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 리 말……… p1 ~ p1
Ⅱ. 본 론………p1 ~p10
1. 가 좌 골 ……… p1 ~ p2
2. 불길 속 어머니 구하려다 타죽은 효자 ……… p2 ~ p3
3. 보은덕보 ……… p3 ~ p4
4. 거북 바위 ……… p4 ~ p5
5. 불여우와 할머니 ……… p5 ~ p6
6. 눈치 삼 년 뛰엄 삼 년 ……… p6 ~ p7
7. 정신없는 도깨비 ……… p7 ~ p8
8. 며느릿감 고르기 ……… p8 ~ p9
9. 충주 어씨 시조 신화 ……… p9
10. 백제의 온조와 비류신화 ……… p10
Ⅲ. 맺 음 말 ……… p11
Ⅱ. 본 론………p1 ~p10
1. 가 좌 골 ……… p1 ~ p2
2. 불길 속 어머니 구하려다 타죽은 효자 ……… p2 ~ p3
3. 보은덕보 ……… p3 ~ p4
4. 거북 바위 ……… p4 ~ p5
5. 불여우와 할머니 ……… p5 ~ p6
6. 눈치 삼 년 뛰엄 삼 년 ……… p6 ~ p7
7. 정신없는 도깨비 ……… p7 ~ p8
8. 며느릿감 고르기 ……… p8 ~ p9
9. 충주 어씨 시조 신화 ……… p9
10. 백제의 온조와 비류신화 ……… p10
Ⅲ. 맺 음 말 ……… p11
본문내용
집단에게는 신화 로 인정되지 않는다. 또 위 이야기는 충주 어씨(魚氏)를 하나로 결집시키는 기능을 담당하 기도 한다. 또 위 신화의 증거물은 한 여인 그 자체로 볼 수 있을 정도로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화의 주인공이 보통사람보다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는 측면에서 위 성씨 시조 신화는 신화로서의 특성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절대적인 조건은 아니므로 신경 쓸 것은 아니다. 물론 씨족마다 그 성씨 시조 신화의 내용에 차이 가 있을 수 있겠지만,이 충주 어씨(魚氏)의 시조 신화를 통해서 우리는 어떠한 과정을 거 쳐서 우리가 가진 일반적인 성씨가 탄생하게 되었는가를 어림짐작할 수 있고 이것에 의 미를 부여할 수 있다.
(3) 감상 및 비평
나는 평소에 신화라고 하면 국가의 창건 신화나 민족의 기원 신화에 대해서만 생각해 왔었다. 하지만 위의 충주 어씨(魚氏)의 성씨 시조 신화를 접하면서 이러한 성씨의 기원 에 관한 이야기도 신화로 취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고, 또 앞으로 다른 성씨, 특히 나의 성씨와 관련된 신화를 찾아서 읽어보고 싶다는 충동을 강하게 받았다. 아무튼 성씨 시조 신화도 신화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과 그 기원설에 대해서 대충이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10. 백제의 온조와 비류신화
(1) 내용 요약
백제의 시조는 온조다. 그의 아버지는 추모왕, 또는 주몽이라고도 한다. 주몽은 북부여에 서 화난을 피해 도망해 나와 졸본부여에 이르렀다. 그 졸본주의 왕에겐 왕자는 없고 다만 딸 셋만 있었다. 졸본주의 왕은 주몽을 보고 범상한 사람이 아님을 알고서 그의 둘째딸을 시집보내어 그를 사위로 맞았다. 그 뒤, 오래지 않아 졸본주의 왕은 죽고 주몽이 그 자리 를 계승했다. 주몽은 그 졸본주 왕녀와의 사이에 두 아들을 낳았다. 맏아들이 비류요, 둘 째 아들이 온조다. 이들 비류와 온조는 나중에 태자에게 용납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마 침내 오간과 마려등 열 사람의 부하들과 함께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들을 따르는 백성들 이 많았다. 비류와 온조 일행은 드디어 한산에 이르렀다. 그들은 부아악에 올라가 근거지 가 될만한 땅이 있는가 바라보았다. 비류는 따라온 백성들을 아우 온조와 나누어 미추홀 (지금의 인천)로 가서 자리 잡았다.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서 그 열 사람의 신하들을 그의 보익으로 하여 국호를 <십제>라 했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짠 때문으로 하여 안거할 수가 없어 되돌아왔다. 돌아와, 위례에 도읍이 바야흐로 자리 잡 히고 인민들이 편안히 살고 있는 것을 보고 그는 마침내 부끄러움과 후회로 하여 죽고 말 았다. 그의 신하와 백성들은 모두 위례성으로 돌아왔다. 돌아올 때 백성들이 즐거워했다고 해서 그 뒤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 백제의 세계는 고구려와 함께 다같이 부여에서 나 왔으므로 <씨(氏)>를 <해(解)>라고 했다. 뒤에 성왕 연대에 이르러 도읍을 사자에 옮기 니 지금의 부여군이다.
