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호수아
개요와 내용
☞ 실제적인 승리는 어느 정도였는가?
책의 형성 과정과 신비성
☞ 진정성-
역사적인 상황
여호수아의 침입 시기
☞ 국제적인 상황
☞ 아마르나 서신들과 하비루
헤렘(Herem), 또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하는 살상
☞ 여호수아는 태양을 멈추게 했는가?
여호수아서의 신학적인 주제들
☞ 약속을 지키시는 하나님-
☞ 계약 사상-
☞ 안식의 성취-
사사기
중심 사항
☞ 야웨께서 이스라엘을 시험 하신다-
☞“사사”는 누구인가?
개 요
역사적 배경
☞ 민족의 이동-
☞철기시대(the lron Age)의 시작
☞가나안 땅과 그 족속들-
☞ 이스라엘의 지방 분권적 상황-
☞사사들의 연대기-
저자의 형성 과정
☞저자
☞책의 형성 과정
신앙상의 의미
☞신명기적 역사
☞속임과 배신
☞입다와 그의 딸-
☞삼손의 위업-
☞핵심적이 교훈
신학적인 공헌
☞하나님은 구원자이시다-
☞역사관-
☞왕정제도에 대해서-
개요와 내용
☞ 실제적인 승리는 어느 정도였는가?
책의 형성 과정과 신비성
☞ 진정성-
역사적인 상황
여호수아의 침입 시기
☞ 국제적인 상황
☞ 아마르나 서신들과 하비루
헤렘(Herem), 또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하는 살상
☞ 여호수아는 태양을 멈추게 했는가?
여호수아서의 신학적인 주제들
☞ 약속을 지키시는 하나님-
☞ 계약 사상-
☞ 안식의 성취-
사사기
중심 사항
☞ 야웨께서 이스라엘을 시험 하신다-
☞“사사”는 누구인가?
개 요
역사적 배경
☞ 민족의 이동-
☞철기시대(the lron Age)의 시작
☞가나안 땅과 그 족속들-
☞ 이스라엘의 지방 분권적 상황-
☞사사들의 연대기-
저자의 형성 과정
☞저자
☞책의 형성 과정
신앙상의 의미
☞신명기적 역사
☞속임과 배신
☞입다와 그의 딸-
☞삼손의 위업-
☞핵심적이 교훈
신학적인 공헌
☞하나님은 구원자이시다-
☞역사관-
☞왕정제도에 대해서-
본문내용
면서 지냈던 이 중간기는 “사사시대”라고 불린다. 이 이야기는 사사기서에 들어 있다.
중심 사항
☞ 중요한 것은 구약에서 뚜렷한 형태의 역사관이 전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역사관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당하는 일들은 모두 다 야웨의 행위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관은 사사기에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 야웨께서 이스라엘을 시험 하신다- “여호와께서·····이스라엘을 시험하려 하시며·····남겨 두신 열국은·····”이라고 말이 나온다. 다시 말해서 이스라엘의 불순종은 선택의 목적과 자신에 이스라엘에게 베푸신 계시를 그들이 더 깊게 이해하게 만드는 도구가 되었다. 이 시험은 이중적인 진리, 즉 이스라엘은 야웨와의 언약에 충실하지 않을지 몰라도 야웨는 여전히 그 언약에 신실하시다는 점과, 만약 그들이 그를 부르면 그들을 구원하시리라는 점을 분명하게 실증해준다.
☞“사사”는 누구인가? - 사사기에서 “사사”들은 지도자들은 혹은 구원자들이었다. “사사”는 야웨께서 세우신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였으며, 그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에게는 하나님의 영이 임했다. 그는 왕이 아니었으며, 왕조나 족벌을 만들지 않았다. 사사는 압제자를 몰아내고 땅을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서 야웨가 선택하신 사람 - 남자 또는 여자(왜냐하면 드보라도 그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 이다.
개 요
가나안 정복 활동에 대한 국부적인 기록(1:1-2:5)- 사사 시대의 이스라엘, 기드온의 사망 때까지(2:6-8:35)- 아비멜렉의 짧은 통치(8:33-9:57)- 사시시대의 이스라엘; 이 시대의 종언(10:1-12:15)- 블레셋의 압제와 삼손의 위업(13:1-16:31)- 이 시대의 다른 사건들(17:1-21:25)
역사적 배경
☞ 민족의 이동- 2000년기 후반의 동남부 유럽과 남서부 아시아의 인구 이동은 수세기 동안 고정되어 있었던 민족들의 분포도를 급격하게 바꾸어 놓았다. 크레테와 펠로폰네수스의 미오나 문명과 미케네 문명은 종말을 맞이했다. 소아시아의 침략자들은 히타이트의 수도를 파괴하고, 이들을 동쪽의 시리아 지역으로 몰아넣었다.
☞철기시대(the lron Age)의 시작- 중동에서 철기시대는 보통 12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철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단어는 히타이트어에서 빌려 온 것이며, 금속 제련법은 히타이트 동부의 킷주와트나 지방에서 처음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구약에 나오는 철에 대한 언급들 중 초기의 것들로서는 바산 왕 옥의 철침대, 가나안인들과 그리고 블레셋 족속들이 금속 제련법을 독점한 이야기드을 들 수 있다. 히타이트인들과 그 이후의 블레셋인들이 누리던 금속 제련법에 대한 독점은 곧 끝이 나고, 12세기까지는 중동에서 철기가 보편화되었다.
