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노인복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노인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 서 론
- 일본 노인인구의 현황과 관련하여....

Ⅱ . 본 론
1. 일본의 노인 관련 보건․복지정책
(1) 일본 노인복지정책의 기본방향
(2) 일본 노인복지 제도의 변화
(3) 일본의 노인 보건복지 관련 정책
(4) 일본의 공적개호보험의 도입 및 시행
2. 일본의 노인관련 보건복지프로그램 및 관련 시설
3. 일본의 노인복지 관련 기관

Ⅲ . 결 론
- 일본의 노인복지를 공부하며...

본문내용

설치하였으며 사회복지협의회 등에서 운영하고 있다.
⑧ 노인 Club
노인 Club은 노인의 사회활동 촉진 대책의 일환으로 노후생활을 건전하고 풍부하게 하기 위해 자주적으로 조직된 단체로써 동일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50명 이상으로 결성된다. 노인 Club은 1950년 오사카시에서 결성된 것을 시작으로 1953년 동경에도 실험적으로 조직되었다. 초기 노인Club 활동은 레크리에이션 중심이었으며 활동도 그다지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1963년 노인보건법이 제정됨으로써 노인Club에 대한 국고 지원이 시작되었고, 이를 계기로 노인Club의 결성이 촉진되었다.
⑨ 노인대학노인학교고령자학급
노인의 재교육 기관으로서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으며, 학습영역은 노인복지, 건강관리, 취미학습, 인간관계, 시사문제, 법률상식, 종교, 사회활동, 직업생활, 노인 Club, 종합학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 12회, 월 1회 3시간으로 토요일에 개강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⑩ Short stay
주로 중증노인이 많이 이용하며, 가정개호자의 과로 때문에 가정 개호자의 휴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기간은 1주일로 되어 있으나 개호자들의 병환 때문에 연장하는 경유도 있으나 단기간 고령자를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가족구성원간의 기분전환, 노인상호간의 교류를 위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⑪ 재택개호지원센터
가까운 곳에서 전문가에 의한 개호의 상담지도를 받을 수 있고 행정기관까지 가지 않아도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조정한다.
3. 일본의 노인복지 관련 기관
(1) 노인복지계획과노인복지진흥과노인보건과
후생성 노인보건복지국내에 노인복지와 건강향상을 위한 전담과로서 노인복지계획과노인복지진흥과노인보건과를 두고 있다.
(2) 복지사무소
복지사무소는 1951년에 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 창설된 사회복지행정위 최일선 기관으로서 중추적 조직이다. 복지사무소는 인구 10만명에 1개소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都道府縣指定都市와 特別區는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町村에는 임의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설립 초기에는 생활보호업무에 역점을 두었으나 그 후 복지 6법에 규정되어 있는 원호육성갱생의 조치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에 따라 사회복지 전반에 걸친 사무를 관장하고 있다.
(3) 보건소
보건소는 지방에 있어서의 위생행정의 제일기관이며 모자보건법에 의한 보건지도, 건강지도, 방문지도 등의 모자보건사업은 보건소를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모자 및 유아의 건강유지증진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노인복지법에서 규정한 협력기관으로서 노인의 보건 및 복지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4) 민생위원
1948년대 제정된 민생위원법에 의한 제도적 볼런티어이며 도도부현 지사의 추천에 의해 후생대신이 위촉한다. 민생위원은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을 위한 상담지도조사 등 자주적인 활동과 복지사무소 등의 관계행정기관에 대해 협력활동을 행하고 있다.
Ⅲ . 결 론
- 일본의 노인복지를 공부하며...
짧은 시간이었지만 일본의 노인복지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 나름대로 생각해보면서 일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에 대해서도 가까이 접해 보는 좋은 기회였다.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일본은 우리나라 보다 고령화의 진전이 빠르게 진행되어 있었고 세계에도 익히 알려져 있듯 장수사회로서의 면모를 다시한번 알 수 있었다. 일본은 빠른 고령화의 진행으로 그에 따른 다양한 시책과 대안을 가지고 노인을 위한 보다 체계화된 시설에서 폭넓은 분야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령자시책의 발전경위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많은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전개되어 오다가 최근에 급격하게 골드플랜에서 신골드플랜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볼 수 있어 고령사회의 심각성을 다시한번 인식함과 함께 우리나라보다 철처히 고령사회를 준비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지난 번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과 같이 우리나라는 일본보다는 조금 늦게 고령화 문제가 대두되었지만 그 진입속도는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빨라 이제 머지 않아 빠른 기간 내에 고령화 사회로 진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노인을 위한 각종 시책이 보다 다양하게 체계적으로 준비되고 전개되어야 하는 입장에서 일본의 노인보건복지사업에 대한 시책은 하나의 접근방안으로서 충분히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예로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노인요양보험제도를 들 수 있는데 이 역시 일본의 개호보험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재가복지 사업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되고 있는 지금의 시점에서 지역사회에 소외되어 있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본의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주간보호서비스의 확대 및 단기보호서비스 등의 다양한 노인복지사업의 정착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올바로 정착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 일본 지역사회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고찰, 방성수김한양, 한국행정복지학회 제12 권 1호
- 일본의 노인복지법제에 관한 연구, 백종인, 한국토지공법학회 제10집, 2000.
- 김수영, 성명옥, 김경호, 조추용 공저. 노인과 지역사회보호. 양서원. 2001.
- 박태룡. 노인복지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 김수진. 노인복지정책의 비교연구.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2.
- 윤문구. 한일 고령자 복지정책의 비교연구. 日本硏究 제9집, 2001.
- 홍미령. 일본의 노인보건복지정책과 관련법.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제23호. 2000.
- 박준영 외,한국 노인복지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신흥대학출판사. 2000.
- 김미숙."일본의 고령자개호정책의 전망-개호보험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 .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3.
- http://www.sweetcare.com
- http://publica.chungju.ac.kr/student/alumi/a_6/9552134.htm
- http://www.dongshinu.ac.kr/homepage/indust/guide/silver_3.html
- http://www.elder.or.kr/pds/data/2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10.24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