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예술 교과와의 통합 : Looking to the Sky for Color
수업의 배경
수업의 focus
수업 진행
수업 평가
교사들의 배경지식
수업의 확장
<구성주의에 입각한 평가>
1. 학습자 중심의 교육
2. 협동 학습
3. 연계 학습
4. 실제적 삶에의 적용
5.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사
2. Experiencing Original Works of Art in a Museum
introduction
Lesson 1. Setting the Stage
Lesson 2 - The Original Artwork
Lesson 3 -Questions About Art
<구성주의 교육이론에 입각한 평가>
1. 학습자 중심의 교육
2. 협동학습
3. 연계학습
4.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5. 실제적 삶에의 적용
수업의 배경
수업의 focus
수업 진행
수업 평가
교사들의 배경지식
수업의 확장
<구성주의에 입각한 평가>
1. 학습자 중심의 교육
2. 협동 학습
3. 연계 학습
4. 실제적 삶에의 적용
5.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사
2. Experiencing Original Works of Art in a Museum
introduction
Lesson 1. Setting the Stage
Lesson 2 - The Original Artwork
Lesson 3 -Questions About Art
<구성주의 교육이론에 입각한 평가>
1. 학습자 중심의 교육
2. 협동학습
3. 연계학습
4.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5. 실제적 삶에의 적용
본문내용
(AE)-미학 원작에 대한 미적인 문제들을 알고, 박물관에서 누가 이런 정책결정을 내리는지 안다.
Vocabulary
*Curator *Conservator *Conserve *Restore
Instruction
1. 박물관의 작품을 학습하도록 하는 경험을 복습한다.
*전시관들에서 작업을 어떻게 찾았나?
*복제품과 어떻게 달랐나?
*미술관이라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작품은 어떻게 보이며,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미술관 의 노력은 무엇인가?
*미술관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원작과 관련된 미학적인 문제점과 이슈들(딜레마 상황)을 제공한다.
①The case...(홍수에 Bierstadt의 작품이 훼손되었다고 상상을 한 후) 홍수에 의해 훼손 된 작품을 그대로 보존할 것인가? 복원할 것인가?
②The case...(Bierstadt의 그림 안에 그의 자화상이 있다. 풍경화를 선택할 것인가 아니 면 자화상의 가치를 생각해 풍경화를 벗기고, 이미 익숙한 풍경화는 사진 등으로 남길 것인가) reveal / preserve 제기되는 미학적인 문제점
이러한 두 가지 상황에는 어떤 특정한 답도 없음을 강조한다. 즉 작품과 작가, 대중 의 이익을 위해 따져보고 결정해야 함을 인식해 준다.
이러한 문제들을 각자에게 질문하기보다는 상황을 주어 학생들에게 Role play시키는 방법도 재미있을 것이다. 이것은 Simulation을 활용한 수업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실제 사회에서 만나게 되는 과제와 흡사한 과제를 갖고서 토론에 참여하고 협동적 노력에 의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통계학적 개념을 활용해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기술과 능력을 가르칠 수 있는 수업환경을 제시한다.
학습목표 제시
1.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현상에 있는 불확실성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절대적 진리나 지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구성주의 혹은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강조한다.
2. 학생들에게 통계학적 기본개념들을 가르쳐서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 뿐 아니라 남의 견해나 주장의 타당성을 과학적 검증단계를 거쳐 증명할 수 있도록 한다.
3. 훌륭한 주장이나 견해는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하며 동시에 수사적인 설득력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4. 협동적 노력을 통한 문제해결 기술을 가르친다. 즉 그룹 안에서 혹은 그룹간에 다루어야 할 문제에 관해서 같이 조사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협상을 통해 공동의 이해에 도달하도록 하는 기술을 가르친다.
구성주의 교육이론에 입각한 평가
1. 학습자 중심의 교육
학생들에게 세 가지 수업을 통하여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확산적 사고를 유발하게 하여 학습자 스스로 경험, 검증, 시험해 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personal opinion이 informed opinion이 되는 새로운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고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계획, 수행하고 다른 학생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는 세 단계로 나누어 원작의 경험과 박물관의 기능을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시간을 활용했다. 학생들의 반복적인 guess work는 결국 그들의 인지구조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 수업 후에는 학생들의 확산적 사고까지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2. 협동학습
거의 모든 교육과정은 학생들간의 토론에 의해 이루어지게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타인의 의견과 조정하여 formal한 의견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서 협동적 노력을 통한 문제 해결 기술을 습득한다.
3. 연계학습
원작의 배경과 역사적 상황까지 이해하도록 유도함으로서 지리와 역사과목까지 자연스럽게 연계되며 원작의 가치를 이해하는 학생들이 박물관의 역할을 깨닫게 된다. 또한 각각의 objectives에서 밝혔듯이,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등 미술교과 안의 통합교육을 이루었다.
4.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교사는 참여적 관찰자가 되어 학생들에게 인지적 혼란을 일으키기 위한 질문을 던지고 같이 배워나가는 과정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와 박물관은 사전교육, 박물관에서의 학습교육, 다시 학교에서의 수업활동까지 효과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학생 스스로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5. 실제적 삶에의 적용
원작의 가치와 그 보존의 중요성을 깨우친 학생들은 박물관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고 이 과정을 거친 학생들은 박물관을 통해 문화, 예술적 삶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Vocabulary
*Curator *Conservator *Conserve *Restore
Instruction
1. 박물관의 작품을 학습하도록 하는 경험을 복습한다.
