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직 촛불을 켤때가 아닙니다. (신석정)
▲별헤는 밤(윤동주)
▲태평천하(채만식)
▲구운몽(김만중)
▲사미인곡(정철)
▲송인(정지상)
▲시조2편(황진이)
▲창의가
▲백두산등척(변영로)
▲심춘순례(최남선)
▲유한라산기(최익현)
▲신아리랑
▲달밤(이호우)
▲말없은 청산(시조)
▲백설이 잦아진(시조)
▲별헤는 밤(윤동주)
▲태평천하(채만식)
▲구운몽(김만중)
▲사미인곡(정철)
▲송인(정지상)
▲시조2편(황진이)
▲창의가
▲백두산등척(변영로)
▲심춘순례(최남선)
▲유한라산기(최익현)
▲신아리랑
▲달밤(이호우)
▲말없은 청산(시조)
▲백설이 잦아진(시조)
본문내용
식\'은 집을 돌보지 않고 노름으로 밤을 새며 가산만 탕진하고 있고, 군수를 시키려던 손자 \'종수\'는 아버지의 첩 \'옥화\'와 정을 통하는 불륜을 저지른다. 며느리나 손자며느리도 고분고분하지가 않고 딸마저 시댁에서 소박맞고 와서 함께 살고 있다. 그래도 윤 직원 영감은 고압적으로 집안 분위기를 억누르고 있던 차에, 마지막으로 기대를 걸고 있던 손자 \'종학\'이가 \'사상 관계로 경시청에 피검\' 되었다는 전보를 받고 충격을 받는다.
이해와 감상
1938년 1월부터 9월까지 <조광(朝光)>에 연재된 중편소설. 처음 발표할 당시의 제목은 {천하 태평 춘}이었으나, 단행본으로 출간되면서 {태평 천하}로 바뀌었다. 일제 시대의 지주이자 고리 대금 업자인 윤 직원 영감의 몰역사(沒歷史) 의식과 그 집안이 몰락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특히 판소리 사설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문체가 독서의 재미를 더해 준다.
\'태평 천하\'에서 작가는 부정적 인물들로 구성된 가족을 통하여 한말(韓末)과 개화기, 그리고 일제 강점기 세대 사이의 가치관의 변화와 현실 대응에 따른 행동 유형을 보여 주고 있으며 바탕이 옳지 못한 가정이 어떻게 허물어져 가는가를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이를 통해서 식민지 사회에서 무엇이 문제이며 무엇이 생성되어야 할 것인가를 암시하려 하는 것 같다. \'태평 천하\'는 윤 직원 영감과 같은 부정적이고 타락한 인물에 대한 풍자가 핵심을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풍자는 반어(反語, 아이러니) 수법을 통한 부정적 인물의 희화화(戱畵化)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즉, 작가는 작중 인물을 겉으로는 추켜세우는 것처럼 서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부정적 측면을 더욱 드러내어 그 인물을 웃음거리가 되게 만들면서 추악한 일면을 폭로하고 있다. 부정적인 인물의 성격이 강할수록 풍자의 농도는 심해지기 마련인데, 이 작품의 경우는 윤 직원 영감이 그 중요한 풍자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지 않고 있는 인물은 윤 직원 영감의 둘째 손자인 \'종학\'이 한 사람뿐이다. 이는 \'종학\'이라는 인물에 대해 작가가 긍정적 시각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종학\')는 소설 전면(前面)에 등장하지 않고 윤 직원 영감의 욕망 표현 속에, 그리고 작품 후반부의 \'동경에서 온 전보\' 속에 잠깐 나타날 뿐이다. 물론 등장 인물의 출현 빈도수가 그 인간적 가치의 경중(輕重)에 비례하지는 않겠지만, 작가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 미래관을 구현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런 점에서 보더라도 이 소설의 초점은 역시 윤 직원 영감에게 있다. 이 작품의 문체는 판소리, 또는 탈춤 사설의 어투를 계승하고 있다. \'∼입니다.\'와 같은 경어체 문장이나, \'∼겠다요.\'와 같은 경박한 어투를 빌어서 작중 인물의 행위를 조롱하고 경멸하고 있다. 