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 도시빈민의 개념.
Ⅱ. 빈민은 어떤 사람인가 ?
본론
Ⅰ. 도시빈민은 계급인가 ?
1. 도시 빈민의 계급적 성격.
2. 도시빈민을 소자산계급으로 보는 견해.
3. 도시빈민은 노동자계급인가 ?
Ⅱ. 도시빈민의 현실.
1. 주택 및 주거 상태.
2. 재개발 정책.
3. 건강 및 복지 상태.
4. 경계 생활 실태.
5. 사회적 의식 및 태도.
결론
Ⅰ. 도시빈민의 개념.
Ⅱ. 빈민은 어떤 사람인가 ?
본론
Ⅰ. 도시빈민은 계급인가 ?
1. 도시 빈민의 계급적 성격.
2. 도시빈민을 소자산계급으로 보는 견해.
3. 도시빈민은 노동자계급인가 ?
Ⅱ. 도시빈민의 현실.
1. 주택 및 주거 상태.
2. 재개발 정책.
3. 건강 및 복지 상태.
4. 경계 생활 실태.
5. 사회적 의식 및 태도.
결론
본문내용
가진 가구수는 47.9%이며 단순노동, 행상, 파출부, 가내 부업 등 가계 보조적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낮은 가계수입에도 불구하고 부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가구가 절반 가량되는 것은 소득을 위한 취업내지 부업의 기회가 매우 제한 되어 있다.
나. 생활비
가구당 월 생계비 부족액은 '부족하지 않다'가 51.6%, '5만원 정도' 가 14.4%, '10원 - 15만원 정도' 가 21.4%, '20만원 이상' 이 12.6%로 생활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가 48.4%이며 낮은 소득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생활비가 부족하지 않다는 가구의 경우에는 극도의 절제된 내핍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다. 저축 및 부채
가구당 저축액은 '저축없음' 이 61.8%, '10만원 이상' 이 24.7%로서 대다수에 있어 저축의 여유가 없음은 당연하나 38.1%가 적은 액수나마 저축을 하고 있는 것은 빈곤으로 부터의 탈출을 위한 몸 부림으로 보인다.
가구당 부채액은 '부채없음' 57.3%, '150만원 미만' 7.4%, '50만원 - 100만원 미만' 6.8%, '100만원 이상' 이 28.4%로서 부채가 없는 가구가 1/2를 넘지만, 이것은 생활에 여유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답보 또는 상환능력의 문제로 돈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5. 사회적 의식 및 태도
도시 빈민의 계층 귀속 의식은 스스로를 '빈곤층에 귀속시키는 경우' 83.%, '중산층 이상' 17%이며, 빈곤의 책임은 '자기자신'이 40%, '개인과 사회에 반반' 은 43.9%, '사회' 는 15.9%로 대답했다.
장래에 대한 전망은 '현재와 같을것' 은 26.3%, '현재보다 향상' 58.3%, '현재와 같을것' 26.3%, '현재보다 못함' 이 15.4%로 다소 낙관적인 장래관을 보여주고 있는데, 낙곽적인 이유로는 자녀의 성공 (42.2%)에 크게 기대하고 있고 비관적인 이유로는 물가와 경제 불안 (32.6%)을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다.
결 론
역사의 어두움과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급격한 변동 그리고 한국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 등에 의한 빈민문제는 이제 더 이상 개인의 책임만으로 돌려졌어는 안 되겠다. 사회적 책임으로 그리고 도시빈민에 대한 대책의 요구는 도시빈민의 당연한 권리이며 국가의 책임이라고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고용확대와 수익증대 및 물가 안정으로 이들의 소득을 보장하여야 한다. 그리고 값싼 서민용 주택과 임대 아파트의 공급을 공공의 주도하에 대량 공급하는 것과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한 재정을 부동산을 통해 발생되는 불로 소득과 개발이익을 환수하고 주택 보험제도를 실시 확보하는 것이다. 그래서 주택이 재산증식과 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올바른 주거 공간으로 자리 매김해 가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빈민들이 인간이 누려야 할 보편적인 생활 수준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목 차
서론
Ⅰ. 도시빈민의 개념.
Ⅱ. 빈민은 어떤 사람인가 ?
본론
Ⅰ. 도시빈민은 계급인가 ?
1. 도시 빈민의 계급적 성격.
2. 도시빈민을 소자산계급으로 보는 견해.
3. 도시빈민은 노동자계급인가 ?
Ⅱ. 도시빈민의 현실.
1. 주택 및 주거 상태.
2. 재개발 정책.
3. 건강 및 복지 상태.
4. 경계 생활 실태.
5. 사회적 의식 및 태도.
결론
♠ 참고 문헌 ♠
도시빈민 연구 <아침> 정 동의
제 3세계의 도시와 빈곤 <한길사> 편집국
한국 사회 성격과 도시빈민 운동 <아침> 김 영석
부산 지역현실과 민중생활 <들생 신서> 지역사회문제 자료 연구실
월간 흐름 89년 6월호 - 도시빈민 운동
한겨례 21 94년 6월 16일 - 인간답게 살고 싶다.
