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의 법칙(Mendelism)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멘델의 법칙(Mendelis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멘델 (Gregor Johann Mendel, 1822-1884)

본론
1멘델법칙 (Mendelism)
멘델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
유전 용어 익히기
1. 프롤로그 - 다윈과 멘델의 만남
2. 멘델의 교배
3. 멘델의 제 1 법칙 - 대립유전자의 분리
4. 멘델의 제 2 법칙 - 독립적 분리
5. 멘델의 법칙에 대한 염색체상의 근거
6. 가계과 사람의 형질
2. 멘델이 연구한 일곱가지 형질
1) 수도원 정원사 멘델, 유전현상에 대해 설명했다
2) 멘델의 분리의 법칙은 하나의 특성이 유전되는 양상을 설명한다
3) 상동염색체는 각 특성에 대해 두 개의 대립인자를 갖는다
4) 유전학자들은 검정교배를 이용하여 모르는 유전자형을 결정한다
5) 불완전 우성은 중간형의 표현형을 만든다.
6) 염색체의 움직임은 멘델의 유전법칙을 설명해 준다
7) 같은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는 같이 유전되는 경향이 있다
8) 교차에 의해 대립유전자의 새로운 조합이 만들어진다
9) 유전에 있어 교차의 역할을 보여주는 초파리 실험
3. 멘델법칙에 부합되지 않는 예
(1) 중간유전(불완전 우성)
(3) 치사
(4) 다인자 유전