*전시관들에서 작업을 어떻게 찾았나?
*복제품과 어떻게 달랐나?
*미술관이라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작품은 어떻게 보이며,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미술관 의 노력은 무엇인가?
*미술관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원작과 관련된 미학적인 문제점과 이슈들(딜레마 상황)을 제공한다.
①The case...(홍수에 Bierstadt의 작품이 훼손되었다고 상상을 한 후) 홍수에 의해 훼손 된 작품을 그대로 보존할 것인가? 복원할 것인가?
②The case...(Bierstadt의 그림 안에 그의 자화상이 있다. 풍경화를 선택할 것인가 아니 면 자화상의 가치를 생각해 풍경화를 벗기고, 이미 익숙한 풍경화는 사진 등으로 남길 것인가) reveal / preserve 제기되는 미학적인 문제점
이러한 두 가지 상황에는 어떤 특정한 답도 없음을 강조한다. 즉 작품과 작가, 대중 의 이익을 위해 따져보고 결정해야 함을 인식해 준다.
이러한 문제들을 각자에게 질문하기보다는 상황을 주어 학생들에게 Role play시키는 방법도 재미있을 것이다. 이것은 Simulation을 활용한 수업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실제 사회에서 만나게 되는 과제와 흡사한 과제를 갖고서 토론에 참여하고 협동적 노력에 의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통계학적 개념을 활용해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기술과 능력을 가르칠 수 있는 수업환경을 제시한다.
학습목표 제시
1.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현상에 있는 불확실성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절대적 진리나 지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구성주의 혹은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강조한다.
2. 학생들에게 통계학적 기본개념들을 가르쳐서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 뿐 아니라 남의 견해나 주장의 타당성을 과학적 검증단계를 거쳐 증명할 수 있도록 한다.
3. 훌륭한 주장이나 견해는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하며 동시에 수사적인 설득력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4. 협동적 노력을 통한 문제해결 기술을 가르친다. 즉 그룹 안에서 혹은 그룹간에 다루어야 할 문제에 관해서 같이 조사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협상을 통해 공동의 이해에 도달하도록 하는 기술을 가르친다.
구성주의 교육이론에 입각한 평가
1. 학습자 중심의 교육
학생들에게 세 가지 수업을 통하여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확산적 사고를 유발하게 하여 학습자 스스로 경험, 검증, 시험해 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personal opinion이 informed opinion이 되는 새로운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고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계획, 수행하고 다른 학생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는 세 단계로 나누어 원작의 경험과 박물관의 기능을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시간을 활용했다. 학생들의 반복적인 guess work는 결국 그들의 인지구조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 수업 후에는 학생들의 확산적 사고까지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2. 협동학습
거의 모든 교육과정은 학생들간의 토론에 의해 이루어지게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타인의 의견과 조정하여 formal한 의견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서 협동적 노력을 통한 문제 해결 기술을 습득한다.
3. 연계학습
원작의 배경과 역사적 상황까지 이해하도록 유도함으로서 지리와 역사과목까지 자연스럽게 연계되며 원작의 가치를 이해하는 학생들이 박물관의 역할을 깨닫게 된다. 또한 각각의 objectives에서 밝혔듯이,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등 미술교과 안의 통합교육을 이루었다.
4. 조력자,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교사는 참여적 관찰자가 되어 학생들에게 인지적 혼란을 일으키기 위한 질문을 던지고 같이 배워나가는 과정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와 박물관은 사전교육, 박물관에서의 학습교육, 다시 학교에서의 수업활동까지 효과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학생 스스로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5. 실제적 삶에의 적용
원작의 가치와 그 보존의 중요성을 깨우친 학생들은 박물관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고 이 과정을 거친 학생들은 박물관을 통해 문화, 예술적 삶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추천자료
[성교육][성교육 목표][성교육 필요성][성교육 시대적 변화][외국 성교육 사례][성교육프로그...
[몬테소리교육][몬테소리교육이론][몬테소리교육프로그램][몬테소리교육방법]몬테소리교육이...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과 언어교육, 청각장애아동의 구화법과 수화법 교육, 청각장애아동의...
영재교육프로그램, 영재교육, 한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미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중국 영재교...
[영재교육프로그램]영재교육과정 정의와 의의, 영재교육과정 동향, 영재교육과정프로그램개발...
[신입사원교육][과업수행자신감][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신입사원의 주의사항][신입사원 교...
[교육연극][교육연극 의의][교육연극 기능][교육연극 효과][교육연극프로그램][교육연극 적용...
[산업교육][산업교육프로그램]산업교육의 개념, 산업교육의 교수체제개발, 산업교육과 금전적...
[영유아프로그램] 2개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하시오 -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과 발도르프 교...
[가족교육론 공통]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영역은 문해교육, 정보교육, 취미특기교육, 인문학교육, 직업기초교육...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노년기 혹은 이혼가정 혹은 재혼가족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계...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평생교육기관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청소년프로그램, 여성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