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재활의 개념
2. 의료재활의 철학
3. 의료재활을 위한 병원 시스템의 이해
․재활의학(rehabilitation medicine)이란?
․ 재활의학의 특성
․ 성공적 재활의 구비 조건
․재활치료 처방시 유의 사항
․재활치료의 기본 테두리
※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 문제점.
2. 의료재활의 철학
3. 의료재활을 위한 병원 시스템의 이해
․재활의학(rehabilitation medicine)이란?
․ 재활의학의 특성
․ 성공적 재활의 구비 조건
․재활치료 처방시 유의 사항
․재활치료의 기본 테두리
※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 문제점.
본문내용
재활은 치료, 훈련 등과 같이 단순한 기술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을 한 사람의 사회인으로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총체적인 서비스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재활의 일차적 목표
장애인의 최적의 기능수준을 되は아 최상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첫쩨, 장애의 예방. 둘쩨, 기능향상. 셋쩨, 사회적 통합.
재활의학(rehabilitation medicine)이란?
환자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으로 사회에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하게 하기 위해서 최대한 기능을 회복시켜 생활 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의학.
※ 바탕사상 →“구조된 생명을 살 가치가 있는 생명으로 만들어 준다“
치료에는 화학적 요법(chemical therapy), 물리적 요법(physical therapy), 심리적 요법(psychological therapy), 수술적 요법(surgical therapy)등 4가지 범주로 구분.→재활의학에서는 물리적인 치료방법을 특히 많이 이용하는 분야라 해서 물리의학을 강조.
※physiatry→물리의학 및 재활을 한 단어로 표시, ※재활의학 전문의(physiatrist)
재활의학의 특성
1) 기능위주(function oriented); 치료적 접근뿐만아니라, 질병에 의하여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데에 치료와 관리의 초점을 맞춘다는 의미.
2) 포괄적(comprehensive); 육체적, 심리적, 정서적, 직업적, 정신적 측면, 의사소통, 자기관리, 그리고 가정적, 사회적 측면까지도 치료와 관리에 포함.
3) 팀 접근법(team approach); 재활을 위한 다양한 세부분야의 전문요원 필요.
성공적 재활의 구비 조건
1) 잠재력(potential)
2) 참여의지(motivation)→ 참여적(participatory), 훈련(discipline or practice)→기능회복가능
3) 사회와 가족의 지지(family and social support)
4) 잘 짜여진 재활치료 팀(good rehabilitation team)
재활치료 처방시 유의 사항
1) 점차적이다(progressive)
2) 참여적(participatory) →교육과 훈련(traning); 자발적이고 긍정적 참여.
3) 예방적이다(preventive)→1차적 예방(primary), 2차적 예방(secondary prevention)
4) 개별적이다(personalized)→연령, 병변 부위와 정도에 따라, 발병시기, 직업에 따라 접근.
재활치료의 기본 테두리
1) 일반 상태의 관리(management of general condition)→ 전신 상태의 악화
2) 구체적 결손의 관리(specific physical defict)→ 결손된 기능 ; 기능위주의 관리
해부학적 진단(anatomical diagnosis); 뇌의 어느 부위가 손상되었나?,
병리학적진단(pathological); 출혈(hermorrhage), 경색(thrombosis), 혈전(embolism)
기능적 진단(functional); 편마비(hemiplegia), 하반신마비(paraplegia), 완전, 불완전 손상 등.
※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 문제점.
마비증상(paralysis)
근력약화(muscle weakness)
사지절단(amputation of limbs)
통증(pain)
관절구축(contractures)
언어장애(speech disorder)
시야결손(visual filed deficit)
청력상실(hearing loss)
실금증(incontinence)
신경인성 방광(neurogenic bladder)
심리적 장해(psychological disturbance)
경직(apasticity)
고축(rigidity)
운동실조증(ataxia)
지각결손(perceptual deficit)
3)합병증의 예방과 관리(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욕창(decubitus ulcers), 경련발작(seizure), 이소성 골화증(heterotopic ossification),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 말초신경 손상(peripheral nerve injury),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반사성 교감신경 디스트로피(reflex sympathetic dystrophy),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재활의 일차적 목표
장애인의 최적의 기능수준을 되は아 최상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첫쩨, 장애의 예방. 둘쩨, 기능향상. 셋쩨, 사회적 통합.