☞가나안 땅과 그 족속들- 팔레스타인은 대체적으로 산과 골짜기로 이루어져 있는 땅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뭉쳐 살기보다는 여러 개의 도시 국가들로 흩어져서 살기에 더 알맞았다. 이스라엘을 시험하기 위해서 그 땅에 남겨진 민족들은 “가나안 사람, 헷사람(히타이트 족속), 아모리 사람, 브리스 사람, 히위 사람, 여부스 사람”(3:5) 등이었다.
“가나안”이라는 말은 부정확한 용어다. 이 단어는 넓게는 가나안에 살았던 모든 민족들을 다 지칭하며, 또 좁게는 특정 민족을 지칭하기도 한다.
“아모리 사람”이라는 말도 역시 정의하기가 어렵다. 바빌로니아 자료들은 아무르란 땅에서 온 동명의 한 민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그들의 수도는 유프라테스강의 마리였다. 그들은 주전 2000년기의 아주 이른 시기에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침입해서, 이신과 라르사에 아모리 왕조를 세웠다. 아모리인들은 또한 시리아의 도시 국가들을 점령 했었
중심 사항
☞ 중요한 것은 구약에서 뚜렷한 형태의 역사관이 전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역사관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당하는 일들은 모두 다 야웨의 행위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관은 사사기에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 야웨께서 이스라엘을 시험 하신다- “여호와께서·····이스라엘을 시험하려 하시며·····남겨 두신 열국은·····”이라고 말이 나온다. 다시 말해서 이스라엘의 불순종은 선택의 목적과 자신에 이스라엘에게 베푸신 계시를 그들이 더 깊게 이해하게 만드는 도구가 되었다. 이 시험은 이중적인 진리, 즉 이스라엘은 야웨와의 언약에 충실하지 않을지 몰라도 야웨는 여전히 그 언약에 신실하시다는 점과, 만약 그들이 그를 부르면 그들을 구원하시리라는 점을 분명하게 실증해준다.
☞“사사”는 누구인가? - 사사기에서 “사사”들은 지도자들은 혹은 구원자들이었다. “사사”는 야웨께서 세우신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였으며, 그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에게는 하나님의 영이 임했다. 그는 왕이 아니었으며, 왕조나 족벌을 만들지 않았다. 사사는 압제자를 몰아내고 땅을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서 야웨가 선택하신 사람 - 남자 또는 여자(왜냐하면 드보라도 그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 이다.
개 요
가나안 정복 활동에 대한 국부적인 기록(1:1-2:5)- 사사 시대의 이스라엘, 기드온의 사망 때까지(2:6-8:35)- 아비멜렉의 짧은 통치(8:33-9:57)- 사시시대의 이스라엘; 이 시대의 종언(10:1-12:15)- 블레셋의 압제와 삼손의 위업(13:1-16:31)- 이 시대의 다른 사건들(17:1-21:25)
역사적 배경
☞ 민족의 이동- 2000년기 후반의 동남부 유럽과 남서부 아시아의 인구 이동은 수세기 동안 고정되어 있었던 민족들의 분포도를 급격하게 바꾸어 놓았다. 크레테와 펠로폰네수스의 미오나 문명과 미케네 문명은 종말을 맞이했다. 소아시아의 침략자들은 히타이트의 수도를 파괴하고, 이들을 동쪽의 시리아 지역으로 몰아넣었다.
☞철기시대(the lron Age)의 시작- 중동에서 철기시대는 보통 12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철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단어는 히타이트어에서 빌려 온 것이며, 금속 제련법은 히타이트 동부의 킷주와트나 지방에서 처음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구약에 나오는 철에 대한 언급들 중 초기의 것들로서는 바산 왕 옥의 철침대, 가나안인들과 그리고 블레셋 족속들이 금속 제련법을 독점한 이야기드을 들 수 있다. 히타이트인들과 그 이후의 블레셋인들이 누리던 금속 제련법에 대한 독점은 곧 끝이 나고, 12세기까지는 중동에서 철기가 보편화되었다.
☞가나안 땅과 그 족속들- 팔레스타인은 대체적으로 산과 골짜기로 이루어져 있는 땅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뭉쳐 살기보다는 여러 개의 도시 국가들로 흩어져서 살기에 더 알맞았다. 이스라엘을 시험하기 위해서 그 땅에 남겨진 민족들은 “가나안 사람, 헷사람(히타이트 족속), 아모리 사람, 브리스 사람, 히위 사람, 여부스 사람”(3:5) 등이었다.
“가나안”이라는 말은 부정확한 용어다. 이 단어는 넓게는 가나안에 살았던 모든 민족들을 다 지칭하며, 또 좁게는 특정 민족을 지칭하기도 한다.
“아모리 사람”이라는 말도 역시 정의하기가 어렵다. 바빌로니아 자료들은 아무르란 땅에서 온 동명의 한 민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그들의 수도는 유프라테스강의 마리였다. 그들은 주전 2000년기의 아주 이른 시기에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침입해서, 이신과 라르사에 아모리 왕조를 세웠다. 아모리인들은 또한 시리아의 도시 국가들을 점령 했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