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4. 공업용수의 경도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4. 공업용수의 경도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이론
공업용수란?
① 공업용수의 종류
② 공업용수내 불순물
1) 공업용수로 사용할 때 불순물 존재에 의한 단점
2) 침윤처리 공정
3) 물의 성분에 따른 분류

2. 실험방법
(1) 전경도
(2)일시경도와 영구경도

3. 실험기구

4. 결과 및 고찰
1) 실험계산 및 결과
1.표준 E.D.T.A 용액 100 ㎖ (CaCo3 대응량이 1인 용액) 조제
2. 전경도의 측정
3. 영구경도의 측정
4. 일시경도
2) 결과고찰
3) 문제풀이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입지조건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한국의 공업용수(단물) 시설용량은 1964년에는 1일에 95만 2,000t이었으나, 1976년에는 약 420만t 으로 늘어나 12년 사이에 4.4배로 증가하였다. 이 밖에 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의 냉각수로 바닷물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바닷물은 한국의 강수량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바닷물을 냉각수로 다량 사용하면 주변의 해수농도(海水濃度)가 변화하므로, 해역(海域)의 생물자원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전에 충분한 조사와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1960년 울산공업단지를 조성함에 있어서 태화강(太和江) 상류의 사연제(泗淵堤)와 대암제(大岩堤)를 축조하여 공업용수를 확보한 것을 비롯하여, 그 후 포항공업단지 창원공업기지 호남화학기지 온산기지 등 많은 공업단지를 건설함에 있어서도, 이에 필요한 공업용수를 하천수 또는 댐을 축조하여 확보하고 있다. 공업이 발달할수록, 그리고 국가 경제활동이 커질수록 공업용수의 수요량은 증가하게 되므로, 앞으로 저렴한 공업용수를 다량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① 공업용수의 종류
황무지수 (荒無地水), 강물, 호수. 연못물과 같은 지상수와 샘물, 우물물과 같은 지하수
② 공업용수내 불순물
Ca, Mg, Fe, 고형물, 유기물 산 또는 알칼리
1) 공업용수로 사용할 때 불순물 존재에 의한 단점
Ca, Mg: 정련제로 비누 사용할 때 금속 비누로 되어 비누자체 손실 증가, 염 료나 약제를 침전시키거나 그 효력 저하시킨다.
Fe : 염류로서 존재할 시 제 1철은 거의 무색이나 가열하거나 오랫동안 방치 함에 따라 제 2철로 갈변, 정련 표백에 있어 담황갈색을 나타내고, 수산 처리를 필요하게 한다. 과산화수소로 표백한 경우 철이 존재하면 분해를 촉진시켜 섬 유를 상하게 한다. 다시 염기성 염료로 선명한 색으로 염색하는 때는 탄닌매염 공정에서 탄닌철을 만들게 되어 지장을 초래한다.
고형물 : 지하수인 경우 문제되지는 않지만 지상 천연수인 때는 상당히 많으 며 표백이나 무지염색에서 때때로 실패를 초래 유기물리 많을 시 최종제품에 취 기를 준다.
2) 침윤처리 공정
: 물의 양부(良否)는 최종제품에 영향을 준다.
(1)공정의 종류 : 섬유의 구별, 사용하는 약제, 염료/조제 등의 구별, 처리 공정의 구별(정련 표백, 염색 등의 구별)
(2)공정에 쓰이는 용수
ⅰ조건 : 양, 질, 온도
ⅱ수량 : 처리 종류에 따라 단위당 사용량이 다름. 염료 약제 등을 물을 매개로 하여 섬유에 작용시키는데 쓰이는 양은 비교적 적다.이들 작용의 뒤에 주는 수세에는 다량이 필요하다.
ⅲ 수질 : 경도가 가장 중요하나 유기물, 고형물, ph,탁도 등에 대해서도 주의, 섬유제품의 침윤처리 공정의 열원인 기관의 수명, 관석, 의 부착에 의한 효율의 저하에도 관계됨.
ⅳ 수온: 비교적 경시되어 왔으나 기술의 복잡화에 따라서 그의 주의가 인식되게 되었음.
3) 물의 성분에 따른 분류
경수란?
중수소(重水素)와 산소로 이루어진 중수(重水)와 구별하기 위해 쓰이는 말이다. 중수는 천연수에 약 0.015% 함유되어 있다. 중성자의 감속재(減速材)로서 중수를 이용하는 원자로를 중수형 원자로라고 하는 데 대해, 보통의 물을 감속재로 이용하는 원자로를 경수형 원자로라고 한다. 경수는 중수에 비해서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훨씬 크지만, 손쉽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원자로의 감속재 냉각재 반사재 차폐재(遮蔽材) 및 콘덴서의 냉각재 등으로 널리 쓰인다.
①경수(센물)
ⅰ일시적 경수 ;
끓으면 단물화가 된다. 센물의 원인을 만드는 금속염은 경화염류라고 총칭한다. 경 화염류가 중탄산염인 때는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2.1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