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마음을 따를 것인가, 도덕률을 따를 것인가
서론
본론
1.안나의 행동은 옳았는가
2.스티븐의 망설임은 무엇인가
3.‘도덕률’과 마음의 하고자 함
결론
서론
본론
1.안나의 행동은 옳았는가
2.스티븐의 망설임은 무엇인가
3.‘도덕률’과 마음의 하고자 함
결론
본문내용
, 주변 인물들에게 끼칠 심리적 고통까지 계산해 보면 공리주의자들이 말하는 최대 다수의 행복을 끌어낼 수 없다. 또 형식주의자들의 말에 따르면 우리에겐 거짓말을 하지 말라, 등의 꼭 지켜야만 하는 보편적 도덕적 법칙이 있는데 그들은 이 도덕적 규칙을 지키지 못했으므로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행동을 한 셈이다.
칸트는 철학자들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도덕은 절대적 규칙을 따르는 문제, 즉 예외는 결코 허용되지 않으므로 결과가 어떻든 상관없이 우리가 따라야 할 절대적 규칙의 문제라고 믿었다. 칸트는 이를테면 거짓말은 어떠한 경우에도 결코 옳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성이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것을 결코 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므로써 이성적 논의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나는 여기에다 우리에겐 사회화 과정중에 습득한, 꼭 따라야 하는 보편적 규칙들이 있다는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였다. 또 그 규칙들은 개인이 속한 시,공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flexible)는 상대주의적 입장도 받아들였다. 그리고 안나와 스티븐의 사랑의 깊음, 그 내용보다는 그 둘의 행동이 그들이 발 들여논 사회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가족이라는 윤리적 가치 사회를 깨뜨렸다는 것에 문제의 핵심을 두어 접근했다.
개인이 아닌 사회안에서 생활해 나가지 위해서는 자신만의 행복을 넘어선 보편적인 가치들을 따라야 한다. 적어도 늘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렇다. 사랑의 힘이 광장한 것이어서 사회의 가치를 전복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라는 관대한 윤리적 입장을 보여주려 했다면 영화 DAMAGE 는 내겐 실패작이었다.
칸트는 철학자들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도덕은 절대적 규칙을 따르는 문제, 즉 예외는 결코 허용되지 않으므로 결과가 어떻든 상관없이 우리가 따라야 할 절대적 규칙의 문제라고 믿었다. 칸트는 이를테면 거짓말은 어떠한 경우에도 결코 옳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성이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것을 결코 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므로써 이성적 논의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나는 여기에다 우리에겐 사회화 과정중에 습득한, 꼭 따라야 하는 보편적 규칙들이 있다는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였다. 또 그 규칙들은 개인이 속한 시,공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flexible)는 상대주의적 입장도 받아들였다. 그리고 안나와 스티븐의 사랑의 깊음, 그 내용보다는 그 둘의 행동이 그들이 발 들여논 사회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가족이라는 윤리적 가치 사회를 깨뜨렸다는 것에 문제의 핵심을 두어 접근했다.
개인이 아닌 사회안에서 생활해 나가지 위해서는 자신만의 행복을 넘어선 보편적인 가치들을 따라야 한다. 적어도 늘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렇다. 사랑의 힘이 광장한 것이어서 사회의 가치를 전복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라는 관대한 윤리적 입장을 보여주려 했다면 영화 DAMAGE 는 내겐 실패작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