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근세의 체조
1)시대별 체조의 변천
독일체조
스웨덴체조
덴마크 체조
우리 나라의 체조
2. 체조의 종류
1) 기계체조
2) 마루 운동
3) 뜀틀운동
4) 링운동
5) 철봉운동
6) 평행봉운동
7) 평균대 운동
8) 이단 평행봉
3. 리듬 체조
1) 줄(Rope) 체조
2) 후프(Hoop) 체조
3) 공(Ball) 체조
4) 곤봉(Clubs) 체조
5) 리본(Ribbon) 체조
6). 링체조
7) 리듬체조 경기
경기 규칙
경기 방법
3 맨손체조
1)맨손 체조의 종류
일련 체조
※실시 상의 유의점
교정 체조
짝 체조
꾸미기 체조
맨손 체조의 활용
1)시대별 체조의 변천
독일체조
스웨덴체조
덴마크 체조
우리 나라의 체조
2. 체조의 종류
1) 기계체조
2) 마루 운동
3) 뜀틀운동
4) 링운동
5) 철봉운동
6) 평행봉운동
7) 평균대 운동
8) 이단 평행봉
3. 리듬 체조
1) 줄(Rope) 체조
2) 후프(Hoop) 체조
3) 공(Ball) 체조
4) 곤봉(Clubs) 체조
5) 리본(Ribbon) 체조
6). 링체조
7) 리듬체조 경기
경기 규칙
경기 방법
3 맨손체조
1)맨손 체조의 종류
일련 체조
※실시 상의 유의점
교정 체조
짝 체조
꾸미기 체조
맨손 체조의 활용
본문내용
<체조에 대하여>
1.근세의 체조
근세체조의 발달은 가정교사로부터 귀족자제의 교육내용에 구체화되었고 15~16C의 교수서 내용에 앞 공중돌기의 목판화가 발견된 것을 보면 구 제국에서 중핵을 이루었던 것 같다. 그러나 고대에서 행하여지던 체조가 현재와 같이 조직적이고 본격적으로 연구되어 합리적인 체계가 세워진 것은 17C 말에서 18C 초에 비롯된 것이다. 즉 요한 베룬 할트 바제도우(Joharn Bernhard Basedow, 1723~1790), 살쯔만(Salzman, C, G 1774~1811)이 체조의 필요성을 역설하였고, 구쯔무츠(Guts Muths, 1759~1839)가 기초적 체계를 정리하여 이것이 독일체조, 스웨덴체조, 덴마크체조로 각 각 특유한 운동형식을 갖추며 세계 각국에 급속히 보급 발전되었다.
1)시대별 체조의 변천
독일체조 : 창시자는 바제도우이며, 얀에 의해 체계적으로 확립
- 애국적 동기에서 필요성을 찾았고, 자연성을 중시했다
-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 기능을 본 받아서 운동형식을 정했다
- 이론보다 경험, 실제, 자연적인 형식으로 구성했다
독일체조란 독일에서 발달한 체조를 총칭한 명칭으로서 그 역사를 더듬어 보면 오늘의 독일체조를 이루기까지 약 200년 가까운 세월이 경과했는데 그 동안독일체조의 시조라 불리는 바제도우(Joharn Bernhard Basedow)를 비롯하여 시몬(Simon J, H), 안드레(Cah Andre), 구쯔무츠(Guts Muths), 얀(Jhan, F, L), 프리이젠(Friesen), 아이젤렌(Eiselen), 마스만(Massmann), 스피이스(Spiess, A), 로트시타인(Rothstein) 등의 저명한 체조가들이 다각도로 초기의 체조를 여러 가지로 변화 발달시켜 오늘에 이른 것이다. 특히 독일체조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얀(Friedtich Ludwing Jhan, 1778~1852)은 독일의 국민체조를 국민 교육에 도입시켜 육성할 목적으로 1811년 베르린 교외에 하젠 하이데에 체조학교를 설립하였고, 그의 체조가 국민에게 직결될 수 있는 폭넓은 저작과 일체의 외국어를 버리려고 자국어로 짐나스틱(Gymnastik)이라는 말을 자국어로 트르넨(Turnen)이란 표현을 하였으며 청소년들의 심신단련에 힘써 이것이 국민 운동화 되었다. 특히 공동의식을 높이기 위해 \"4F\"의 표어를 내걸고 이것을 엄수토록 하였다. 4F란 신선(Frish), 자유(Ftei), 즐거움(Frohlich), 경건(Fromn)을 뜻한다.
가) 애국적 동기에 기인하였다.
나) 그리이스의 운동경기를 본받아 발달하였다.
다) 운동형식을 선정하는데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능력을 고려하였다.
라) 모든 자연성을 존중하고 국부적인 단련보다 전체적 종합 수련형식을 중시하였으며, 긴장, 이완의 원리에 입각했다.