(2) 특징 및 의미
위 이야기 역시 설화 중 신화, 그리고 신화 중에서도 국가(백제) 창건 신화에 속한다. 위 신화에서의 증거물은 국가(백제) 그 자체로서 매우 포괄적이며, 주인공인 온조는 하남 위 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백성들을 다스리게 된다. 또한 이 신화는 민족적인 범위에서 전승 되고 있다. 이 국가(백제) 창건 신화를 통해서 우리는 백제가 최초로 건국된 과정을 엿볼 수 있고 그것은 우리 민족의 뿌리가 어떻게 갈라져 나왔는가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 감상 및 비평
백제(百濟)의 건국 신화는 어려서부터 노래로도 접했던 내용이기 때문에 이해하고 받아 들이는데 별다른 거리낌이 없었다. 아주 오래전부터 익히 들어왔기 때문에 신화로서의 신 성성은 둘째 치고 당연히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이 먼저 들었다. 그러나 백제(百 濟)의 건국 신화는 신화 치고는 그 영웅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단지 온조 가 위례성에 도읍하여 나라를 세웠다는 것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백제의 건국 신화에 대해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이야기가 각각 다르다는 점도 백제의 신화가 존재했는가에 대한 의문도 들게 한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중국 측 문헌에 등장하는 동명신 화를 많이 거론하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백제에서는 온조가 왕위에 오른 지 1년 만에 ‘동 명’을 모시는 국가적인 제사를 거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로 보아 백제(百濟)에서는 일찍부 터 동명을 나라의 시조신으로 모시며 정기적으로 임금이 직접 이 ‘동명신’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 밖에 학자들에 따라서 그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아무튼 간에 백제의 시조 신화를 통해서 우리 민족의 뿌리를 다시 한 번 생 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Ⅲ. 맺 음 말
이상에서 우리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신화, 전설 그리고 민담의 주요 내용과 특징,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서 충청도 지역의 설화의 특색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서두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렇게 자신의 고장의 이야기를 직접 찾고 접해본다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자신의 고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할 수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비록 살펴본 설화의 수는 그리 많지 않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우리 고장에도 다양한 종류의 설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다른 지역의 이야기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또한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의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우리 고장의 설화에 더욱 관심을 갖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와 세계의 설화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아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 참 고 문 헌 ●
서정오,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옛이야기 백가지>, 현암사, 1997
이지영, <한국의 신화 이야기>, 사군자, 2003
신동훈, <세계 민담 전집>, 황금가지, 2003
장원철, <한국 신화를 찾아서>, 한솜미디어, 2002
(3) 감상 및 비평
나는 평소에 신화라고 하면 국가의 창건 신화나 민족의 기원 신화에 대해서만 생각해 왔었다. 하지만 위의 충주 어씨(魚氏)의 성씨 시조 신화를 접하면서 이러한 성씨의 기원 에 관한 이야기도 신화로 취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고, 또 앞으로 다른 성씨, 특히 나의 성씨와 관련된 신화를 찾아서 읽어보고 싶다는 충동을 강하게 받았다. 아무튼 성씨 시조 신화도 신화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과 그 기원설에 대해서 대충이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10. 백제의 온조와 비류신화
(1) 내용 요약
백제의 시조는 온조다. 그의 아버지는 추모왕, 또는 주몽이라고도 한다. 주몽은 북부여에 서 화난을 피해 도망해 나와 졸본부여에 이르렀다. 그 졸본주의 왕에겐 왕자는 없고 다만 딸 셋만 있었다. 졸본주의 왕은 주몽을 보고 범상한 사람이 아님을 알고서 그의 둘째딸을 시집보내어 그를 사위로 맞았다. 그 뒤, 오래지 않아 졸본주의 왕은 죽고 주몽이 그 자리 를 계승했다. 주몽은 그 졸본주 왕녀와의 사이에 두 아들을 낳았다. 맏아들이 비류요, 둘 째 아들이 온조다. 이들 비류와 온조는 나중에 태자에게 용납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마 침내 오간과 마려등 열 사람의 부하들과 함께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들을 따르는 백성들 이 많았다. 비류와 온조 일행은 드디어 한산에 이르렀다. 그들은 부아악에 올라가 근거지 가 될만한 땅이 있는가 바라보았다. 비류는 따라온 백성들을 아우 온조와 나누어 미추홀 (지금의 인천)로 가서 자리 잡았다.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서 그 열 사람의 신하들을 그의 보익으로 하여 국호를 <십제>라 했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짠 때문으로 하여 안거할 수가 없어 되돌아왔다. 돌아와, 위례에 도읍이 바야흐로 자리 잡 히고 인민들이 편안히 살고 있는 것을 보고 그는 마침내 부끄러움과 후회로 하여 죽고 말 았다. 그의 신하와 백성들은 모두 위례성으로 돌아왔다. 돌아올 때 백성들이 즐거워했다고 해서 그 뒤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 백제의 세계는 고구려와 함께 다같이 부여에서 나 왔으므로 <씨(氏)>를 <해(解)>라고 했다. 뒤에 성왕 연대에 이르러 도읍을 사자에 옮기 니 지금의 부여군이다.
