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분석 기술적분석 기법 총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증권분석 기술적분석 기법 총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이동 평균을 이용한 기법

ⅰ. MACD (Moving Averages Convergence & Divergence)
ⅱ. CCI (Commodity Channel Index)
ⅲ. TRIX
ⅳ. 엔빌로프 (envelope)
ⅴ.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
ⅵ. MAO (Moving Averages Oscillator)

Ⅱ. 시장의 추세를 알아내는 기법

ⅰ.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
ⅱ.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ⅲ. RSI (Relative Strength Index)
ⅳ. ROC (Price Rate of Change)
ⅴ. 이큐볼륨차트 (equi-volume chart)
ⅵ. Parabolic SAR (Stop and Reversal)
ⅶ. 스윙차트 (swing chart)
ⅷ. 등락주선 (ADL : Advance Decline Line)
ⅸ. 등락비율 (ADR : Advance Decline Ratio)

Ⅲ. 가격수준을 알아내는 기법

ⅰ. 스토캐스틱 기법 (Stochastics)
ⅱ. William's %R
ⅲ. 모멘텀 (Momentum)
ⅳ. 코포크 지표

Ⅳ. 거래량을 이용한 기법

ⅰ. SONA (Sonar momentum)
ⅱ. VO (Volume Oscillator)
ⅲ. VR (volume Ratio)
ⅳ. EOM (Ease of Momentum
ⅴ. Co (Chaikin Oscillator)
ⅵ. MFI (Money Flow Index)
ⅶ. LRS (Linear Regression Slope = 선형회귀곡선)

