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이론적 고찰
Ⅲ.사례연구
1. 수단
2. 부룬디
3. 르완다
4. 이디오피아-에리트리아
5. 남아프리카 공화국
Ⅵ.결론을 대신하여
Ⅱ.이론적 고찰
Ⅲ.사례연구
1. 수단
2. 부룬디
3. 르완다
4. 이디오피아-에리트리아
5. 남아프리카 공화국
Ⅵ.결론을 대신하여
본문내용
방 출범. 인종주의 표방, ANC 전신 SNANC 출범
1948년 남아공정부 인종차별법(Apartheid) 공식강령으로 채택
1960년 쉐퍼빌 폭동발발, ANC 불법화됨
1961년 ANC와 PAC 게릴라전 실시
1983~1986년 소웨토 봉기이후 전국적인 흑인의 반정부 폭동발발
3,500명 사망. 미국, 영국 대남아공 경제제재 실시
1989년 디 클라크 정권 출범, 인종차별 철폐 선언
흑인 지도자 석방, ANC 등 반정부 흑인조직 합법화
1991년 각종 인종차별법 폐지. 범국민적 개헌협상회의
CODESA 개최 -> 새 헌법안 나옴
1994년 남아공 사상 최초의 흑백 동참 자유총선 실시, ANC 승리
분석
정치체제 : 백인이 권력을 독점한 권위주의 --> 신생민주주의
국내적 상황변화 : 백인 지배층 분열, 흑인해방운동 세력 강화
국제적 개입 : 탈냉전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인권문제 제기)
-> 타협 모색
지도자의 전략 : 디 클라크 타협 전략, 만델라 용서와 화해 전략
추후
전망
만델라에 이어 무베키가 대통령에 당선, 사회적 안정 유지
경제적 차별과 백인들의 해외이민으로 갈등요인이 존재하나,
과격한 분쟁양상은 보이지 않음
참고문헌
1) 테드 R. 거, 『민족대 국가』,이신화 역 , 나남출판
2) 임혁백, “시장국가 시민사회” , 나남출판
3) 반다나 시바, “물전쟁” ,생각의 나무]
4) Joe Klein, Essay \"America Shows Its Colors\" TIME , March 31, 2003
5) 최장집, “제 5강. 현대 민주주의의 딜레마와 민주화 이후 한국민주주의의 쟁점들”
6)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p 20, 후마니타스,2002
7) Lee, Shin-wha. 2001. Environment Matters: Conflicts, Refugees & International Relations, p36~37
8) TIME YEARBOOK 1997
9) 장세돈 주 수단대사(월드칼럼), (정치/해설)칼럼.논단, “ 원조로 얻을 수 없는 평화”, 동아일보 07면 판 1500자 1998-08-10
10)Muriel Mirak-Weissbach, \"Sudan Elections Deemed Fair Amid Foreign-Backed Destabilizations, \" Executive Intelligence Review January 12, 2001, pp 48-50
11) (오피니언/인물)칼럼.논단, “수단 정부의 민족학살 죄(Sudan guilty of genocide)\",세계일보 07면 50판 3885자, 2002-11-07
12) Reuters, \"US sees \'Brewing Disaster\' in Sudan\'s Darfur\", June 7, 2004
13) Reuters, \"Sudan talks reopen finetune to Peace Accrod\" June 27,2004
14) WT논평(오피니언/인물) 칼럼.논단, Sudan guilty of genocide 수단 정부의 민족학살 죄, 2002-11-07 07면 50판 3885자
15) 송화섭, 부룬디의 분쟁해결 위한 새로운 실험, 월간 「국방저널」, 2002년 1월
16) 한국 국방연구원(www.kida.re.kr), 세계분쟁자료-부룬디 내전
17) 한겨례, ‘부룬디 내전 종직 평화협정’, 2003-11-18일자 기사
18) 한양환, ‘후투-투치간 종족분규의 합리적 해결방안 모색,’ (한국 아프리카 학회지 제10집 1997) p163-p189
19) 한국 국방연구원(http://www.kida.re.kr, 세계분쟁자료 검색) 검색일 2004/5/7
20) 연합뉴스(http://www.yna.co.kr) ‘르완다 대선 현 카가메 대통령 압승’ 2003/8/27
21) 연합뉴스(http://www.yna.co.kr) \'콩고 민주 공화국-르완다 평화협정 서명‘, 2002/7/30
22) (월드투데이뉴스 http://worldtodaynews.com/world/africa/ 자료)(검색일:2004.05.08)
23) 국방연구원 http://www.kida.re.kr/woww/ 자료(검색일:2004.05.08)
24) 국방연구원 http://www.kida.re.kr/woww/ 자료(검색일:2004.05.08)
25) 주이디오피아 대사관 http://www.mofat.go.kr/mission/emb/ww_info_view.mof(2003.08.11 작성글)(검색일:2004.05.16)
26) UN 코피아난 총재 발언 (피플스데일리 온라인 http://english.peopledaily.com.cn/ (검색일:2004.05.08)
27) 한국국방연구원에서 펴낸 ‘세계인종분쟁 - 남아프리카공아국의 인종분규’ 참고,
http://www.kida.re.kr/new_0616/indexsub.asp?g=woww , 2004년 5월 14일 검색
28)김 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민주적 이행동학, 박사논문
29) Lynn Berat, \"South Africa Change?\"를 번역한 김한균 ‘남아프리카 : 변화를 위한 협상?’