소설 철거 <철거> 김 단
나. 생활비
가구당 월 생계비 부족액은 '부족하지 않다'가 51.6%, '5만원 정도' 가 14.4%, '10원 - 15만원 정도' 가 21.4%, '20만원 이상' 이 12.6%로 생활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가 48.4%이며 낮은 소득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생활비가 부족하지 않다는 가구의 경우에는 극도의 절제된 내핍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다. 저축 및 부채
가구당 저축액은 '저축없음' 이 61.8%, '10만원 이상' 이 24.7%로서 대다수에 있어 저축의 여유가 없음은 당연하나 38.1%가 적은 액수나마 저축을 하고 있는 것은 빈곤으로 부터의 탈출을 위한 몸 부림으로 보인다.
가구당 부채액은 '부채없음' 57.3%, '150만원 미만' 7.4%, '50만원 - 100만원 미만' 6.8%, '100만원 이상' 이 28.4%로서 부채가 없는 가구가 1/2를 넘지만, 이것은 생활에 여유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답보 또는 상환능력의 문제로 돈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5. 사회적 의식 및 태도
도시 빈민의 계층 귀속 의식은 스스로를 '빈곤층에 귀속시키는 경우' 83.%, '중산층 이상' 17%이며, 빈곤의 책임은 '자기자신'이 40%, '개인과 사회에 반반' 은 43.9%, '사회' 는 15.9%로 대답했다.
장래에 대한 전망은 '현재와 같을것' 은 26.3%, '현재보다 향상' 58.3%, '현재와 같을것' 26.3%, '현재보다 못함' 이 15.4%로 다소 낙관적인 장래관을 보여주고 있는데, 낙곽적인 이유로는 자녀의 성공 (42.2%)에 크게 기대하고 있고 비관적인 이유로는 물가와 경제 불안 (32.6%)을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다.
결 론
역사의 어두움과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급격한 변동 그리고 한국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 등에 의한 빈민문제는 이제 더 이상 개인의 책임만으로 돌려졌어는 안 되겠다. 사회적 책임으로 그리고 도시빈민에 대한 대책의 요구는 도시빈민의 당연한 권리이며 국가의 책임이라고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고용확대와 수익증대 및 물가 안정으로 이들의 소득을 보장하여야 한다. 그리고 값싼 서민용 주택과 임대 아파트의 공급을 공공의 주도하에 대량 공급하는 것과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한 재정을 부동산을 통해 발생되는 불로 소득과 개발이익을 환수하고 주택 보험제도를 실시 확보하는 것이다. 그래서 주택이 재산증식과 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올바른 주거 공간으로 자리 매김해 가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빈민들이 인간이 누려야 할 보편적인 생활 수준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목 차
서론
Ⅰ. 도시빈민의 개념.
Ⅱ. 빈민은 어떤 사람인가 ?
본론
Ⅰ. 도시빈민은 계급인가 ?
1. 도시 빈민의 계급적 성격.
2. 도시빈민을 소자산계급으로 보는 견해.
3. 도시빈민은 노동자계급인가 ?
Ⅱ. 도시빈민의 현실.
1. 주택 및 주거 상태.
2. 재개발 정책.
3. 건강 및 복지 상태.
4. 경계 생활 실태.
5. 사회적 의식 및 태도.
결론
♠ 참고 문헌 ♠
도시빈민 연구 <아침> 정 동의
제 3세계의 도시와 빈곤 <한길사> 편집국
한국 사회 성격과 도시빈민 운동 <아침> 김 영석
부산 지역현실과 민중생활 <들생 신서> 지역사회문제 자료 연구실
월간 흐름 89년 6월호 - 도시빈민 운동
한겨례 21 94년 6월 16일 - 인간답게 살고 싶다.
소설 철거 <철거> 김 단
키워드
추천자료
도시 속 과학이야기 - 도시의 과학자들을 읽고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열쇠 찾기의 노력 - 작은 실험들이 도시를 바꾼다
환경공생형(생태도시)도시의 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도시문제의 실태와 문제점 및 도시문제 해결방안 (농촌문제 FTA포함)
[세계의도시와건축]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 서평
주요 세계일류 명품도시 사례 및 인천의 명품도시 건설계획 사례조사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문화][주요도시][교육][스포츠][사회][문화][대외관계]아르헨티나의...
현대 도시의 팽창과 거대도시출현
신도시사회학의 등장배경과 신베버주의 이론으로서 도시관리주의
[도시사회학] 신도시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2,신도시,파리권,신도시개발,신도시개발특징,신도시비교,외국신도시,신도시사례,파리신도시,...
도시공간을 통해 바라본 고향의 의미 -도시공간과 고향-
역사문화 도시재생 성공사례(서울북촌 한옥마을, 도시재생사업, 지역관광지산업)
인간과 사회 B형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이나 도시, 혹은 내가 살아 본 적이 있는 마을이나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