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가족력
5. 발달력
6. 정신상태 사정(Mental State Examination, MSE)
7. 의학적 진단명 및 정의
8. 임상병리검사
9. 객관적 사정 자료
10. 약 물
11. 문헌 고찰
12. 간호 진단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가족력
5. 발달력
6. 정신상태 사정(Mental State Examination, MSE)
7. 의학적 진단명 및 정의
8. 임상병리검사
9. 객관적 사정 자료
10. 약 물
11. 문헌 고찰
12. 간호 진단
본문내용
한다.
1
2
3
4
9
나의 앞에 주어진 모든 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10
나는 나의 결점이나 단점을 시인하며 보완하려 노력한다.
1
2
3
4
11
나는 타인을 신뢰하고 좋아하는 반면 그들도 나를 좋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12
나는 타인으로부터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1
2
3
4
13
나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없이 계획한다.
1
2
3
4
14
나는 내가 속한 집단에 동질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가진다.
1
2
3
4
15
나는 이웃과 동료에 대해 친밀감과 책임감을 느낀다.
1
2
3
4
16
나는 새로운 생각과 경험에 대해 마음을 개방한다.
1
2
3
4
17
내가 행한 일의 결과가 완벽하지 못할지라도 그것에 대해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초조해 하지 않는다.
1
2
3
4
18
나는 나에게 맡겨진 일을 즐기는 편이다.
1
2
3
4
19
나는 성취감과 행복감을 자주 느끼는 편이다.
1
2
3
4
20
나는 타인에게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감추지 않는 편이다.
1
2
3
4
총 점
37
- 우울 척도에서 50점을 얻음.
항 목
4
3
2
1
1. 나는 의욕이 없고 우울하거나 슬프다.
4
3
2
1
2. 나는 하루 중 아침이 가장 기분이 좋다.
4
3
2
1
3. 나는 갑자기 울고 싶거나 눈물이 난다.
4
3
2
1
4. 나는 밤에 잠을 설치거나 아침에 일찍 깬다.
4
3
2
1
5. 나는 전과 다름없이 식욕이 있다.
4
3
2
1
6. 나는 이성과 이야기하고 함께 있기를 좋아한다.
4
3
2
1
7. 나는 체중이 준 것 같다.
4
3
2
1
8. 나는 변비가 있다.
4
3
2
1
9. 나는 심장이 두근거린다.
4
3
2
1
10. 나는 별 이유 없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다.
4
3
2
1
11. 내 머리는 한결같이 맑다.
4
3
2
1
12. 나는 어떤 일이든지 전처럼 쉽게 처리한다.
4
3
2
1
13. 나는 안절부절못해서 진정할 수가 없다.
4
3
2
1
14. 나의 장래는 희망적이라고 생각한다.
4
3
2
1
15. 나는 전보다도 더 신경질(짜증)이 난다.
4
3
2
1
16. 나는 매사에 결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4
3
2
1
17. 나는 사회에 유익하고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4
3
2
1
18. 나는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낀다.
4
3
2
1
19. 내가 죽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4
3
2
1
20. 나는 전과 다름없이 만족하게 일한다.
4
3
2
1
총 점
50
목표 :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면, 과거의 성취, 미래의 전망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환자의 감정상태 및 자아인식상태를 사정한다.
2. 환자의 거부증을 수용한다.
3. 환자와 함께 있어 준다.
4. 환자가 자신의 강점과 성취를 인정하고 그것에 초점을 두도록 돕는다.
5. 동료로부터 긍정적 귀환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6. 간단히 성취할 수 있는 일을 제공하고 실제적인 성취에 대해 인정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준다.
7. 자기간호를 수행하도록 환자를 돕고 독립적으로 수행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 강화를 준다.
8. 환자로 하여금 점차 의존하지 않도록 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9. 자기주장 기법을 교육한다.
- 수용적인 태도는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킨다.
- 수용한다는 것ㅇ르 전달하고 자기가치감을 부여한다.
- 과거의 실패에 주목하자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성공과 인정은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긍정적 귀환은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 덜 조직화된 사회환경에서 성공하게 된다면 틀림없이 독자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 주장적 태도로 타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존감이 증진된다.
