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Kind of Alaska 를 읽고 - 얼어붙은 땅에서 존재하는 잠자는 숲 속의 공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Kind of Alaska 를 읽고 - 얼어붙은 땅에서 존재하는 잠자는 숲 속의 공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 Kind of Alaska' 속에서 나타나는 '깨어남'

2. Deborah, Hornby 그리고 Pauline 사이의 관계 모색

3. Deborah가 가지는 현실에서의 도피와 인식의 변화

4. 얼어붙은 땅에서 존재하는 잠자는 숲 속의 공주

본문내용

하여야 할 뿐 누구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Deborah는 그녀가 겪어야 하는 모든 과정들을 직접 겪은 후 이 모든 것을 다 극복하였다. 의존적인 여성의 모습에서 벗어나 자신 내면의 진정한 모습을 찾게 된 것이다. 그녀는 모든 상황들을 이해하고 그녀 자신에 대해서도 이해를 하기 시작한다. 그녀에게 있어 현실은 그녀가 존재하는 하나의 공간이었기 때문에 그 속에서 도피를 하지 않고 자신을 되찾으려 노력한 것이다.
남성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여성의 모습은 남성들이 원하는 모습이다. 이 모습들은 여성의 모습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다수의 여성들은 그 속에서 존재할 뿐 벗어나질 못한다. 따라서 Deborah의 자신의 모습은 여성의 입장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자신의 힘으로 이루어낸 하나의 성취인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Deborah는 \'이제 자신은 거울을 볼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거울은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하나의 도구이며, 또한 내가 보여지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이기도 하다. 즉 남성, 타인에 의해 여성의 존재는 확인되며, 그 속에서 자신은 위안을 얻게 된다. 하지만 그녀는 그러한 도구 없이도 자신의 존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또한 마지막 대사인 \'Thank you.\'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자신을 돌봐준 모든 이들에게 건네는 말이기도 하며, 자신에게 의지하기를 원했던 Hornby에게 던지는 비아냥거림이다. 그리고 그녀가 기대길 원하는 일반적 남성적 통념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던지는 말이기도 하다. 여기서 나는 맨 후자의 의미를 더욱 중요시 여긴다. 그녀가 하나의 독립적 존재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이는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모습에 대한 변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녀는 그러한 모습을 지닌 채 사회에 대해 도전하고 있는 것이다.
29년간의 그녀의 모습은 우리가 생각되어지는 현재의 여성의 모습에 대입시켜 생각해 볼 수 있다. 단지 여성들 내부의 주체적 의식의 변화가 없이 그저 의존적인 여성으로 존재하는 것은 그녀들이 아무리 여성 해방을 외치더라도 단지 웃음거리가 될 뿐 그녀들 존재에 대한 인식은 바뀌어지지 않을뿐더러 여성에 대한 이해도 그만큼 제자리걸음을 하게 된다. 따라서 Deborah의 변화는 현재 존재하는 여성들에게 큰 의의를 가져다준다. 현실을 바라보며, 이를 두려워하지 않고 바꾸고자 하는 자세는 지금 여성들에게 필요한 모습인 것이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