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애의 시대
연애의 시대를 읽고
연애의 시대 감상문
연애의 시대를 읽고
연애의 시대 감상문
본문내용
로 팔려 나갔다. 연애의 주역은 말할 것도 없이 신남성과 신여성 이었다.
그러나 이들만이 연애를 향유했을까? 그랬다면, 연애는 1920년대의 유행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연애병’, ‘연애열’ 이라 불릴 정도의 유행이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신교육층의 영향 때문만은 아니었다. 형성 초기에 연애의 주역은 여학생이 아니라 기생이었던 터이고, 1920년대 내내 신문을 장식했던 ‘미인의 자살’ 류의 기사 주인공은 상당수가 신교육과 무관한 이들이었다. 그 시대에 일어난 정사나 음독자살의 주인공 대부분이 기생 등이었다.
신교육을 받은 이들이 늘어나면서 역설적으로 ‘선택된 소수’ 의 의미가 더욱 좁아지자, ‘평균인으로서의 대중’ 은 더욱 확대 되었다. 신교육을 받은 \'독서대중\'의 수가 늘어나면서 쏟아진 \'연애문학\'들은 이 흐름에 기름을 부었다. 당대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지금은 거의 잊혀진 노자영의 연애서간집 <사랑의 불꽃>(한성도서주식회사)이었다.
<사랑의 불꽃>의 인기가 출판 기획의 산물이었다는 사실 또한 주목할 만 하다. 후일 노자영이 한성도서주식회사 편집인 김진헌의 권고로 연애서간집을 낸 일이 있다고 회상하면서 “돈에 주린 나는 그때 나빈, 소오 등 여러 친구에게서 연애서간 일편씩 모아가지고 또는 나도 서너편 써서 비로소 ‘연애서간집’을 발행하였던 것이다.” 표지에 ‘春城 저’ 라고 명기되어 있는 노자영의 장편 소설 반항 또한 판권지에는 작자가 ‘오은서’로 되어 있다는 사실 또한 방증이 된다.
라고 쓰고 있다.
한편으로 우편제도의 발달은 연애편지를 등장케 했다. 현실에서 좁힐 수 없었던 남녀간 몇 발자국의 거리는 편지에서 사라져 버렸다. ‘봉투와 함께 봉해 넣은 듯한 향수 냄새’, ‘분홍빛 양봉투’ 혹은 ‘옥색 종이에 빨간 빛으로 스미레 제비꽃
를 수놓은 편지’ 등에서 보이듯 편지는 메시지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연애의 물질이기도 했다.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 1920년대 초반의 문화와 유행, 현실문화연구, 2003, p. 137
그렇다면 이러한 연애편지가 등장하게 된 사회적 조건은 무엇일까? 근대 이전, 젊은 남녀의 인연이 시작되는 발단은 대개 소리로 인한 매혹이었다. 남녀 사이의 자유로운 접촉이 어려웠기때문일까? 혹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변화가 청각에서 시각으로의 이동과 겹치기 때문일까? 근대 이후 청각 중심의 인상은 시각 중심으로 바뀌어 나가 홍도화나 해안 안의성 능라도 등이 일찍이 보여주었듯, 이제
그러나 이들만이 연애를 향유했을까? 그랬다면, 연애는 1920년대의 유행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연애병’, ‘연애열’ 이라 불릴 정도의 유행이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신교육층의 영향 때문만은 아니었다. 형성 초기에 연애의 주역은 여학생이 아니라 기생이었던 터이고, 1920년대 내내 신문을 장식했던 ‘미인의 자살’ 류의 기사 주인공은 상당수가 신교육과 무관한 이들이었다. 그 시대에 일어난 정사나 음독자살의 주인공 대부분이 기생 등이었다.
신교육을 받은 이들이 늘어나면서 역설적으로 ‘선택된 소수’ 의 의미가 더욱 좁아지자, ‘평균인으로서의 대중’ 은 더욱 확대 되었다. 신교육을 받은 \'독서대중\'의 수가 늘어나면서 쏟아진 \'연애문학\'들은 이 흐름에 기름을 부었다. 당대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지금은 거의 잊혀진 노자영의 연애서간집 <사랑의 불꽃>(한성도서주식회사)이었다.
<사랑의 불꽃>의 인기가 출판 기획의 산물이었다는 사실 또한 주목할 만 하다. 후일 노자영이 한성도서주식회사 편집인 김진헌의 권고로 연애서간집을 낸 일이 있다고 회상하면서 “돈에 주린 나는 그때 나빈, 소오 등 여러 친구에게서 연애서간 일편씩 모아가지고 또는 나도 서너편 써서 비로소 ‘연애서간집’을 발행하였던 것이다.” 표지에 ‘春城 저’ 라고 명기되어 있는 노자영의 장편 소설 반항 또한 판권지에는 작자가 ‘오은서’로 되어 있다는 사실 또한 방증이 된다.
라고 쓰고 있다.
한편으로 우편제도의 발달은 연애편지를 등장케 했다. 현실에서 좁힐 수 없었던 남녀간 몇 발자국의 거리는 편지에서 사라져 버렸다. ‘봉투와 함께 봉해 넣은 듯한 향수 냄새’, ‘분홍빛 양봉투’ 혹은 ‘옥색 종이에 빨간 빛으로 스미레 제비꽃
를 수놓은 편지’ 등에서 보이듯 편지는 메시지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연애의 물질이기도 했다.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 1920년대 초반의 문화와 유행, 현실문화연구, 2003, p. 137
그렇다면 이러한 연애편지가 등장하게 된 사회적 조건은 무엇일까? 근대 이전, 젊은 남녀의 인연이 시작되는 발단은 대개 소리로 인한 매혹이었다. 남녀 사이의 자유로운 접촉이 어려웠기때문일까? 혹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변화가 청각에서 시각으로의 이동과 겹치기 때문일까? 근대 이후 청각 중심의 인상은 시각 중심으로 바뀌어 나가 홍도화나 해안 안의성 능라도 등이 일찍이 보여주었듯, 이제
키워드
추천자료
상도 또는 잃어버린 왕국을 읽고 전통 시대 생활상 찾기
디지털시대의 문화변동을 읽고나서
은희경의 '서정시대' 를 읽고
내 시대의 초상을 읽고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의 특징에 관하여 세 작품을 읽고 작품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구체적으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를 읽고 - 어두운 시대 한 젊은 지성인의 고뇌와 기독교적 승화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권 읽고
[독후감]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상실의 시대(ノルウェイの森)>를 읽고
제레미 레프킨의 바이오테크시대를 읽고
신영란, 신영우의 제왕들의 책사 고려시대편을 읽고
[독서보고서] ‘완득이’를 읽고 (경쟁에 지치고 외로운 우리 시대 젊은이들에게 권해주고 싶은...
[독서보고서] ‘지식 e 5’를 읽고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지식)
세종대왕 강의 훈민정음 세종실록 조선시대에 독후감 읽고 내용정리하시오
[독후감]직업의 종말(불확실성의 시대, 일의 미래를 준비하라)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