#3. 무가치감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주관적 자료
- “삶의 의미가 없어요.”
- “나는 혼자예요.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것도 싫고..”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DM (22년 전 진단 ; 임신성 당뇨)
- 시선을 잘 마주치려 하지 않는 모습 관찰함.
- 병동의 집단 활동에 참여하지 않음.
- 다른 활동 없이 혼자 침상에서만 지내는 모습 관찰.
목표 : 병동의 집단활동에서 다른 환자 및 직원과 더불어 자발적으로 시간을 보낸다.
간호 계획/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사회활동 상태를 사정한다.
2. 환자와 함께 있어 준다.
3. 짧고 잦은 접촉과 수용적인 태도를 통해 치료적인 간호사 환자 관계를 발달시킨다.
4. 환자가 일대일 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된 후에 집단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 한다.
- 간호사가 옆에 있어 주는 것은 환자로 하여금 자신을 가치있는 인간으로 지각하도록 한다.
- 옆에 있어주고 수용함으로써 환자의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킨다.
- 신뢰하는 사람이 옆에 있어 주는 것은 환자를 정서적으로 안정시키므로 환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처음 몇 번은 환자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게 한다.
#4. 무기력감과 관련된 자기간호 결여
주관적 자료
- “몸이 이지경이니까 씻지도 못하고..”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DM (22년 전 진단 ; 임신성 당뇨)/ Depression
- 목욕이나 삼푸 등을 하지 않은 모습 관찰됨.
- 환의가 지저분하고 적절한 외모의 유지에 대한 관심이 결여되어 있는 모습 관찰.
- 백내장 수술로 안약을 넣는데 얼굴에 안약 자국이 있어도 닦지 않는 모습 관찰.
- 환자는 거의 활동하지 않고 침상에 누워 무기력한 모습으로 지냄.
목표 : 스스로 일상활동을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실행한다.
간호 계획/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자기간호 능력의 수준을 사정한다.
2. 환자의 능력수준에 따라 정상적인 일상활동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3.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격려하지만 환자가 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도와준다.
4. 독립적인 성취에 대해 인정하고 긍정적 강화를 한다.
5. 음식과 수분의 섭취를 정확히 관찰한다.
- 독립적인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환자의 안위와 안정이 가장 우선이다.
1
2
3
4
9
나의 앞에 주어진 모든 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10
나는 나의 결점이나 단점을 시인하며 보완하려 노력한다.
1
2
3
4
11
나는 타인을 신뢰하고 좋아하는 반면 그들도 나를 좋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12
나는 타인으로부터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1
2
3
4
13
나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없이 계획한다.
1
2
3
4
14
나는 내가 속한 집단에 동질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가진다.
1
2
3
4
15
나는 이웃과 동료에 대해 친밀감과 책임감을 느낀다.
1
2
3
4
16
나는 새로운 생각과 경험에 대해 마음을 개방한다.
1
2
3
4
17
내가 행한 일의 결과가 완벽하지 못할지라도 그것에 대해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초조해 하지 않는다.
1
2
3
4
18
나는 나에게 맡겨진 일을 즐기는 편이다.
1
2
3
4
19
나는 성취감과 행복감을 자주 느끼는 편이다.
1
2
3
4
20
나는 타인에게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감추지 않는 편이다.
1
2
3
4
총 점
37
- 우울 척도에서 50점을 얻음.
항 목
4
3
2
1
1. 나는 의욕이 없고 우울하거나 슬프다.
4
3
2
1
2. 나는 하루 중 아침이 가장 기분이 좋다.
4
3
2
1
3. 나는 갑자기 울고 싶거나 눈물이 난다.
4
3
2
1
4. 나는 밤에 잠을 설치거나 아침에 일찍 깬다.
4
3
2
1
5. 나는 전과 다름없이 식욕이 있다.
4
3
2
1
6. 나는 이성과 이야기하고 함께 있기를 좋아한다.
4
3
2
1
7. 나는 체중이 준 것 같다.
4
3
2
1
8. 나는 변비가 있다.