30) 남아共 \"공존은 계속된다\" , 한국일보 2004-04-28 17:04, 6월 26일 검색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38&article_id=0000231272,
31) Michael S. Lund Barnett R. Rubin Fabienne Hara,\" Learning from Burundi\'s Failed Democratic Transsition, 1993~1996 : Did Internatinal Initiatives Match the Problem?, \" Barnett R. Rubin 편, Cases and Strategies for Preventive Action(New York : Century Foundation Press for the Center for Preventive Action, 1998년), 59, 80~81p
1948년 남아공정부 인종차별법(Apartheid) 공식강령으로 채택
1960년 쉐퍼빌 폭동발발, ANC 불법화됨
1961년 ANC와 PAC 게릴라전 실시
1983~1986년 소웨토 봉기이후 전국적인 흑인의 반정부 폭동발발
3,500명 사망. 미국, 영국 대남아공 경제제재 실시
1989년 디 클라크 정권 출범, 인종차별 철폐 선언
흑인 지도자 석방, ANC 등 반정부 흑인조직 합법화
1991년 각종 인종차별법 폐지. 범국민적 개헌협상회의
CODESA 개최 -> 새 헌법안 나옴
1994년 남아공 사상 최초의 흑백 동참 자유총선 실시, ANC 승리
분석
정치체제 : 백인이 권력을 독점한 권위주의 --> 신생민주주의
국내적 상황변화 : 백인 지배층 분열, 흑인해방운동 세력 강화
국제적 개입 : 탈냉전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인권문제 제기)
-> 타협 모색
지도자의 전략 : 디 클라크 타협 전략, 만델라 용서와 화해 전략
추후
전망
만델라에 이어 무베키가 대통령에 당선, 사회적 안정 유지
경제적 차별과 백인들의 해외이민으로 갈등요인이 존재하나,
과격한 분쟁양상은 보이지 않음
참고문헌
1) 테드 R. 거, 『민족대 국가』,이신화 역 , 나남출판
2) 임혁백, “시장국가 시민사회” , 나남출판
3) 반다나 시바, “물전쟁” ,생각의 나무]
4) Joe Klein, Essay \"America Shows Its Colors\" TIME , March 31, 2003
5) 최장집, “제 5강. 현대 민주주의의 딜레마와 민주화 이후 한국민주주의의 쟁점들”
6)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p 20, 후마니타스,2002
7) Lee, Shin-wha. 2001. Environment Matters: Conflicts, Refugees & International Relations, p36~37
8) TIME YEARBOOK 1997
9) 장세돈 주 수단대사(월드칼럼), (정치/해설)칼럼.논단, “ 원조로 얻을 수 없는 평화”, 동아일보 07면 판 1500자 1998-08-10
10)Muriel Mirak-Weissbach, \"Sudan Elections Deemed Fair Amid Foreign-Backed Destabilizations, \" Executive Intelligence Review January 12, 2001, pp 48-50
11) (오피니언/인물)칼럼.논단, “수단 정부의 민족학살 죄(Sudan guilty of genocide)\",세계일보 07면 50판 3885자, 2002-11-07
12) Reuters, \"US sees \'Brewing Disaster\' in Sudan\'s Darfur\", June 7, 2004
13) Reuters, \"Sudan talks reopen finetune to Peace Accrod\" June 27,2004
14) WT논평(오피니언/인물) 칼럼.논단, Sudan guilty of genocide 수단 정부의 민족학살 죄, 2002-11-07 07면 50판 3885자
15) 송화섭, 부룬디의 분쟁해결 위한 새로운 실험, 월간 「국방저널」, 2002년 1월
16) 한국 국방연구원(www.kida.re.kr), 세계분쟁자료-부룬디 내전
17) 한겨례, ‘부룬디 내전 종직 평화협정’, 2003-11-18일자 기사