본문내용

횡보구간인데 그림을 보면 장기 볼린져 밴드의 밴드 폭이 단기(20일) 볼린져 밴드 폭과 마찬가지로 좁은 상태이다. 즉 지수가 횡보구간이 상당히 진행되어 주가가 장기간 수렴되어 있는 것을 장기 볼린져 밴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가가 장기, 단기 볼린져 밴드 상단을 돌파할 때 강력한 매수신호로 인식할 수 가 있다.
그외에도 고점 확인 과정, 밴드 지지여부 등에서 장단기를 함께 사용하면서 단기에 발생하는 속임수를 배제할 수 있다.
ⅳ. 실제적용
진행중인 삼성SDI에 적용해보면,
☆.4월달에 좁아진 구간을 주가가 상향돌파하면서 매수의 기회를 맞았다. 25일현재 다시 주좁아지고있으며 상향이탈을 실패한체 하락하는 모습이다.
6. MAO (Moving Averages Oscillator)
ⅰ. 의의
MAO는 단기 이동평균값에서 장기 이동평균값을 뺀 것으로 이동평균선의 골든 크로스나 데드 크로스를 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해 짧은 이동평균에서 긴 이동 평균을 뺀 값을 차트상에서 별도의 구획을 만들어 선이나 막대 그래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 그래프는 시계추처럼 운동한다고 해서 진동자라고 하는데 영어 표현 그대로 오실레이터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동평균오실레이터는 대표적인 후행지표인 이동평균에서 파생된 것이지만 시장의 과열 또는 침체를 나타내는 선행 지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동평균오실레이터가 시장 움직임을 일정범위로 한정해 과열과 침체를 구분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MAO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주고 있다.
①. 오실레이터가 0선 위에 위치하면 현재의 시장가격이 상승추세를 나타내고 반대로 오실 레이터가 0선 아래쪽에 위치하면 현재의 시장가격추세가 하락국면임을 쉽게 알수 있 다.
②. 두 이동평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은 오실레이터가 0선을 돌파하는 시점이므로 식별이 용이하다.
③. 오실레이터의 움직임을 분석하면 두 이동평균선이 언제쯤 서로 교차할 것인지 예상이 가능하다.
④. 시장가격의 움직임과 오실레이터의 divergence를 발견하여 추세전환을 포착하기 쉽다.
ⅱ. 이용방법
오실레이터의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매입신호나 매도신호를 포착하는 방법으로 오실레이터의 값이 (+)에서 0선을 돌파하며 (-)의 값으로 바뀌는 순간이 매도거래의 최적시점이며, 반대로 (-)에서 0선을 돌파하여 (+)로 바뀌는 순간이 매입거래의 최적시점이 된다.
ⅲ. 계산방법
단기이동평균과 장기이동평균의 관계에 따른 오실레이터 값
가격의 추세
단기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과의 관계
오실레이터
상승추세
단기 이동평균 〉장기 이동평균
+
하락추세
단기이동평균 〈 장기이동평균
단기이동평균 = 장기이동평균
-
0
Ⅱ. 시장의 추세를 알아내는 기법
1.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
ⅰ. 개념
웰레스 윌더(J. Welles Wilder. Jr)가 시장이 추세를 가지고 있는 지를 판별하기 위해 개발한 DMI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도 유용성이 높은 지표이지만 이를 이동평균한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와 병행하여 투자에 이용하면 신뢰성은 더욱 높아집니다.
DMI 의 계산은 다음과 같은 단순한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시장이 상승추세일때 당일고가는 전일고가보다 높아야 한다.
시장이 하락추세일때 당일저가는 전일저가보다 낮아야 한다.
ⅱ. 계산 방법
TR(True Range를 n일 동안 이동평균한 값)은 주가의 등락이 심한 국면에서는(상승이든 하락이든) 높게 나타나고, 횡보국면에서는 TR이 낮게 나타납니다. 결국 +DI는 상승추세를 DI는 하락추세를 나타내는 대표값의 의미를 갖습니다.
ⅲ. 이용방법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이며,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DI와 -DI가 같다는 것은 시장의 흐름이 균형상태임을 의미하고 +DI가 -DI보다 크면 클수록 상승탄력성은 크고 +DI가 ?DI보다 작으면 작을수록 하락탄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I가 -DI를 상향돌파 할때가 추세가 상승세로 돌아서는 매수타이밍이며, +DI가 ?DI를 하향 돌파할 때가 추세가 하락세로 전환되는 매도타이밍이 됩니다.
절대값으로 표시되어 항상(+)값을 갖는 DI가 가지는 또 하나의 의미는 추세방향성의 비율입니다. 즉, 만약 +DI가 40%이고-DI가 35%라면 일정기간 동안 추세가 40%상승하였고 35%는 하락하였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머지 25%(40+35=75, 100-75=25)는 시장흐름이 불분명하게 비추세적으로 움직였음을 의미합니다.
ⅳ. 도표설명
위의 도표는 하이트론 일간차트에 DMI 지표를 14일을 적용한 사례입니다. 매매포인트는 기본적인 방법인 +DI와 -DI의 교차를 사용하였다.
우선 ㅁ번으로 표시된 부분에 발생하는 매매 신호는 ADX지표가 20선 이하로 하락하는 구간으로 매매 포인트의 의미가 약한 시점이다.
그 다음에 발생한 매수 포인트에서는 ADX가 비록 20선 아래에 있지만 그 동안의 하락세에서 벗어나 상승 전환 되는 시점이며 주가도 상승세를 지속하는 시점으로 유효한 매수 시점이 됩니다. 상승세를 지속하던 주가는 주가와 +DI가 하락형 역배열을 형성하여 하락 전환을 예상하게 한다.
결국 +DI와 ADX가 높은 수준에서 +DI가 ADX를 하향이탈하여 상승 탄력이 둔화되고 있으
주가의 상승추세선도 이 시점에서 하향 이탈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DI가 ADX를 하향이탈하고 주가가 상승추세선을 이탈하는 시점이 매수 청산 시점이 됩니다.
2.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ⅰ. 개념
DMI 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웰레스 윌더(J. Welles Wilder, Jr)이 개발하였습니다. DMI가 상승이나 하락추세시 상승폭과 하락폭의 비율을 알아내어 추세변화를 찾아내는 기법이라면 ADX는 +DI와 ?DI의 합과 차이를 이용하여 통합한 시장추세를 측정하는 단일지표입니다. ADX는 시장흐름에 추세가 있는지를 그것이 상승추세든 하락추세든 보여주는 \'추세의 존재\'에 대한 판별기법입니다.
ⅱ. 이용방법
①. ADX 가 상승할
  • 가격4,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4.08.25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