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미디어와 사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매스미디어의 역사

3. 매스미디어와 사회

4. 권력의 미디어 통제와 접근

5. 미디어 효과

6.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적 수용자라는 시각은 그들의 이용동기가 기본적 욕구가 사회적 경험 및 조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과 상치된다. 또한 미디어를 이용하는 행동은 의도적, 목적 지향적이기보다는 습관적이고 비선별적일 뿐이다.
그러나 그 이후 전통적 연구는 매스미디어의 효과를 송신자, 즉 매스미디어의 입장에서 다루어 오면서 부딪히는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적 방법으로서, 과거 매스미디어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하는가?라는 송신자 입장에서의 연구관점을, 사람들은 미디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가?라는 수용자 입장에서의 연구관점으로의 전환하게 되는데, 50년대말 이후 등장하여 보편화된 이와 같은 연구입장을 이용과 충족연구라 한다.
이 연구입장은 매스미디어의효과 내지는 메시지 수용의 직접성, 단일성 여부보다는 매스미디어 내지 그 내용의 추구 및 그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이에 따라 이 연구입장은 왜 수용자는 매스미디어를 이용하고 거기서 어떠한 만족을 얻게 되는가 하는 점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즉 특정한 메시지가 수용될 때 그것이 개인에 따라 선별적으로 수용되느냐 하는 수용과정상 두번째 단계의 문제보다는 왜 미디어 또는 그 내용물을 추구하고 이용하는가 하는 미디어접촉 및 이용패턴에 관한 문제, 즉 수용과정상 첫번째 단계의 문제가 이 연구입장에 있어 핵심적인 연구과제가 된다.
이에 따라 카츠, 블럼러, 맥퀘일 등의 연구로 대표되는 이용과 충족연구는, 수용자를 수동적인 존재로 보던 이전의 연구경향과 달리, 수용자가 원하는 것을 충족하기 위해 매스미디어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수용자의 행위는 목적 지향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미디어의 선택과 그 수용 여부는 수용자에게 달려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매스미디어뿐만 아니라 다른 충족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이 수용자를 능동적으로 보게 됨에 따라, 예를 들어 어린이가 텔레비전을 본다고 할 때,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것은 어린이들이지 텔레비전이 어린이들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수용자를 능동적으로 보는 이와 같은 이용과 충족연구는 미디어 이용, 즉 정보추구행위를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또는 심리적으로 수용자 개인은 특정한 문제에 부딪혀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욕구를 지니는 개인은 미디어나 다른 수단들 중에서 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을 찾게 되는데, 만약 미디어가 그 욕구를 충족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는 수단이 될 경우, 그 개인은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추구하고 이용하게 된다. 미디어 이용과정에서 욕구가 충족되거나 아니면 새로운 욕구가 다시 생겨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심리적 관점에서의 수용과정, 특히 미디어 이용 행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이용과 충족접근은, 여러 가지 연구방법상의 문제점들과 더불어 수용자를 능동적 존재로 본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연구경향과는 다른 수용자관을 지니고는 있지만, 그 수요과정 자체는 다시 심리적 동기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있어 논리적으로 일관되지 못하는 모순을 지니고 있다. 더 나아가 미디어이용 및 접촉행동은 앞의 선별효과이론과 같이 수용자가 속한 사회계층 내지 사회구조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는 복잡한 인간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심리적 동기 내지 욕구에 의해 설명하려는 이론적 일면성을 지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⑾ 구체적 효과
지금까지 설명한 이론의 발전을 바탕으로 팔레츠와 옌트만은 미디어가 여론에 미치는 구체적 효과를 다섯가지로 요약했다. ①안정화 : 미디어는 지배적 여론 또는 지배이데올로기를 안정시킨다. ②우선순위설정 : 미디어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될 사안들을 제시하고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③쟁점부각 : 사건과 쟁점을 뉴스대상으로 부각시킨다. ④여론바꾸기 : 미디어는 사건과 쟁점에 대한 보도방식과 상징이용방식을 통해 여론을 바꾸고 또 영향을 미친다. ⑤선택적 제한 : 사람들은 미디어가 제시하는 진술 또는 쟁점에 반응한다. 하지만 미디어는 엘리트 계급을 난처하게 하거나 비판하는 이야기와 쟁점을 배제하는 경향이 있다.
Ⅵ. 요약 및 결론
근대 매스미디어 시대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시작되기는 했지만, 모든 실제적 측면으로 매스미디어가 폭발적으로 확대된 것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다. 오늘날 매스미디어는 중요한 사회적 제도가 되었다. 기능주의자들은 매스미디어가 사회와 정체를 위한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또 일군의 여타 사회제도 및 사회조직과 더불어 중요한 사회화기관이라고 여긴다. 갈등론적 관점에서는 매스미디어를 사회적 엘리트들이 정보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하는 사회통제수단으로 본다. 개인적으로 이 둘은 이론화 과정에서 추상화단순화 과정을 거치면서 많은 것이 생략되었기 때문에 무조건 대립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치 못하다고 본다. 기능주의는 매스미디어의 이상적 역할을, 갈등론은 현실에서 지배의 수단으로 전락해버린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둘간의 조화를 도모해야한다. 다시말해서 분명 현실에는 갈등론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존재하며, 우리는 이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기능주의가 주장하는 매스미디어의 순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 차배근(1975), ≪커뮤니케이션 學槪論(上) -全訂版-≫, 주영문화사
- 박준식김정현 공저. 뉴미디어와 도서관. 서울 :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6. - 정서룡.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뉴미디어의 현황과 전망. 「크로노스 27 」서울 : 한 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1991. pp.41-43
- 김복수. 뉴미디어의 등장과 기존 미디어의 변화. 「韓國의 社會와 文化 제 24집」서 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한국언론정보학회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사, 2000.
- 윤영철, 강상현 공저 ≪지배권력과 제도언론≫ 나남출판사, 1993.
- 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60544
- http://kimo.pe.kr/bro/brodd/newmedia.htm
- 수.고.하.셨.습.니.다 -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10.1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