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골재비중및흡수량시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잔골재비중및흡수량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험목적

2. 시험기구

3. 시험방법

4. 참고사항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차 있는 상태
·습윤상태 : 골재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고, 표면에도 물기가 있는 상태
배합설계시 표건상태를 골재의 기준상태로 함
(표건상태가 골재의 평형 함수량을 나타내고, 골재의 비중은 표건상태에서
더 정확히 결정되기 때문)
재생골재 : 해체한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골재로 사용한 것.
강모래, 강자갈보다 비중이 작고, 흡수율이 크며, 실적율이 작음
이번 실험에서의 문제점
① 잔골재의 표건상태를 확인하는 표면상태 측정 몰드 사용에 미숙했다. 또한 표건
상태의 골재를 구별하는데도 많은 미숙함이 드러났다. 그 결과 흡수율 시험에서
오차가 발생했다.
② 시멘트 비중실험시와 같이 비중병 벽면에 시료가 묻어서 생기는 오차는 없었지만
대신에 시료가 물에 섞이면서 생기는 부유물질과 그로인한 거품이 정확한 실험치
측정을 방해했다. 부유물질과 거품은 일반골재에서보다 재생골재에서 더 심하게
나타났다. 특히 거품은 아주 작은 골재입자와 부유물들을 거품속에 가두면서 비중
측정을 방해했다.
③ 골재의 흡수율 시험은 골재가 경량 잔골재이라면 시험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흡수율이 너무 큰 값이다. 흡수율에서 오차는 표건상태를
맞추지 못하고 표건상태가 아닌 습윤상태로 실험한 것이다.
5. 참고사항
① 굵은 골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50-2.70정도이다.
② 댐 콘크리트용 골재의 비중은 2.60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③ 콘크리트용 부순돌의 비중은 2.50이상으로 흡수율은 3%이하이다.
6. 참고문헌
1) 건설재료학, 동명사, 문한영저
2) 1998 KS 총람, 한국표준협회
3)_ 문한영 건설재료학 동명사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0.2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