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경제의 현황과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 경제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도 경제의 주요 현황
■ 최근 인도의 경제 현황
■ 인도 경제의 잠재력
■ 인도 경제의 취약점

2. 인도 경제의 IT산업
■ IT강국으로 급부상하는 인도
■ 인도 IT산업의 실력
■ 인도 IT산업의 잠재적 원천
■ 인도 IT산업 성장의 제약 조건

3. 우리나라와의 관계
■ 진출 유망분야와 형태

4. 시 사 점
■ 인도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
■ 국내 IT산업 발전을 위한 중심축의
하나로 활용
■ 글로벌 재편을 감안한 산업 성장
전략을 구사

본문내용

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서 서로 협력
미국 IT산업에서도 인도 이민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
- 학계에서도 막강한 세력을 형성
미국 경영학계의 3대 인맥은 유태계, 모르몬계, 인도계
▲ 내수시장 규모와 성장성
- 소득증가, 의식변화에 따라 중산층을 중심으로 소비가 증가
5년간 도시 근로자 소득은 20% 증가
전문직 계층을 중심으로 개인적이고 소비지향적인 문화가 확산
- IT기기 및 서비스의 성장여력이 충분
■ 인도 IT산업 성장의 제약 조건
▲ 정부 부문의 비효율성
- 규제개혁이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공식적, 비공식적 규제가 많음
830여 개의 품목이 일정규모 미만의 소기업에게만 허용
인도에서 기업인들은 관료를 상대하는 데 전체시간의 15.9%를 사용
- 공기업의 비중이 높고 비효율적으로 운영 죔
▲ 낙후된 인프라, 부동산의 고비용
- 교통, 물가, 전기 등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취약
- 부동산 가격이 소득수준에 비해 지나치게 높음
- 카스트제도, 현세를 부정하는 국민성 등도 장애 요인
3. 우리나라와의 관계
■ 진출 유망분야와 형태
▲ 우리 대인도 수출은 13.8억 달러, 수입은 12.5억 달러(2002년 도 기준)이며 인도는 24위의 수출시장
- 우리나라의 대인도 교역은 2002년 약 25억 달러 규모지만 수출보다 수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
- 양국 교역은 1990년 전반 급속도록 증가했으나 1990년대 후반 속도가 저하
한국의 수출은 1990~95년 기간 2.6배 증가했으나 1995~2002년 기간에는 1.2 배로 둔화
- 인도는 반덤핑 제소를 자주 사용하여 우리에게는 어려운 국가
2002년 반덤핑제소건 수는 79건으로 2위 미국(35건)의 2배
무역제도도 복잡하고 국내기업의 보호를 위해 인도 정부는 반덤핑제소를 자주 사 용
한국과 인도의 수출입추이
(단위 : 백만달러)
1990
1995
1997
1999
2000
2001
2002
수 출
435
1,126
1,150
1,362
1,326
1,408
1,384
수 입
238
798
939
768
985
1,106
1,249
수 지
153
328
211
594
341
302
135
- 한국의 대인도 수출은 현지에 직접투자로 진출한 우리 기업의 부품 및 중간재 수 입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큼
2002년 우리 주요 수출품은 반도체 및 통신기기 등 산업용전자제품 약 2.3억 달러, 수송기계(자동차부품) 약 2.1억 달러 수출
이들은 국내 삼성, LG 등 대형전자업체나 현대자동차 등 인도에 진출한 기업들 의 기업내 무역
- 대인도 수입은 광물성 연료, 1차산품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음
2002년 우리는 인도에서 나프타를 3억 달러 이상 수입했으며 면사등도 주요 수 입품임
금액으로 많지 않지만 망간, 염료, 철강, 사료 등도 주요 수입품으로서 제조상품 은 아님
▲ 한국의 대인도 투자는 2002년대 말 현재 7억 달러 이상에 이 름
- 총투자는 102건, 7억 900백만 달러이며 제조업이 83건에 6억 2천만 달러로 전체 의 80%(건수), 86%(금액)을 차지
한국 기업의 대인도 투자 및 중국 투자
인 도
중 국
전 체
제 조 업
전 체
제 조 업
건 수
102
82
7,392
6,413
금액(백만달러)
709
611
6,544
6,465
▲ 우리 기업들의 대인도 진출은 내수 지향적 투자형태가 바람직
- 한국 중소기업들이 우회수출용 투자를 하기에는 인도가 경쟁력이 없음
(비용 : 동남아, 기회 : 중국이 유리)
- 투자의 경우도 인도의 불확실성으로 중소기업의 진출은 어려우며, 조립형 대기업 들의 투자가 바람직
▲ 인도의 사회간접자본 건설과 민영화 사업에 진출 가능
- 인도는 사회간접자본 건설을 위해 민자유치 형태의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음
- 우리의 전문기업들은 인도정부의 민영화에 참여하여 지분을 인수하고 경영에 참 가
4. 시사점
■ 인도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
▲ 미래 경제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의 잠재력을 명확하게 인 식
- 인식 전환의 필요(가난한 나라, 요가나 명상, 여행지 등으로 인식)
- 인도를 21세기 우리 경제 성장 전략적 파트너로 설정
▲ 정부 및 민간차원의 경제 협력을 적극 추진
- 정부 차원에서 한국인도 경제협의체의 설립 등 협력 방안을 모색
- IT산업을 중심으로 민간교류의 활성화를 시킴
- 경제 협력 확대 및 인도시장 공략을 위한 인도전문가 육성이 시급
■ 국내 IT산업의 발전을 위한 중심축의 하나로 활용
▲ 국내 하드웨어 산업과 인도 소프트웨어 산업간 상호보완을 도모
- 국내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을 위한 양국간 교류 확대
- 양국의 기술을 결합하여 세계시장에 공동으로 진출
▲ 인도 IT기술과 인력을 활용하기 위해 현지 R&D센터를 설립
- 인도 내수시장을 목표로 한 제품 개발, 국내기술력이 부족한 분야의 연구개발
■ 인도 내수시장을 장기적으로 공략
▲ 인도 내수시장은 성장 초기 단계로서 시장선점이 중요
- 인도시장을 미래 잠재시장으로 여기기보다는 조기에 선점해야하는 유망시장으로 인식
- 시장이 형성된는 분야로부터 단계적 진출
- 리스크 회피를 위해서는 컨소시엄 혹은 동반진출 형태가 바람직
▲ 수입 규제 회피를 위한 전략 마련도 시급
- 인도는 2002년 77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는 등 무역적자가 계속되고 있어 수입규 제가 강화될 것으로 보임
■ 글로벌 재편을 감안한 산업성장 전략을 구사
▲ 향후 인도의 소프트웨어와 중국의 하드웨어가 IT산업 글로벌 재편의 ‘태풍의 눈’ 이 될 전망
- 미국은 소프트웨어 폼플렛 등 기반기술 강화와 IT관련 서비스의 고도화를 통한 경쟁력 유지에 주력
- 중국, 일본 등 하드웨어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인도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인도와의 전략적 협조를 적극 모색
- 우리나라가 IT산업의 글로벌 재편에서 소외되지 않기 위한 전략을 마련
▲ 이동통신 등 강점을 가지고 있는 분야를 더욱더 강화하여 IT 산업의 글로벌 재편에 대응
- 글로벌 R&D체제를 구축하여 기술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
-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하드웨어(휴대폰 등)에 인도의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세계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제품과 서비스를 공동 개발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2.2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