4
3
2
1
9. 나는 심장이 두근거린다.
4
3
2
1
10. 나는 별 이유 없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다.
4
3
2
1
11. 내 머리는 한결같이 맑다.
4
3
2
1
12. 나는 어떤 일이든지 전처럼 쉽게 처리한다.
4
3
2
1
13. 나는 안절부절못해서 진정할 수가 없다.
4
3
2
1
14. 나의 장래는 희망적이라고 생각한다.
4
3
2
1
15. 나는 전보다도 더 신경질(짜증)이 난다.
4
3
2
1
16. 나는 매사에 결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4
3
2
1
17. 나는 사회에 유익하고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4
3
2
1
18. 나는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낀다.
4
3
2
1
19. 내가 죽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4
3
2
1
20. 나는 전과 다름없이 만족하게 일한다.
4
3
2
1
총 점
50
목표 :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면, 과거의 성취, 미래의 전망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환자의 감정상태 및 자아인식상태를 사정한다.
2. 환자의 거부증을 수용한다.
3. 환자와 함께 있어 준다.
4. 환자가 자신의 강점과 성취를 인정하고 그것에 초점을 두도록 돕는다.
5. 동료로부터 긍정적 귀환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6. 간단히 성취할 수 있는 일을 제공하고 실제적인 성취에 대해 인정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준다.
7. 자기간호를 수행하도록 환자를 돕고 독립적으로 수행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 강화를 준다.
8. 환자로 하여금 점차 의존하지 않도록 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9. 자기주장 기법을 교육한다.
- 수용적인 태도는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킨다.
- 수용한다는 것ㅇ르 전달하고 자기가치감을 부여한다.
- 과거의 실패에 주목하자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성공과 인정은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긍정적 귀환은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 덜 조직화된 사회환경에서 성공하게 된다면 틀림없이 독자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 주장적 태도로 타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존감이 증진된다.
#3. 무가치감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주관적 자료
- “삶의 의미가 없어요.”
- “나는 혼자예요.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것도 싫고..”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DM (22년 전 진단 ; 임신성 당뇨)
- 시선을 잘 마주치려 하지 않는 모습 관찰함.
- 병동의 집단 활동에 참여하지 않음.
- 다른 활동 없이 혼자 침상에서만 지내는 모습 관찰.
목표 : 병동의 집단활동에서 다른 환자 및 직원과 더불어 자발적으로 시간을 보낸다.
간호 계획/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사회활동 상태를 사정한다.
2. 환자와 함께 있어 준다.
3. 짧고 잦은 접촉과 수용적인 태도를 통해 치료적인 간호사 환자 관계를 발달시킨다.
4. 환자가 일대일 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된 후에 집단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 한다.
- 간호사가 옆에 있어 주는 것은 환자로 하여금 자신을 가치있는 인간으로 지각하도록 한다.
- 옆에 있어주고 수용함으로써 환자의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킨다.
- 신뢰하는 사람이 옆에 있어 주는 것은 환자를 정서적으로 안정시키므로 환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처음 몇 번은 환자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게 한다.
#4. 무기력감과 관련된 자기간호 결여
주관적 자료
- “몸이 이지경이니까 씻지도 못하고..”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DM (22년 전 진단 ; 임신성 당뇨)/ Depression
- 목욕이나 삼푸 등을 하지 않은 모습 관찰됨.
- 환의가 지저분하고 적절한 외모의 유지에 대한 관심이 결여되어 있는 모습 관찰.
- 백내장 수술로 안약을 넣는데 얼굴에 안약 자국이 있어도 닦지 않는 모습 관찰.
- 환자는 거의 활동하지 않고 침상에 누워 무기력한 모습으로 지냄.
목표 : 스스로 일상활동을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실행한다.
간호 계획/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자기간호 능력의 수준을 사정한다.
2. 환자의 능력수준에 따라 정상적인 일상활동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3.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격려하지만 환자가 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도와준다.
4. 독립적인 성취에 대해 인정하고 긍정적 강화를 한다.
5. 음식과 수분의 섭취를 정확히 관찰한다.
- 독립적인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환자의 안위와 안정이 가장 우선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