결론

본문내용

: 병에 걸린 어린아이들의 양친이 서로 친척간이어서 둘이 공통조상에서 대립유전자를 받는다고 생각하면, 이 가계에서 유전병 대립유전자는 제 1세대의 두 개체 중 하나에서 나타나서 이형접합성 상태로 숨겨진 채 다음 세대 로 전달되다가, 두 이형접합자간의 근친혼 결과 1/4의 비율로 동형접합성 아이가 생겨남
2. 멘델이 연구한 일곱가지 형질
(1) 우성과 열성
생물학이 주로 눈으로 보이는 생명체의 모습이나 행동을 그대로 서술하는 기술과학에 지나지 않았던 그 당시에 멘델은 능력있는 실험주의자였다. 그는 연구하고자 하는 특정 형질이 유전적인 면에서 일정하다는 것을 먼저 입증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실험의 초기에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가수분하여 그 자신의 형질과 닮은 자손만을 증식시키는 순계교배계통(순종)을 확립하였다. 이들 순계교배계통을 잡종형성을 위한 교배의 어버이로 선택함으로써 훗날 유전의 법칙을 입증할 수 있는 실험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잡종은 유전형질이 다른 개체들 사이의 교배로 생긴 자손을 말한다.
멘델은 먼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한 쌍의 대립되는 형질을 선택하여 이것이 어떠한 형태로 유전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둥근 콩을 생산하는 순종과 주름진 콩을 생산하는 순종을 교배(타가수분)하였을 때 얻어지는 잡종은 모두 둥근콩을 생산하는 잡종이었다. 이들 제1자식세대(F1)를 자가수분하여 제2자식세대를 얻어 콩 모양을 살펴본 결과 원래의 두 어버이형이 모두 나타났다.
둥근모양의 콩과 같이 두 종류의 순종을 교배하였을 때 F1 잡종세대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형질(Dominant)이라고 한다. F1의 잡종세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제2자손세대(F2)에서 발견되는 형질(예; 주름진 모양)은 열성형질(recessive)이라 한다.
1) 수도원 정원사 멘델, 유전현상에 대해 설명했다.
!) 완두콩 식물을 타가수분하기 위하여 멘델이 사용한 방법
우선 완전히 개화되지 않은 꽃몽우리에서 수술을 잘라 내어 버린 후 자신이 원하는 식물의 수술에서 꽃가루를 얻어 암술에 발라 주었다.
그다음 종이 봉지로 꽃을 잘 싸서 또 다른 꽃가루에 의한 수정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보호하였다. 이런 식으로 해서 멘델은 매세대마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부모를 결정할 수 있었다.
!!) 멘델이 연구한 완두콩에서 나타나는 7가지 종류의 특질
멘델이 자기의 연구 대상으로 콩을 선택한 것은 우연인지는 몰라도 엄청난 행운이다. 그 이유는 완두콩은 매우 다양한 \"대립인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콩의 모양이 둥근것과 주름진 것, 콩의 색깔이 황색인 것과 녹색인 것, 콩껍질 색깔이 회색인것과 흰색인 것, 콩까지의 모양이 매끈한 것과 잘룩한 것, 콩 까지의 색이 녹색인 것과 황색인것, 꽃이 피는 위치가 잎겨드랑이 인 것과 줄기 끝에 있는 것, 줄기의 길이가 큰것과 작은 것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들어 완두콩의 7가지 대립형질이라고 한다.
2) 멘델의 분리의 법칙은 하나의 특성이 유전되는 양상을 설명한다.
우성의 원리
멘델은 초기 실험에서 황색 종자를 맺는 순종 완두와 녹색 종자를 맺는 순종 완두를 교배시켰다.
이 교배 결과 황색콩을 얻을 수 있었다.
멘델이 얻은 결과는 곧 \'우성\'의 발견이었다. 만약에 장다리(줄기의 길이가 짧은 것)과 꺽다리(줄기의 길이가 긴것)을 교배시키면 중간 키를 갖는 완두콩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모두 꺽다리가 생긴다.
멘델은 이 현상을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콩의 경우에는 꺽다리가 장다리에 비해 우월하다.\" 이 경우, 장다리의 징후를 \"열성\"이라고 묘사했다. 모든 교배의 경우에 꼭 한가지 징후는 \'우성\'임을 발견했다.
매끈한 씨앗은 짱구에 대해 \'우성\'이며 밋밋한 꼬투리, 회색종피 그리고 녹색깍지, 부푼 깍지, 긴줄기, 축화 등이 각각의 대립 형질에 대해 \'우성\'이다.
분리의 법칙
양친형의 유전요소가 F1 잡종세대로 전달될 때 액체처럼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잡종세대에 존재하는 두 개의 유전요소는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은 상태고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의 법칙을 멘델의 제1법칙이라고 한다.
[ 실 험 ]
[탐구 목적]
멘델의 양성 잡종 실험을 통해 독립의 법칙을 확인한다.
[탐구 과정]
영희는 멘델의 유전 법칙을 실험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완두의 교배 실험을 하였다.
① 순종으로 확인된 둥글고 황색인 완두콩(RRYY)과 주름지고 녹색인 완두콩(rryy)을 교배하여 모두 둥글고 황색인 잡종 제1대( F₁)를 얻었다.
② 우성 형질의 잡종 제1대( F₁)을 자가 교배하여 잡종 제2대( F₂)를 얻었다.
③ 잡종 제2대에 나타난 완두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그 수와 분리비를 정리하였다.
[탐구 결과]
실험 결과 얻은 F₂의 표현형의 수는 표와 같다.
3) 상동염색체는 각 특성에 대해 두 개의 대립인자를 갖는다.
독립의 법칙
멘델은 두 형질의 행동을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제2법칙을 만들어냈다. 여기서 고려되고 있는 형질은 종자의 색깔(황색이거나 녹색)과 모양(둥글거나 주름진)이다. 둥글고 황색인 순종(RRYY)과 주름지고 녹색인 순종(rryy)을 교배시켰을 때 그들은 둥근고 황색의 이형접합성(RrYy)F1을 생산한다.
F2는 퍼네트의 사각 도표에 표시되어 있다.
네 종류의 표현형이 있는데 이것은 가능한 색깔과 모양의 조합을 모두 표함한다. 이들 표현형의 비는 9:3:3:1이다. 그러나 각각의 형질은 단순히 3:1 의 비율로 나타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4) 유전학자들은 검정교배를 이용하여 모르는 유전자형을 결정한다.
두 가지 형태의 둥근 종자(동형접합성과 이형접합성)를 동형접합성 열성 rr과의 교배를 통하여 구별할 수 있다.
동형접합성 RR은 모두 둥근 자손을 생산하나 Rr은 둥근 것과 주름진 것을 1:1로 생산한다.
5. 불완전 우성은 중간형의 표현형을 만든다.
형접합자가 두 동형접합자의 중간정도의 펴현형을 나타내며 양쪽 어느 것과도 같지 않을 때 이러한 관계를 부분우성(partial dominance)혹은 불완전우성(incomplete dominance)이라고 한다.
불완전우성의 예는 붉은색 꽃을 피우는 금어초와 흰색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8.18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