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의 일생과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풍의 일생과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태풍의 일생

2. 태풍의 구조

3. 태풍의 진로

4. 태풍의 이름

5. 태풍의 어원

6. 태풍이 북상하는 이유

7. 태풍에 수반되는 현상

8. 예보

9. 재해와 대비

본문내용

진행되고 있다.
 
8. 예보
현재는 기상위성(氣象衛星) 관측에 의하여 태풍의 발달 초기부터 추적할 수 있다. 발생이 확정되면 미군의 비행기 관측에 의해서 중심기압과 정확한 위치 등이 확정된다. 태풍이 한국에 이동해 오면 위성분석을 통하여 중심위치 ·이동방향 ·이동속력 ·크기 등을 추적하며, 한국에 접근하면 제주에 있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자세하게 분석하며 매시간 또는 30분마다 특별관측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관측은 태풍의 실황파악이고, 앞으로의 진로나 상륙지점, 강우상태 등은 이들 실황을 기초자료로 해서 예보한다. 이 근본이 되는 생각은 다음과 같다. ① 운동학적인 예보, ② 태풍이 일반류에 의해서 이동된다는 지향류(指向流)적인 생각, ③ 전조법, 예를 들면 태풍은 상층 700 hPa 면의 수렴역(收斂域)을 향해서 진행한다는 생각, ④ 태풍에 의한 우량예보 등에 사용되는 앞의 예의 원리(유사법:축적된 과거 자료의 이용) 등을 들 수 있다. 태풍은 육상뿐만 아니라 해상의 선박에 대해서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태풍에 의한 폭풍우가 예상될 때는 기상청에서 태풍경보 ·주의보(注意報) ·경보 등을 수시로 발표한다.
 
9. 재해와 대비
인류가 겪는 자연재해 중 가장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강풍과 저기압, 강수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와 해일 ·홍수 등에 의한 간접적인 피해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피해는 나무를 부러뜨리고 건축물을 파괴하는 등 풍속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다르다(표 4). 또 태풍의 눈이 통과하는 시간은 보통 수분에서 1시간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지 않지만 뒤이어 접근하는 태풍벽의 강풍에 의해 더 큰 피해를 볼 수도 있다. 또한 태풍에 의한 엄청난 강수는 토양을 침식시키고 산사태를 일으키며, 강과 호수를 범람시켜 홍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태풍이 접근하여 태풍경보가 발표되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① 배수문 및 배수장을 수시점검할 것,
② 라디오로 주의보 또는 경보를 자세히 청취할 것,
③ 창문이나 지붕 등 비 ·바람에 의해서 손상될 염려가 있는 것은 잘 손질해 둘 것,
④ 강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홍수에 대비하여 언제든지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식량과 필요한 용구 등을 챙겨놓을 것,
⑤ 산 밑에 거주할 경우에는 산사태에 대비하며 수시로 상황을 살펴서 미리 대피하도록 할 것,
⑥ 해안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폭풍해일에 대비할 것 등이다.

키워드

태풍,   재해,   예보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0.0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1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