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풍의 일생
2. 태풍의 구조
3. 태풍의 진로
4. 태풍의 이름
5. 태풍의 어원
6. 태풍이 북상하는 이유
7. 태풍에 수반되는 현상
8. 예보
9. 재해와 대비
2. 태풍의 구조
3. 태풍의 진로
4. 태풍의 이름
5. 태풍의 어원
6. 태풍이 북상하는 이유
7. 태풍에 수반되는 현상
8. 예보
9. 재해와 대비
본문내용
진행되고 있다.
8. 예보
현재는 기상위성(氣象衛星) 관측에 의하여 태풍의 발달 초기부터 추적할 수 있다. 발생이 확정되면 미군의 비행기 관측에 의해서 중심기압과 정확한 위치 등이 확정된다. 태풍이 한국에 이동해 오면 위성분석을 통하여 중심위치 ·이동방향 ·이동속력 ·크기 등을 추적하며, 한국에 접근하면 제주에 있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자세하게 분석하며 매시간 또는 30분마다 특별관측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관측은 태풍의 실황파악이고, 앞으로의 진로나 상륙지점, 강우상태 등은 이들 실황을 기초자료로 해서 예보한다. 이 근본이 되는 생각은 다음과 같다. ① 운동학적인 예보, ② 태풍이 일반류에 의해서 이동된다는 지향류(指向流)적인 생각, ③ 전조법, 예를 들면 태풍은 상층 700 hPa 면의 수렴역(收斂域)을 향해서 진행한다는 생각, ④ 태풍에 의한 우량예보 등에 사용되는 앞의 예의 원리(유사법:축적된 과거 자료의 이용) 등을 들 수 있다. 태풍은 육상뿐만 아니라 해상의 선박에 대해서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태풍에 의한 폭풍우가 예상될 때는 기상청에서 태풍경보 ·주의보(注意報) ·경보 등을 수시로 발표한다.
9. 재해와 대비
인류가 겪는 자연재해 중 가장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강풍과 저기압, 강수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와 해일 ·홍수 등에 의한 간접적인 피해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피해는 나무를 부러뜨리고 건축물을 파괴하는 등 풍속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다르다(표 4). 또 태풍의 눈이 통과하는 시간은 보통 수분에서 1시간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지 않지만 뒤이어 접근하는 태풍벽의 강풍에 의해 더 큰 피해를 볼 수도 있다. 또한 태풍에 의한 엄청난 강수는 토양을 침식시키고 산사태를 일으키며, 강과 호수를 범람시켜 홍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태풍이 접근하여 태풍경보가 발표되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① 배수문 및 배수장을 수시점검할 것,
② 라디오로 주의보 또는 경보를 자세히 청취할 것,
③ 창문이나 지붕 등 비 ·바람에 의해서 손상될 염려가 있는 것은 잘 손질해 둘 것,
④ 강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홍수에 대비하여 언제든지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식량과 필요한 용구 등을 챙겨놓을 것,
⑤ 산 밑에 거주할 경우에는 산사태에 대비하며 수시로 상황을 살펴서 미리 대피하도록 할 것,
⑥ 해안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폭풍해일에 대비할 것 등이다.
8. 예보
현재는 기상위성(氣象衛星) 관측에 의하여 태풍의 발달 초기부터 추적할 수 있다. 발생이 확정되면 미군의 비행기 관측에 의해서 중심기압과 정확한 위치 등이 확정된다. 태풍이 한국에 이동해 오면 위성분석을 통하여 중심위치 ·이동방향 ·이동속력 ·크기 등을 추적하며, 한국에 접근하면 제주에 있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자세하게 분석하며 매시간 또는 30분마다 특별관측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관측은 태풍의 실황파악이고, 앞으로의 진로나 상륙지점, 강우상태 등은 이들 실황을 기초자료로 해서 예보한다. 이 근본이 되는 생각은 다음과 같다. ① 운동학적인 예보, ② 태풍이 일반류에 의해서 이동된다는 지향류(指向流)적인 생각, ③ 전조법, 예를 들면 태풍은 상층 700 hPa 면의 수렴역(收斂域)을 향해서 진행한다는 생각, ④ 태풍에 의한 우량예보 등에 사용되는 앞의 예의 원리(유사법:축적된 과거 자료의 이용) 등을 들 수 있다. 태풍은 육상뿐만 아니라 해상의 선박에 대해서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태풍에 의한 폭풍우가 예상될 때는 기상청에서 태풍경보 ·주의보(注意報) ·경보 등을 수시로 발표한다.
9. 재해와 대비
인류가 겪는 자연재해 중 가장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강풍과 저기압, 강수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와 해일 ·홍수 등에 의한 간접적인 피해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피해는 나무를 부러뜨리고 건축물을 파괴하는 등 풍속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다르다(표 4). 또 태풍의 눈이 통과하는 시간은 보통 수분에서 1시간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지 않지만 뒤이어 접근하는 태풍벽의 강풍에 의해 더 큰 피해를 볼 수도 있다. 또한 태풍에 의한 엄청난 강수는 토양을 침식시키고 산사태를 일으키며, 강과 호수를 범람시켜 홍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태풍이 접근하여 태풍경보가 발표되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① 배수문 및 배수장을 수시점검할 것,
② 라디오로 주의보 또는 경보를 자세히 청취할 것,
③ 창문이나 지붕 등 비 ·바람에 의해서 손상될 염려가 있는 것은 잘 손질해 둘 것,
④ 강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홍수에 대비하여 언제든지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식량과 필요한 용구 등을 챙겨놓을 것,
⑤ 산 밑에 거주할 경우에는 산사태에 대비하며 수시로 상황을 살펴서 미리 대피하도록 할 것,
⑥ 해안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폭풍해일에 대비할 것 등이다.
추천자료
철근콘크리트 구조기술의 발달, RC조 초고층건물 사례
우리나라 긴급재난제도의 문제점과 대책 (응급의료를 중심으로)
새만금 간척 사업의 경제적 이해(A+레포트)
[과외]중학 사회 1-2학기 기말 예상문제 03
[새만금][시화호][갯벌][간척사업]새만금과 시화호를 통해 본 갯벌의 가치와 간척사업의 문제...
지구온난화의 문제점 및 실태
이상기후와 지구온난화
광주(광주광역시)의 명칭과 축제, 광주(광주광역시)의 대단지사건, 광주(광주광역시)의 민중...
1. 사회복지를 전공하게 된 동기, 2.실습을 통해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3. 사회복지를 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기온 상승과 전력사용량 증가의 관계 분석
스마트그리드 시대의 변화양상 및 스마트그리드사업 추진현황
사회복지를 공부하기로 결심하게 된 계기
환경설비
[감상문] 불편한 진실 (inconvenient trut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