마) 기술의 발달이 학리에 기반을 갖는 이론적인 것보다도 경험적 실제적으로 자연적인 형식이 많다.
바) 튼튼한 신체를 육성하는데 기술보다 자유 자재로 운동할 수 있도록 기술본위로 발달해 왔다.
사) 도수체조에 있어서 동적인 것을 중시하고 진동성의 운동이 중핵을 이루고 있다.
아) 기구를 필요에 따라서 자유로 또는 다방면으로 이용하고 신체수단의 방법을 취하며 걷기, 달리기, 뛰기, 매달리기, 돌기, 밀기와 끌기, 운반, 평균 등 모든 기초적 운동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 실천자의 심리를 중시하여 행하면서 즐거움을 갖는 점을 비교적 중요시하고 있다.
스웨덴체조 : 창시자는 \'링\'(P.H.Ling ; 1776 -1839)이다
- 체조를 교육, 의료, 兵式(병식), 미용의 4가지로 나누었다
- 해부학, 생리학, 생물학을 기초로 하여, 신체를 부분적으로 분석하여 단련한다
- 의지적, 형식적이어서 흥미가 적고, 유연성 양성에 능률이 적다
스웨덴체조
19C 후반 유럽에 대단한 영향을 미친 파 헨리크 링(Pehr Henrick Ling, 1776~1939)에 의해 창시된 체조이다. 스웨덴체조가 독일체조와 함께 세계 2대 체조로 오늘날까지 유명한 것은 과학적 기초 위에 만들어진 합리적인 교육체조라는 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웨덴체조도 독일체조와 마찬가지로 결코 링 한사람에 의해서 완성된 것은 아니며 많은 협력자에 의해서 연구되어 다듬어져 오늘에 이른 것이다.
독일의 얀이 강자를 훈육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위험과 대결하는 운동에 비하여 링의 체조는 단순화되어 모험과 위험이 없이 행하는 운동으로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구분해서 실시했고 특히 건강의 유지를 위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자 했다.
(가) 해부학, 생리학의 이론적 기초로 이루어졌다.
(나) 군대체조, 의료체조, 교육체조로 구분될 수 있다.(맨손체조, 마사아지, 능목, 횡목, 뜀틀 자세 교정대 등)
(다) 결점으로는 이지적이어서 실시자의 심리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이론적으로는 옳다고 보지만 흥미가 적다는 점이 있고 체조에 이해가 적은 일반인에게는 매력이 적다는 점이다.
(라) 효과적인 결점으로 정적인 것이 많고 중핵에 치중하기 보다 가볍게 몸을 버티는 경향이므로 관계 근육의 저항력이 매우 적다.
덴마크 체조 : 창시자는 \'나흐테갈\'이며 닐스 북이 발전시켰다.
- 맨손 체조를 주로 하고 기계 체조를 보조 운동으로 한다
- 신체 결합의 교정 및 근육, 신경, 관절의 활동성 증가에 목적을 두었다.
덴마크체조
현대의 조직적인 체조는 독일체조와 스웨덴체조를 대표할 때, 1920년대 이후의 덴마크체조도 손색없는 체조로서 20C 전반에 있어 닐스
1.근세의 체조
근세체조의 발달은 가정교사로부터 귀족자제의 교육내용에 구체화되었고 15~16C의 교수서 내용에 앞 공중돌기의 목판화가 발견된 것을 보면 구 제국에서 중핵을 이루었던 것 같다. 그러나 고대에서 행하여지던 체조가 현재와 같이 조직적이고 본격적으로 연구되어 합리적인 체계가 세워진 것은 17C 말에서 18C 초에 비롯된 것이다. 즉 요한 베룬 할트 바제도우(Joharn Bernhard Basedow, 1723~1790), 살쯔만(Salzman, C, G 1774~1811)이 체조의 필요성을 역설하였고, 구쯔무츠(Guts Muths, 1759~1839)가 기초적 체계를 정리하여 이것이 독일체조, 스웨덴체조, 덴마크체조로 각 각 특유한 운동형식을 갖추며 세계 각국에 급속히 보급 발전되었다.