이는 바로, \'춘향가\'의 방자(房子)나 \'봉산 탈춤\'의 말뚝이 같은 인물이 양반 사대부의 면전에서는 공경스러운 태도를 짓다가도 뒤에 가서 느닷없이 조롱하고 경멸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본뜬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5대에 걸친 가족의 이야기로서 소위 \'가족사 소설\'의 전형에 드는 작품이다. 또한 성격 묘사에다가 사회 전체의 실상을 암시하려는 성격소설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1930년대 말에 한국 사회는 일제의 수탈과 착취에 의해 빈궁화 현상이 계속되어가고 있었다. 윤직원은 놀부형으로서 일제가 조장한 상업자본주의에 기생하여 자신의 부를 늘린 대표적인 인물이다. 작가는 전면에 윤직원을 내세워 왜곡된 사회와 그 속의 부정적 인물을 조롱하고 있다. 즉, 일제 강점하의 현실을 태평천하라고 믿는 주인공의 시국관을 풍자한다. 표현상의 특질을 몇 가지 살피면 판소리의 수법을 이용한 것이 우선 눈에 띈다. 판소리의 창자(唱者)처럼 \'- 입니다.\' 식의 경어체를 빌려 독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작중 인물을 조롱하고 있다. 또한 독자와 작중 인물의 중간에 서서 작중 인물을 평하면서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 점은 판소리사설에서의 창자의 역할과 같다. 판소리 사설처럼 풍자를 했다.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이런 존대말의 풍자는 봉산탈춤에서 말뚝이가 양반을 놀리는 장면과도 유사하다.
④ 구운몽 -김만중
작품개관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남해 유배 시절 어머니 윤씨 부인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었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양반 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다. 유교, 도교, 불교 등 한국인의 사상적 기반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불교의 공(空)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성진이라는 불제자가 하룻밤의 꿈 속에서 온갖 부귀 영화를 맛보고 깨어나, 인간의 부귀 영화는 일장 춘몽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껴 불법에 귀의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옥루몽>, <옥련몽>과 같은 몽자류 소설의 효시에 해당한다.
연대 : 숙종 15년(1689) 남해 유배시(작가 53세)
갈래 : 국문소설, 염정(艶情)소설, 전기(傳奇)소설, 몽자류(夢字類)소설, 양반소설
배경 : 시간적 - 당나라 때, 공간적 - 중국 남악 형산의 연화봉과 중국 일대(꿈)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창작 동기 : 귀양지에서 노모(老母)를 위로하기 위해 창작.
표현 :
(1) 꿈과 현실의 이중 구조를 취하고 있다.
(2) 관용적 표현과 유형적 문체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3) 전기적 요소, 우연적 사건 전개로 비현실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사상 : 유.불.선 사상이 혼합되었으나 불교의 공(空)사상이 주가 됨.
근원설화 : <조신몽>설화 [삼국유사
아류작 : <옥루몽(玉樓夢)>, <옥련몽(玉蓮夢)>
구성 : 이원적(二元的) 구성, 곧 액자소설(환몽세계 부분)
현실세계(이상적 세계)→ 환몽세계(현실적 세계)→ 현실복귀(이상적 세계)
주제 : 인생무상의 깨달음과 불법에의 귀의
⑤ 사미인곡(思美人曲) -정철
① 서사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한생 緣연分분이며 하날 모랄 일이런가.
나 하나 졈어 잇고 님 하나 날 괴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졸 대 노여 업다.