(2) 특징 및 의미
위 이야기 역시 설화 중 신화, 그리고 신화 중에서도 국가(백제) 창건 신화에 속한다. 위 신화에서의 증거물은 국가(백제) 그 자체로서 매우 포괄적이며, 주인공인 온조는 하남 위 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백성들을 다스리게 된다. 또한 이 신화는 민족적인 범위에서 전승 되고 있다. 이 국가(백제) 창건 신화를 통해서 우리는 백제가 최초로 건국된 과정을 엿볼 수 있고 그것은 우리 민족의 뿌리가 어떻게 갈라져 나왔는가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 감상 및 비평
백제(百濟)의 건국 신화는 어려서부터 노래로도 접했던 내용이기 때문에 이해하고 받아 들이는데 별다른 거리낌이 없었다. 아주 오래전부터 익히 들어왔기 때문에 신화로서의 신 성성은 둘째 치고 당연히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이 먼저 들었다. 그러나 백제(百 濟)의 건국 신화는 신화 치고는 그 영웅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단지 온조 가 위례성에 도읍하여 나라를 세웠다는 것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백제의 건국 신화에 대해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이야기가 각각 다르다는 점도 백제의 신화가 존재했는가에 대한 의문도 들게 한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중국 측 문헌에 등장하는 동명신 화를 많이 거론하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백제에서는 온조가 왕위에 오른 지 1년 만에 ‘동 명’을 모시는 국가적인 제사를 거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로 보아 백제(百濟)에서는 일찍부 터 동명을 나라의 시조신으로 모시며 정기적으로 임금이 직접 이 ‘동명신’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 밖에 학자들에 따라서 그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아무튼 간에 백제의 시조 신화를 통해서 우리 민족의 뿌리를 다시 한 번 생 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Ⅲ. 맺 음 말
이상에서 우리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신화, 전설 그리고 민담의 주요 내용과 특징,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서 충청도 지역의 설화의 특색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서두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렇게 자신의 고장의 이야기를 직접 찾고 접해본다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자신의 고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할 수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비록 살펴본 설화의 수는 그리 많지 않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우리 고장에도 다양한 종류의 설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다른 지역의 이야기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또한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의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우리 고장의 설화에 더욱 관심을 갖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와 세계의 설화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아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 참 고 문 헌 ●
서정오,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옛이야기 백가지>, 현암사, 1997
이지영, <한국의 신화 이야기>, 사군자, 2003
신동훈, <세계 민담 전집>, 황금가지, 2003
장원철, <한국 신화를 찾아서>, 한솜미디어, 2002
추천자료
-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의 전통
- 한국문학의 갈래 구분
- 한국문학의 이해, 설화와 신화 연구
- 한국문학의 이해, 전설과 민담 연구
- 한국문학의 이해, 한문학 연구
-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 비교
- [한국문학][민족문학][민중문학][분단문학][문학]한국문학의 특성, 한국문학의 세계화, 한국...
- [한국문학][해학][근대문학][리얼리즘문학][해외출판 사례]한국문학의 역사, 한국문학의 성격...
- 한국문학의 상상력, 한국문학의 보편화, 한국문학의 권력관, 한국문학 전개, 한국문학과 프로...
-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