18) 한양환, ‘후투-투치간 종족분규의 합리적 해결방안 모색,’ (한국 아프리카 학회지 제10집 1997) p163-p189
19) 한국 국방연구원(http://www.kida.re.kr, 세계분쟁자료 검색) 검색일 2004/5/7
20) 연합뉴스(http://www.yna.co.kr) ‘르완다 대선 현 카가메 대통령 압승’ 2003/8/27
21) 연합뉴스(http://www.yna.co.kr) \'콩고 민주 공화국-르완다 평화협정 서명‘, 2002/7/30
22) (월드투데이뉴스 http://worldtodaynews.com/world/africa/ 자료)(검색일:2004.05.08)
23) 국방연구원 http://www.kida.re.kr/woww/ 자료(검색일:2004.05.08)
24) 국방연구원 http://www.kida.re.kr/woww/ 자료(검색일:2004.05.08)
25) 주이디오피아 대사관 http://www.mofat.go.kr/mission/emb/ww_info_view.mof(2003.08.11 작성글)(검색일:2004.05.16)
26) UN 코피아난 총재 발언 (피플스데일리 온라인 http://english.peopledaily.com.cn/ (검색일:2004.05.08)
27) 한국국방연구원에서 펴낸 ‘세계인종분쟁 - 남아프리카공아국의 인종분규’ 참고,
http://www.kida.re.kr/new_0616/indexsub.asp?g=woww , 2004년 5월 14일 검색
28)김 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민주적 이행동학, 박사논문
29) Lynn Berat, \"South Africa Change?\"를 번역한 김한균 ‘남아프리카 : 변화를 위한 협상?’
30) 남아共 \"공존은 계속된다\" , 한국일보 2004-04-28 17:04, 6월 26일 검색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38&article_id=0000231272,
31) Michael S. Lund Barnett R. Rubin Fabienne Hara,\" Learning from Burundi\'s Failed Democratic Transsition, 1993~1996 : Did Internatinal Initiatives Match the Problem?, \" Barnett R. Rubin 편, Cases and Strategies for Preventive Action(New York : Century Foundation Press for the Center for Preventive Action, 1998년), 59, 80~81p
키워드
추천자료
[정치철학 윤리학] 롤즈 정치적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초 (논문 요약)
[사회복지] 선진국의 지역사회복지 전개 과정에 관한 고찰
[스웨덴의 복지국가][한국사회복지][사회복지][복지정책]스웨덴의 복지국가 사례를 통해 본 ...
[정치철학]매킨타이어의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적 정치이론
[현대국제정치] 현대 국제 정치-역사의 종말』과 『문명의 충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사회운동 주체][사회운동 전개][사회운동 역량][사회운동 분석모형][사회운동 한...
[한국사회][한국사회현상][사회현상][사회문제]한국사회의 변동, 한국사회의 장기실업, 한국...
[시민사회운동]아시아 시민사회의 발전과 평화운동의 가능성 고찰
문화의 정치경제학, 국제통상문제의 정치경제학(보호무역정책), 기업과 언론의 정치경제학(광...
[이탈리아정치]이탈리아정치(이태리정치)의 정당체계와 선거제도, 정당자금제도, 이탈리아정...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 정책결정의 개념과 특성, 정책결정의 과정, 정책결...
[프랑스 사회와 역사] 내가 바라본 프랑스의 사회와 역사 - 똘레랑스(tolérance)...
[사회민주주의 (社會民主主義)] 사회민주주의 개념, 사회민주주의와 복지국가의 관계, 사회민...
숙종~예종 초기의 정치세력과 정치운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