平평生생애 願원하요대 한대 녜자 하얏더니,
늙거야 므사 일로 외오 두고 글이난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광寒한殿뎐의 올낫더니
그 더대 엇디하야 下하界계예 나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
이해와 감상
1938년 1월부터 9월까지 <조광(朝光)>에 연재된 중편소설. 처음 발표할 당시의 제목은 {천하 태평 춘}이었으나, 단행본으로 출간되면서 {태평 천하}로 바뀌었다. 일제 시대의 지주이자 고리 대금 업자인 윤 직원 영감의 몰역사(沒歷史) 의식과 그 집안이 몰락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특히 판소리 사설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문체가 독서의 재미를 더해 준다.
\'태평 천하\'에서 작가는 부정적 인물들로 구성된 가족을 통하여 한말(韓末)과 개화기, 그리고 일제 강점기 세대 사이의 가치관의 변화와 현실 대응에 따른 행동 유형을 보여 주고 있으며 바탕이 옳지 못한 가정이 어떻게 허물어져 가는가를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이를 통해서 식민지 사회에서 무엇이 문제이며 무엇이 생성되어야 할 것인가를 암시하려 하는 것 같다. \'태평 천하\'는 윤 직원 영감과 같은 부정적이고 타락한 인물에 대한 풍자가 핵심을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풍자는 반어(反語, 아이러니) 수법을 통한 부정적 인물의 희화화(戱畵化)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즉, 작가는 작중 인물을 겉으로는 추켜세우는 것처럼 서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부정적 측면을 더욱 드러내어 그 인물을 웃음거리가 되게 만들면서 추악한 일면을 폭로하고 있다. 부정적인 인물의 성격이 강할수록 풍자의 농도는 심해지기 마련인데, 이 작품의 경우는 윤 직원 영감이 그 중요한 풍자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지 않고 있는 인물은 윤 직원 영감의 둘째 손자인 \'종학\'이 한 사람뿐이다. 이는 \'종학\'이라는 인물에 대해 작가가 긍정적 시각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종학\')는 소설 전면(前面)에 등장하지 않고 윤 직원 영감의 욕망 표현 속에, 그리고 작품 후반부의 \'동경에서 온 전보\' 속에 잠깐 나타날 뿐이다. 물론 등장 인물의 출현 빈도수가 그 인간적 가치의 경중(輕重)에 비례하지는 않겠지만, 작가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 미래관을 구현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런 점에서 보더라도 이 소설의 초점은 역시 윤 직원 영감에게 있다. 이 작품의 문체는 판소리, 또는 탈춤 사설의 어투를 계승하고 있다. \'∼입니다.\'와 같은 경어체 문장이나, \'∼겠다요.\'와 같은 경박한 어투를 빌어서 작중 인물의 행위를 조롱하고 경멸하고 있다. 이는 바로, \'춘향가\'의 방자(房子)나 \'봉산 탈춤\'의 말뚝이 같은 인물이 양반 사대부의 면전에서는 공경스러운 태도를 짓다가도 뒤에 가서 느닷없이 조롱하고 경멸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본뜬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5대에 걸친 가족의 이야기로서 소위 \'가족사 소설\'의 전형에 드는 작품이다. 또한 성격 묘사에다가 사회 전체의 실상을 암시하려는 성격소설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1930년대 말에 한국 사회는 일제의 수탈과 착취에 의해 빈궁화 현상이 계속되어가고 있었다. 윤직원은 놀부형으로서 일제가 조장한 상업자본주의에 기생하여 자신의 부를 늘린 대표적인 인물이다. 작가는 전면에 윤직원을 내세워 왜곡된 사회와 그 속의 부정적 인물을 조롱하고 있다. 즉, 일제 강점하의 현실을 태평천하라고 믿는 주인공의 시국관을 풍자한다. 표현상의 특질을 몇 가지 살피면 판소리의 수법을 이용한 것이 우선 눈에 띈다. 판소리의 창자(唱者)처럼 \'- 입니다.\' 식의 경어체를 빌려 독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작중 인물을 조롱하고 있다. 또한 독자와 작중 인물의 중간에 서서 작중 인물을 평하면서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 점은 판소리사설에서의 창자의 역할과 같다. 판소리 사설처럼 풍자를 했다.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이런 존대말의 풍자는 봉산탈춤에서 말뚝이가 양반을 놀리는 장면과도 유사하다.