1)시대별 체조의 변천
독일체조 : 창시자는 바제도우이며, 얀에 의해 체계적으로 확립
- 애국적 동기에서 필요성을 찾았고, 자연성을 중시했다
-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 기능을 본 받아서 운동형식을 정했다
- 이론보다 경험, 실제, 자연적인 형식으로 구성했다
독일체조란 독일에서 발달한 체조를 총칭한 명칭으로서 그 역사를 더듬어 보면 오늘의 독일체조를 이루기까지 약 200년 가까운 세월이 경과했는데 그 동안독일체조의 시조라 불리는 바제도우(Joharn Bernhard Basedow)를 비롯하여 시몬(Simon J, H), 안드레(Cah Andre), 구쯔무츠(Guts Muths), 얀(Jhan, F, L), 프리이젠(Friesen), 아이젤렌(Eiselen), 마스만(Massmann), 스피이스(Spiess, A), 로트시타인(Rothstein) 등의 저명한 체조가들이 다각도로 초기의 체조를 여러 가지로 변화 발달시켜 오늘에 이른 것이다. 특히 독일체조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얀(Friedtich Ludwing Jhan, 1778~1852)은 독일의 국민체조를 국민 교육에 도입시켜 육성할 목적으로 1811년 베르린 교외에 하젠 하이데에 체조학교를 설립하였고, 그의 체조가 국민에게 직결될 수 있는 폭넓은 저작과 일체의 외국어를 버리려고 자국어로 짐나스틱(Gymnastik)이라는 말을 자국어로 트르넨(Turnen)이란 표현을 하였으며 청소년들의 심신단련에 힘써 이것이 국민 운동화 되었다. 특히 공동의식을 높이기 위해 \"4F\"의 표어를 내걸고 이것을 엄수토록 하였다. 4F란 신선(Frish), 자유(Ftei), 즐거움(Frohlich), 경건(Fromn)을 뜻한다.
가) 애국적 동기에 기인하였다.
나) 그리이스의 운동경기를 본받아 발달하였다.
다) 운동형식을 선정하는데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능력을 고려하였다.
라) 모든 자연성을 존중하고 국부적인 단련보다 전체적 종합 수련형식을 중시하였으며, 긴장, 이완의 원리에 입각했다.
마) 기술의 발달이 학리에 기반을 갖는 이론적인 것보다도 경험적 실제적으로 자연적인 형식이 많다.
바) 튼튼한 신체를 육성하는데 기술보다 자유 자재로 운동할 수 있도록 기술본위로 발달해 왔다.
사) 도수체조에 있어서 동적인 것을 중시하고 진동성의 운동이 중핵을 이루고 있다.
아) 기구를 필요에 따라서 자유로 또는 다방면으로 이용하고 신체수단의 방법을 취하며 걷기, 달리기, 뛰기, 매달리기, 돌기, 밀기와 끌기, 운반, 평균 등 모든 기초적 운동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 실천자의 심리를 중시하여 행하면서 즐거움을 갖는 점을 비교적 중요시하고 있다.
스웨덴체조 : 창시자는 \'링\'(P.H.Ling ; 1776 -1839)이다
- 체조를 교육, 의료, 兵式(병식), 미용의 4가지로 나누었다
- 해부학, 생리학, 생물학을 기초로 하여, 신체를 부분적으로 분석하여 단련한다
- 의지적, 형식적이어서 흥미가 적고, 유연성 양성에 능률이 적다
스웨덴체조
19C 후반 유럽에 대단한 영향을 미친 파 헨리크 링(Pehr Henrick Ling, 1776~1939)에 의해 창시된 체조이다. 스웨덴체조가 독일체조와 함께 세계 2대 체조로 오늘날까지 유명한 것은 과학적 기초 위에 만들어진 합리적인 교육체조라는 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웨덴체조도 독일체조와 마찬가지로 결코 링 한사람에 의해서 완성된 것은 아니며 많은 협력자에 의해서 연구되어 다듬어져 오늘에 이른 것이다.
독일의 얀이 강자를 훈육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위험과 대결하는 운동에 비하여 링의 체조는 단순화되어 모험과 위험이 없이 행하는 운동으로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구분해서 실시했고 특히 건강의 유지를 위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자 했다.
(가) 해부학, 생리학의 이론적 기초로 이루어졌다.
(나) 군대체조, 의료체조, 교육체조로 구분될 수 있다.(맨손체조, 마사아지, 능목, 횡목, 뜀틀 자세 교정대 등)
(다) 결점으로는 이지적이어서 실시자의 심리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이론적으로는 옳다고 보지만 흥미가 적다는 점이 있고 체조에 이해가 적은 일반인에게는 매력이 적다는 점이다.
(라) 효과적인 결점으로 정적인 것이 많고 중핵에 치중하기 보다 가볍게 몸을 버티는 경향이므로 관계 근육의 저항력이 매우 적다.
덴마크 체조 : 창시자는 \'나흐테갈\'이며 닐스 북이 발전시켰다.
- 맨손 체조를 주로 하고 기계 체조를 보조 운동으로 한다
- 신체 결합의 교정 및 근육, 신경, 관절의 활동성 증가에 목적을 두었다.
덴마크체조
현대의 조직적인 체조는 독일체조와 스웨덴체조를 대표할 때, 1920년대 이후의 덴마크체조도 손색없는 체조로서 20C 전반에 있어 닐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