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술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술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전에....

2. 술의 정의

3.우리나라 술의 역사

4.음주민속문화

5.월별 우리나라 민속주

6.주도란?

7.술자리 분위기

8. 이을만한 음주 문화

9. 술의 사회

10.결 론

본문내용

나라에 전파되고 동화되면서 독특한 술까지 빚게 된 것으로 짐작하며 실제로 일본고사에는 우리에게서 배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의 [고사기]에 보면 웅신천황 때 백제의 수수거리가 새로운 방법으로 좋은 술을 빚어서 전하여 후세에 그를 주신으로 모셨다고하며, 우리나라 스님 보리형제가 새 술의 창시자라고 하는데 이 새 술이란 누룩을 써서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삼국시대의 후기부터 통일 신라 시대에 이르는 기간동안 우리의 술은 상상 이상으로 다채로웠고 중국에서까지 그 명성이 떨쳐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3) 조선시대 : 우리나라 주조 사상 주목할 일은 조선 시대에 오면서 지금까지 유명주로 손꼽히는 술들이 이시기에 정착되었다는 것이다. 술도 고급화 추세를 보여 제조 원료도 멥쌀위주에서 찹쌀로 바뀌고 발효기술도 단사입에서 중양법으로 바뀌면서 양보다는 질 좋은 술들이 제조되는데 이때 양주로 손꼽히던 주품들은 삼해주, 백로주, 이화주, 부의주 국화주 등이었다. 조선 후기로 접어 들면서 지방주가 전성기를 맞이하는데 지방마다 비전되는 술들이 멋과 맛을 내면서 노출되기 시작한다.
2. 음주민속문화
1) 모든 사회는 그 나름이 음주민속문화를 가진다. 각 나라와 문화권마다 차이를 나타내는 음주민속문화들이 존재하며, 우리의 막걸리, 프랑스의 포도주, 중국의 고량주, 독일의 맥주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음주민속문화의 차이는 그 사회의 물질적 토대와 깊은 연관을 가진다. 즉 포도주는 북유럽보다 남유럽에 보다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북위 49도 이후로는 추위 때문에 자랄 수 없는 데에 기인하며 북유럽이나 러시아, 이슬람 문화권은 포도주를 모르기 때문에 차가 발달 하였다.
2) 술은 일종의 공동체적 통합력 혹은 집단 도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막걸리라는 음주민속문화의 소비는 고유한 문화와 정신을 내포하고 있는 막걸리를 마시는 사회와 집단을 형성하며, 농경문화에 뿌리를 두어온 공동체의 오랜 기풍을 내면화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음주민속문화들은 일상 그 자체, 즉 의례화된 사회적 삶의 배경으로 작용한다. 또한 술 익는 도가니가 만들었던 분위기와 기후감은 공감의 배경이 되며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고달플 때 사람들은 술을 찾게 된다.
3. 월별 우리나라 민속주
1 월 설 - 세주 (조상에게 제사후 마시는 술) ,
정월대보름 - 귀밝이술 ( 정초에 웃어른들 앞에서 술을 들게 되면 술버릇 도 잘 배울 수 있기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