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의 미래(유한킴벌리) 사례를 통해 살펴본 효율적인 인사 및 조직관리 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현재 기업과 제조업시장동향

2.유한킴벌리의 순환근무방식이란?

3.유한킴벌리의 순환근무방식에 의한 신규 일자리창출

4.노▪사윈윈(win-win)전략

5.4조 근무제의 생산성 향상

6.4조근무제가 제시하는 향후 시장동향과 제조업의 미래

본문내용

작년 7천36억원으로 급증했고 순이익도 같은 기간에 1백44억원에서 9백4억원으로 뛰었다. 매출액 212%, 순이익 793%가 성장하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6.4조근무제가 제시하는 향후 시장동향과 제조업의 미래
4조2교대의 기본 틀은 작업에 투입되지 않는 예비조를 구성, 명생교육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직원들의 삶의 질 제고에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우리는 높은 생산성을 이룩할 수 가 있으며 매출액 증진에도 좋다. 만약 이 근무제도가 제조업계에 정착된다면 현재 주당 56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 276만명과 44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 867만명이 4조2교대근무제도로 움직인다면 근무시간이 40시간으로 단축되고 당장 400~500만개의 일자리가 생겨나게 된다.
현재 한국은 명품같은 고급품목들은 거의 다 외국 브랜드에 내주고 중저가 제품은 중국 기업에게 빼앗기고 있는 실정에서 단순히 제조업을 포기한 서비스업만으로는 한국 경제는 살 수는 없을 것이다. 요즘같은 고실업시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적 자본에 의한 부가가치 창출은 더 이상 의미가 없으며 4조2교대처럼 '기술적 차별화'와 '신뢰적 차별화'를 달성해야만 한국에서 기업들이 생존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2.1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