략으로 취한 다각화 전략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석유 회사 BP가 한때나마 식품 산업까지 손을 댔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70년대 초 1차 석유 파동을 겪은 BP는 수입원을 다양화하는 차원에서 영양 사업, 식품 산업으로 진출했다. 심지어 동물 식품까지 만들었다. 물론 영양 사업은 지난 50년대부터 약간 인연이 있었다. 석유를 단백질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기술은 오래지 않아 폐기되고 말았다.
BP는 이와 함께 광산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석탄을 포함해 각종 광물을 채굴하기도 했다.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 통신 산업에도 다리를 걸쳤다. 그러나 80년대 들어 석유 관련 분야에서 사업을 집중한다는 기본 전략을 설정하고 다각화 분야의 계열사들을 차례차례 매각했다. 성공과 실패가 분야에 따라 엇갈렸지만 방만한 사업은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매각 작업은 90년대 초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됐다.
BP는 70년대의 다각화를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한다. 실패라기보다는 생존 과정 중 나타난 어쩔 수 없는 시행착오였다는 것이다. 반면 80년대의 집중화 전략이야 말로 오늘날의 BP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최선의 방책으로 평가한다. 이전 시기의 전략적 오류를 과감하게 인정하고 다시 한 번 시도한 변신이 BP를 성공한 기업으로 거듭나게 했다는 것이다. BP는 이를 창업 초기부터 내려오는 변화와 진보를 추구하는 기업 정신이라고 설명한다.
아모코와의 합병은 지난1909년 설립된 BP에게도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90년 역사에서 세계 최대 기업의 하나로 거듭나게 되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BP의 시작은 19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BP의 탄생에 초석을 놓은 영국의 부호 윌리엄 녹스 드 아키는 석유를 찾기 위해 이란사막으로 진출해 사업을 시작했다. 벤처 사업가로서 낯선 환경의 어려움과 싸우던 드 아키는 마침내 1908년 유전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이듬해 BP의 전신인 '앵글로-페르시안 오일'이 탄생하게 된다. 그러나 개척자 드 아키는 그 동안의 비용 부담으로 인해 창업 대열에는 참여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지만 BP는 자사의 역사를 기록할 때 꼭 1901년의 출발부터 시작한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 정신과 진보의 기업 정신이 난관을 극복한 개척자 드 아키에서부터 출발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BP는 양차 대전 중 급성장을 경험하기도 했고 50년대에는 집중 투자돼 있던 이란에서 지분 전체가 국유화되는 시련을 당하기도 했다. 또한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으면서 오랫동안 국영 기업으로 구분되기도 했다.
BP에게 가장 고통스러웠던 시기는 70년대이다.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생존 전략으로 취한 다각화 전략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석유 회사 BP가 한때나마 식품 산업까지 손을 댔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70년대 초 1차 석유 파동을 겪은 BP는 수입원을 다양화하는 차원에서 영양 사업, 식품 산업으로 진출했다. 심지어 동물 식품까지 만들었다. 물론 영양 사업은 지난 50년대부터 약간 인연이 있었다. 석유를 단백질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기술은 오래지 않아 폐기되고 말았다.
BP는 이와 함께 광산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석탄을 포함해 각종 광물을 채굴하기도 했다.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 통신 산업에도 다리를 걸쳤다. 그러나 80년대 들어 석유 관련 분야에서 사업을 집중한다는 기본 전략을 설정하고 다각화 분야의 계열사들을 차례차례 매각했다. 성공과 실패가 분야에 따라 엇갈렸지만 방만한 사업은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매각 작업은 90년대 초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됐다.
BP는 70년대의 다각화를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한다. 실패라기보다는 생존 과정 중 나타난 어쩔 수 없는 시행착오였다는 것이다. 반면 80년대의 집중화 전략이야 말로 오늘날의 BP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최선의 방책으로 평가한다. 이전 시기의 전략적 오류를 과감하게 인정하고 다시 한 번 시도한 변신이 BP를 성공한 기업으로 거듭나게 했다는 것이다. BP는 이를 창업 초기부터 내려오는 변화와 진보를 추구하는 기업 정신이라고 설명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