④ 구운몽 -김만중
작품개관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남해 유배 시절 어머니 윤씨 부인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었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양반 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다. 유교, 도교, 불교 등 한국인의 사상적 기반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불교의 공(空)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성진이라는 불제자가 하룻밤의 꿈 속에서 온갖 부귀 영화를 맛보고 깨어나, 인간의 부귀 영화는 일장 춘몽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껴 불법에 귀의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옥루몽>, <옥련몽>과 같은 몽자류 소설의 효시에 해당한다.
연대 : 숙종 15년(1689) 남해 유배시(작가 53세)
갈래 : 국문소설, 염정(艶情)소설, 전기(傳奇)소설, 몽자류(夢字類)소설, 양반소설
배경 : 시간적 - 당나라 때, 공간적 - 중국 남악 형산의 연화봉과 중국 일대(꿈)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창작 동기 : 귀양지에서 노모(老母)를 위로하기 위해 창작.
표현 :
(1) 꿈과 현실의 이중 구조를 취하고 있다.
(2) 관용적 표현과 유형적 문체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3) 전기적 요소, 우연적 사건 전개로 비현실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사상 : 유.불.선 사상이 혼합되었으나 불교의 공(空)사상이 주가 됨.
근원설화 : <조신몽>설화 [삼국유사
아류작 : <옥루몽(玉樓夢)>, <옥련몽(玉蓮夢)>
구성 : 이원적(二元的) 구성, 곧 액자소설(환몽세계 부분)
현실세계(이상적 세계)→ 환몽세계(현실적 세계)→ 현실복귀(이상적 세계)
주제 : 인생무상의 깨달음과 불법에의 귀의
⑤ 사미인곡(思美人曲) -정철
① 서사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한생 緣연分분이며 하날 모랄 일이런가.
나 하나 졈어 잇고 님 하나 날 괴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졸 대 노여 업다.
平평生생애 願원하요대 한대 녜자 하얏더니,
늙거야 므사 일로 외오 두고 글이난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광寒한殿뎐의 올낫더니
그 더대 엇디하야 下하界계예 나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
추천자료
55개월 된 아동(또는 아동들)에게 개별 또는 집단 언어지도를 하려고 합니다. 말하기 영역 활...
111215 수능어휘분석(12년수능) - 2012학년도 수능 외국어영역 기출문제 어휘 분석
영유아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관심을 갖기 위한 언어활동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각 ...
유치원 언어생활 영역과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영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오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영역)에...
몬테소리 교육과정에 소개된 5개 영역(일상, 감각, 수, 언어, 문화)에 속하는 각각의 활동리...
1994~2012 수능 외국어 영역 기출 어휘 분석
(감상문) 잠들 때 들려주는 5분 구연동화 100가지 이야기, 무슨뜻이지(아이과학2단계-생물영...
(언어지도 과제)영역별 언어지도 방법에 대하여 논하시오 (말하기 지도, 듣기 지도, 읽기 지...
[총체적언어교육] 총체적언어교육(언어접근법, 언어학습)의 개관, 발달, 접근방향, 원칙, 영...
[보육학개론(保育學槪論)] 걸음마 유아를 위한 보육 환경의 영역별 구성 (기저귀 가는 곳, 식...
[언어지도]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을 개요, 내용범주, 지도원리로 나누어서 설명하시오 ...
만 2세 영아의 발달영역별 (신체, 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놀이의 효과를 기술하고, 발달영...
[만 2세 영아의 발달영역별 (신체, 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놀이의 효과를 기술하고,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