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중 성공한 광고와 실패한 광고의 광고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 중 성공한 광고와 실패한 광고의 광고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공한 광고의 예
󰊱. N A V E R
󰊲. K T F
󰊳. 박카스
󰊴. 그 외의 성공광고

Ⅱ. 실패한 광고의 예
󰊱. 국내 콜라 업계

Ⅲ. 참고

본문내용

략 구사
*기업내적 마케팅: 공채를 통한 영업망의 강화 및 회사의 주력상품화 PUSH 전략
▷ 1963년 박카스D: 대량 판매, 대량 촉진의 토털 마케팅의 시도
*광고: 청량 강장영양제의 포지션을 지니고서 \"활력을 마시자\"를 주요 소구 포인트로 설정
전파매체를 중심으로 한 신문,잡지,옥외등 전매체를 통한 강력한 전략 전개
자금난에도 불구하고 동아제약의 운명을 건 대중광고의 실시로, 광고의 위력으로 전성기를 맞이하는 초석이 됨.
*업계 최초 독립 대리점(DSC-Dong-A Sales Circle) 운용
(당시 의약품의 유통은 도매상의 파워가 엄청났으며 DSC가 시행되자 도매상의 온갖 협박과 위협이 쇄도했다) - 동아제약으로서는 또하나의 모험이였다.
약품 드링크제의 광고 규제 실시로 매스 미디어 광고의 중단
- 1985년 광고 규제 확인
- 1993년 매스 미디어 광고의 재개
▷ 1991년 박카스F: 차별화 된 광고 전략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메이킹에 주력
(한국인의 정서를 파고 들어 철저한 대중, 서민 드링크로 포지셔닝)
- 기존 USER의 브랜드 로열티를 강화하고 USER층의 확산화 전략 구사
- MARKET LERDER(NO1.브랜드)의 혁신적 전략 전개
*광고 : \"그날의 피로는 그날에 푼다\"(신한국인 캠페인)
- 1993년 4월부터 중장비편을 시작으로 총13편을 운행
※ \"신한국인\" 캠페인은 성공적이다
1) 드링크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박카스 애호자들은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다.
2) 40-50대 중심시장에서 20-30대 중심시장 이동현상에도 전체적인 애호도에는 문제가 없다.
\"신한국인\" 캠페인의 전개로 드링크 전반 및 마케팅사에 빛나는 캠페인 전략으로 회자 되고 있다.
▷ 20대로의 광고 TARGET의 확대
:소비자 환경의 변화
드링크 시장의 침체로 인한 박카스 경쟁력 약화
부상된 20~30대 중심시장 :20대로의 타겟 하향
Ⅳ. 박카스 TV 광고 분석
박카스는 출시 이후 줄곧 자양강장제류에서 점유율1위를 차지한 제품이지만, 동안 금지되어있던 제약 제품의 TV광고가 허용된 1993년 이후부터 그만그만한 데 머물러있던 매출을 급성장, 현저하게 끌어올리고, 시장 선도자로서 입지를 확실히 했다. 한 편, IMF경제위기 이후 위축된 시장 전체를 새로운 광고 캠페인의 수행을 통해 확대하여 판매 7억 병을 돌파하는 진기록을 남기기에 이른다.
그만큼 박카스는 광고전략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광고로서 뿐 아니라 대 사회 캠페인으로서도 많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된 광고 캠페인 시리즈로서 경제위기동안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구축해 온 박카스의 광고를 짚어본다.
1. 93년~98년의 TV광고
1993년, 금지되어있던 제약제품의 TV광고에 대한 규제가 풀리면서 그동안 자양강장제 드링크로서 선두주자였던 박카스였지만,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 TV광고는 불가피한 것이었다. 전반적인 메시지는 60년대부터 해 온 기존 인쇄광고를 통해 고수해온 \'희망이 있는 미래\', \'활력을 주는 박카스\'를 유지하는 한편, \"휴머니즘\"을 소재로 삼아 당시 사회적으로 큰 이슈였던 \'신한국 건설\'캠페인과 맞물리도록 했다.
2. 98년 이후의 광고
98년 이후 박카스 광고가 젊어졌다. 박카스 광고가 그 타겟을 \'젊은이\'로 바꾸었다. 분명히 93년부터 이어져온 휴머니즘 주제의 박카스 광고 캠페인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변모를 꾀한 이유는 무엇일까?
신한국인 캠페인으로 시작한 광고는 매출을 올리는데 기여를 했을 분 아니라 광고사에서도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성공적 캠페인이다. 캠페인 목표 집단을 젊은층으로 바꾼 것은 젊은이들이 미래의 고객일 뿐 아니라 많은 다른 제품군에서 마케팅을 선도하는 계층이기 때문이다.
박카스는 10~20대 젊은이들이 소비하는 양이 작다고는 할 수 없으나, Heavy User층은 여전히 40~50대층이며, 점차 고령화되어가는 Heavy User들이 더 나이가 들게되면 과연 박카스의 고객은 누가 될 것인가? 이것이 바로 박카스가 젊은층의 소비자를 타겟으로 해야 하는 이유인 것이다.
젊어진 광고 캠페인 시리즈 이후, IMF로 잠시 매출이 떨어졌던 박카스는 급격한 성장을 하여 드디어 7억 병 판매의 진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 경영진의 TV 광고 마인드
1) 영상언어
젊은층은 비디오 세대이다. 구구절절 설명보다는 그림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리듬
꼭 논리적일 필요보다는 영상의 리듬감을 살려야 한다.
3) 메시지
설득하려고 하면 안된다. 강요나 강의식도 아니라, 그저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모습 중 하나를 담담히 그린다. 가장 \'박카스 다운\'모습을 찾아내는 것이 과제이다.
4) 동질화
young generation광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동질화이다. 그 동질화는 브랜드와 이미지의 동질화를 말한다. \"내가 좋아하는 광고=나에게 어울리는 브랜드\"로 인식되어 \'박카스\'=\'나의 브랜드\'라는 인식을 일으키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그 외의 성공 광고
케리부룩 ‘숙녀교실’ 캠페인
신는 구두에서 패션구두시대를 연 케리부룩 ‘숙녀교실’ 캠페인
방영시기 : 1977.10
\"예쁘게 걸어요\"로 시작된 제화광고의 새로운 역사
1970년대 중반만 해도 물자가 부족하던 때라 광고는 제품 알리기에 급급한 제품시대였다.
이 시기 제화업계는 뚜렷한 광고목표 없이 바겐세일 광고에만 치중함으로써 제품의 이미지는 물론이고 기업 이미지마저 손상시켰다. 그러나 구두의 소비패턴이 내구성에서 벗어나 유행조류를 타는 패션구매로 변하면서 1977년 하반기에 시작된 케리부룩 \'숙녀교실\' 캠페인은 참신한 기업, 세련된 제품 이미지 확립이 절실한 광고 전략이 되었다. 기존 제품의 이미지를 제고시키는데 역점을 두고 광고목표를 제품의 고급화에 따른 새로운 이미지 부각, 패션구두시대를 이끌어 가는 기업 이미지를 확립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종래의 로고 및 심볼 마크를 현대 감각에 맞게 바꾸고, 제품의 고급화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숙녀·신사화에 각각 \'아뜨레\', \'벤케리\'라는 고유 브랜드를 부여했다. 광고 컨셉트는 고교를 갓 졸업한 20대 초반 숙녀의 심리를 파고드는 겁예쁘게 걸어요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7페이지
  • 등록일2006.03.23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