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전도란?
2. 근육«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3. 유도법
4. 근전계
5.. 근전도 검사
6. 정상근전도
7. 이상 근전도
8. 유발근전도
2. 근육«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3. 유도법
4. 근전계
5.. 근전도 검사
6. 정상근전도
7. 이상 근전도
8. 유발근전도
본문내용
근육부위의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측정하는데 유효
d.초 최대의 강한자극에 의해서 간신히 기록 : 역치는 M파 보다 높다
e.척수전각세포가 관여하므로 척수내 병변의 지표
④T파
a.건반사 (슬개건, 아킬레스건)를 통한 근육의 움직임을 기록한 파형
b.말초신경장애에서는 감쇠또는 소실하며 중추신경장애에서는 항진
2) 반복자극법
①반복자극을 시행하여 M파의 진폭경과를 보는 방법
②신경근육접합부의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
③M파의 점감의 정도는 중증근무력증 진단의 근거
④M파의 점증 : 이튼-램버트 증후군, 다발성근염, 갑상선중독증
3) 2회 발사자극에 의한 H파의 회복곡선
①H파는 척수내 시냅스 상태를 나타내므로 척수전각 내 신경세포의 흥분상태를 검사하는 방법
②제1자극 (조건자극)과 제2자극 (시험자극)
③회복율 : 조건자극에 의한 H1과 시험자극에 의한 H2의 진폭비
④회복곡선
4) 말초신경전도속도의 측정
(1)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 (peripheral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CV)
①M파를 이용하여 측정
②측정부위
상지 정중신경 (median nerve), 척골 신경 (ulnar nerve)
하지 경골신경 (posterior tibal nerve), 비골신경 (peroneal nerve)
③신경 자극점
상지 주관절부, 수근관절부
하지 슬와부, 족관절부
④전도속도(m/초) = D (mm)/T1-T2(msec)
T1 : 자극 S1에 대한 M파의 잠복시간
T2 : 자극 S2에 대한 M파의 잠복시간
D : 자극점 사이의 거리
⑤말초운동신경장애가 있는 경우 MCV가 지연된다
⑥저온상태, 소아나 노인에게는 전도속도 감소
(2) 말초지각신경전도속도 (peripheral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SCV)
①지각신경 활동전위 그 자체를 지표로 기록하여 그 잠복시간으로부터 측정
②지각 신경 활동전위는 M파와 같이 synaptic delay가 없으므로 M파의 출현보다 일찍 나타나 잠복시간이 짧다
③측정부위
상지 정중신경, 척골신경
하지 비복신경 및 경골신경
④측정법
순행성
역행성
(3) F파를 이용한 운동신경전도속도의 측정 (F-MCV)
①말초신경의 중추부의 운동신경전도 속도가 측정
②M파에 의한 전도 속도 측정법으로는 불가능한 중추부의 진단에 유효
(4) H파를 이용한 지각신경전도속도의 측정 (HCV)
group Ia 섬유의 신경전도 속도를 측정
d.초 최대의 강한자극에 의해서 간신히 기록 : 역치는 M파 보다 높다
e.척수전각세포가 관여하므로 척수내 병변의 지표
④T파
a.건반사 (슬개건, 아킬레스건)를 통한 근육의 움직임을 기록한 파형
b.말초신경장애에서는 감쇠또는 소실하며 중추신경장애에서는 항진
2) 반복자극법
①반복자극을 시행하여 M파의 진폭경과를 보는 방법
②신경근육접합부의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
③M파의 점감의 정도는 중증근무력증 진단의 근거
④M파의 점증 : 이튼-램버트 증후군, 다발성근염, 갑상선중독증
3) 2회 발사자극에 의한 H파의 회복곡선
①H파는 척수내 시냅스 상태를 나타내므로 척수전각 내 신경세포의 흥분상태를 검사하는 방법
②제1자극 (조건자극)과 제2자극 (시험자극)
③회복율 : 조건자극에 의한 H1과 시험자극에 의한 H2의 진폭비
④회복곡선
4) 말초신경전도속도의 측정
(1)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 (peripheral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CV)
①M파를 이용하여 측정
②측정부위
상지 정중신경 (median nerve), 척골 신경 (ulnar nerve)
하지 경골신경 (posterior tibal nerve), 비골신경 (peroneal nerve)
③신경 자극점
상지 주관절부, 수근관절부
하지 슬와부, 족관절부
④전도속도(m/초) = D (mm)/T1-T2(msec)
T1 : 자극 S1에 대한 M파의 잠복시간
T2 : 자극 S2에 대한 M파의 잠복시간
D : 자극점 사이의 거리
⑤말초운동신경장애가 있는 경우 MCV가 지연된다
⑥저온상태, 소아나 노인에게는 전도속도 감소
(2) 말초지각신경전도속도 (peripheral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SCV)
①지각신경 활동전위 그 자체를 지표로 기록하여 그 잠복시간으로부터 측정
②지각 신경 활동전위는 M파와 같이 synaptic delay가 없으므로 M파의 출현보다 일찍 나타나 잠복시간이 짧다
③측정부위
상지 정중신경, 척골신경
하지 비복신경 및 경골신경
④측정법
순행성
역행성
(3) F파를 이용한 운동신경전도속도의 측정 (F-MCV)
①말초신경의 중추부의 운동신경전도 속도가 측정
②M파에 의한 전도 속도 측정법으로는 불가능한 중추부의 진단에 유효
(4) H파를 이용한 지각신경전도속도의 측정 (HCV)
group Ia 섬유의 신경전도 속도를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