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침묵의 봄을 읽고 [독후감/서평]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침묵의 봄을 읽고 [독후감/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 조사국의 생물학자들은 데이터를 모르고 이 세상에 둘고 없는 대파괴의 모습을 파해쳤다. 살포 계획이 시작되자 마자 곧 시작되는 대파괴의 모습이 뚜렷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곤충을 잡아먹는 새들이 중독되어 죽는 것은 그 조건이 잘 부합되게 되어 있다. 살충제의 독 자체 때문에 또 간접적으로 해를 받기 때문에 새들이 죽게 된다. 쟈바 서부에서 WHO(국제연합 세계 보건기구)가 말라리아를 박멸하려고 하였을 때 굉장히 많은 수의 고양이가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에서 건너온 알풍뎅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로쿠오이 군에서는 8년계획으로 10년만에이커 이상의 지대에 살충제를 뿌려 대파괴를 했으나 결국 잠깐 동안 일시적으로 알풍뎅이를 억제시켰고 알풍뎅이는 서쪽으로 옮아갔다. 자연대책으로는 한국과 중국에서 수입한 기생 말벌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땅속의 알풍뎅이의 유충을 발견하면 암컷 말벌이 이 지방에 정착하고 알풍뎅이 제거에 큰 구실을 하고 있다고 곤충학자에 의해 확인되었다.
8. 그러고 새는 울지 않고 : 노래하지 않는 새 \"And No Birds Sing\"
미국의 많은 넓은 지역엔 새는 돌아오지 않고, 봄만이 오고 있다. 피일드 노우츠에서 「묘하게도 새라는 새가 전부 없어진 공백상태」라는 놀랄 만한 이변이 보도되었다. 네델란드의 느릅나무병 제거를 위한 살포는 1954년 대학 구내로부터 시작되었다. 바아커 박사의 논문에서 였다. 1958년 박사는 그의 논문 중에서 울새의 죽음과 느릅나무와 지렁이라는 복잡한 관계를 훌륭하게 분석하였다. DDT로 인해 울새의 생식 능력이 파괴된다고 한다. Olive-hacked, wood, hermit의 새 종류의 새는 그 우는 소리가 가장 아름다운 것들이다. 그리고 숲밑 관목 사이를 헤매며, 낙엽을 쪼으며 먹이를 찾는 새들 노래하는 참새도 휘파람새도 느릅나무 살포약에 희생이 되었다. 약품 살포는 곤충 뿐만 아니라 곤충의 제일 적인 새를 죽인다. 나중에 곤충이 재발생될 때는 거의 이를 때가 많지만 이 곤충을 잡아 먹을 새는 아무데도 없다. 울새의 울음 소리 없이 봄만이 온다는 것이 얼마나 쓸쓸하고 흥이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사람이 있겠습니까?
이렇게 새를 떨칠려고 살포제같은 것을 뿌리지 말고 이삭이 작은 종류의 옥수수를 심어 바꾸어 주면 새를 피할 수 있다고 하니 그러한 방법을 쓰는게 좋을 듯 하다.
9. 죽음의 강물 : 죽음의 강 \"Rivers of Death\"은 인간이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하여 저지른 과실이 동식물 생태계를 어떻게 교란시키는가를 특정 지역의 조류와 여타 생물에 관한 구체적 데이터를 써서 예시한다. 예컨대 먹이연쇄를 통해 새들의 몸 속에 축적된 살충제 성분은 알껍질의 강도를 떨어뜨려 미처 부화하기 이전에 깨어짐으로써 멸종의 위기를 몰고 간다.
캐나다 정부가 규모의 약품 살포 계획을 세웠는데 이 미라미치강의 북서부 유역도 포함되었다. 그 계획은 대문비나무 벌레로부터 숲을 보호하기 위한 살포 계획이었다. 강가에 많은 죽은 물고기와 죽어가는 물고기가 발견되었다. 강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그 모습이 사라지고 물만이 흘렀다. 또, 미라미치강 어구에 살포된 모든 강에서는 매해 부화된 연어가 모두 그 자취를 감추었다. 연어 수획을 걱정한 수렵국과의 몇 차례의 타협 끝에 드디어 삼림생물과는 물고기의 위허을 감소시키기 위해 살충제의 양을 최저선까지 내리기로 계획을 변경하는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사전에 이런 주의를 했음에도 또 표면적으로 많은 노력을 했음에도 불고하고 적어도 4내의 큰 강의 연어는 거의 100% 전멸하였다. 비가 올 때마다 더 많은 양의 살충제가 강에 씻겨 들어와 더 많은 양의 물고기를 죽였다. 강으로부터 오염된 물이 흘러들어올 뿐만 아니라 모기가 그 밖의 곤충을 제거하려고 직접 살충제를 뿌려 이런 지역을 오염시키고 있다. 생태학상 꽃게는 세상에 꼭 필요하며 다른 것으로 대용할 수는 없다. 갖가지 동물에 대해 꽃게는 중요한 식량자원이다. 이러한 꽃게는 인간이 뿌린 살충제로 인하여 그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꽃게는 일종의 청소부 구실도 하며, 땅을 파서 짠 습지의 진흙을 공기와 접촉시켜 악취를 없이해 주는 일도 하고 있는 중요한 것이다. 살충제를 살포했기 때문에 강과 못에서 몇 천 몇 만의 물고기와 갑각류가 죽었다. 강물을 따라 강 어구에 온 살충제는 더 큰 불행을 가져올지는도 모른다. 담수, 해양 어획은 대단히 중요한 자원이다. 어부, 수산업자, 그리고 물고기를 먹는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자원이다. 그러나 우리들의 모든 물에 화학약품이 혼입되어 화를 입게 된 것은 이 이상 더 의심할 여지는 없다. 더 유독한 약품을 더 유효한 약품을 구하려고 하지 말고 그 비용의 극히 일부만이라도 건설적인 연구에 돌려 주면 위험도가 적은 것을 사용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공중으로부터의 일제 살포 : 무차별적인 공중폭격 \"Indiscriminately from The Skies\"에는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영농기술에 대한 효과와 비용에 대한 비판과 대안이 실려 있다.
처음엔 규모도 작고 밭이나 숲에 살충제를 공중으로부터 살포하였는데 점차로 광범위하게 퍼졌으며, 그 살포양도 많아지게 되었으므로 영국의 어떤 생태학자는 지표에 내리는「죽음의 큰비」라고 말하고 있을 정도이다. 좀벌레는 유럽으로부터 미국으로 건너 온지 이미 거의 백년이 되었다. 뉴잉글랜드에서는 좀벌레의 피해를 조금이라도 적게 하려고 기생충과 포식 곤충을 13종류나 수입하여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 천적에 의한 제거는 격리 수단, 국부적 살포와 더불어 좋은 성과를 얻었는데, 1955년 농림부는 「해충 분포와 손해방지에 대한 우수한 제한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넓은 범위도 죽음을 초례할 수 있는 힘을 가진 화학약품이 갖가지 발견되자 정부관계자의 불개미에 대한 태도가 급변하였다. 불개미는 갑자기 미국 정부의 제거 계획의 집중 공격의 목표가 되었고 영화와 팜플렛을 통하여 불개미가 남부의 농업의 약탈자이며, 새나 가금과 인간의 피해자라는 낙인이 찍혔다. 불개미 제거 계획발표는 2천만 에이커에 철저한 약품 살포를 계획한 것이다. 유명한 야생 생물학의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9.1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