재활의학(rehabilitation medicine)이란?
환자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으로 사회에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하게 하기 위해서 최대한 기능을 회복시켜 생활 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의학.
※ 바탕사상 →“구조된 생명을 살 가치가 있는 생명으로 만들어 준다“
치료에는 화학적 요법(chemical therapy), 물리적 요법(physical therapy), 심리적 요법(psychological therapy), 수술적 요법(surgical therapy)등 4가지 범주로 구분.→재활의학에서는 물리적인 치료방법을 특히 많이 이용하는 분야라 해서 물리의학을 강조.
※physiatry→물리의학 및 재활을 한 단어로 표시, ※재활의학 전문의(physiatrist)
재활의학의 특성
1) 기능위주(function oriented); 치료적 접근뿐만아니라, 질병에 의하여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데에 치료와 관리의 초점을 맞춘다는 의미.
2) 포괄적(comprehensive); 육체적, 심리적, 정서적, 직업적, 정신적 측면, 의사소통, 자기관리, 그리고 가정적, 사회적 측면까지도 치료와 관리에 포함.
3) 팀 접근법(team approach); 재활을 위한 다양한 세부분야의 전문요원 필요.
성공적 재활의 구비 조건
1) 잠재력(potential)
2) 참여의지(motivation)→ 참여적(participatory), 훈련(discipline or practice)→기능회복가능
3) 사회와 가족의 지지(family and social support)
4) 잘 짜여진 재활치료 팀(good rehabilitation team)
재활치료 처방시 유의 사항
1) 점차적이다(progressive)
2) 참여적(participatory) →교육과 훈련(traning); 자발적이고 긍정적 참여.
3) 예방적이다(preventive)→1차적 예방(primary), 2차적 예방(secondary prevention)
4) 개별적이다(personalized)→연령, 병변 부위와 정도에 따라, 발병시기, 직업에 따라 접근.
재활치료의 기본 테두리
1) 일반 상태의 관리(management of general condition)→ 전신 상태의 악화
2) 구체적 결손의 관리(specific physical defict)→ 결손된 기능 ; 기능위주의 관리
해부학적 진단(anatomical diagnosis); 뇌의 어느 부위가 손상되었나?,
병리학적진단(pathological); 출혈(hermorrhage), 경색(thrombosis), 혈전(embolism)
기능적 진단(functional); 편마비(hemiplegia), 하반신마비(paraplegia), 완전, 불완전 손상 등.
※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 문제점.
마비증상(paralysis)
근력약화(muscle weakness)
사지절단(amputation of limbs)
통증(pain)
관절구축(contractures)
언어장애(speech disorder)
시야결손(visual filed deficit)
청력상실(hearing loss)
실금증(incontinence)
신경인성 방광(neurogenic bladder)
심리적 장해(psychological disturbance)
경직(apasticity)
고축(rigidity)
운동실조증(ataxia)
지각결손(perceptual deficit)
3)합병증의 예방과 관리(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욕창(decubitus ulcers), 경련발작(seizure), 이소성 골화증(heterotopic ossification),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 말초신경 손상(peripheral nerve injury),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반사성 교감신경 디스트로피(reflex sympathetic dystrophy),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 재활에서 각 재활 분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문제점 및 장애인 직업재활 개선방안
[정신장애인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직업재활서비스][장애인고용촉진]정신장애인직업재활(직...
[청각장애][청각장애인 직업재활]청각장애의 정의, 분류, 유형, 진단, 청각장애의 판별, 현황...
[대체의학][노인의학][재활의학][사상의학][의학][대체][노인][재활][사상]대체의학, 노인의...
[지체장애인][자립생활][사회심리재활서비스][고용차별]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체장애인의...
[사회심리재활] 사회심리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실천이론과 모델 및 주요 기술과 사회심리재활...
재활패러다임과 자립생활패러다임을 비교하고 현재 우리나라는 어느 수준에 있는지 논하시오(...
[장애인복지론] 총체적 재활은 무엇이며 어떤 문제와 재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지 제시...
재활간호학 뇌졸중 재활 리포트
[장애인복지] 장애인재활공학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장애인재활공학이 만들어 낸 장애인재활보...
장애인재활상담사 시험대비 과목별 정리(직업재활개론)
[상급 성인 간호학 세미나] 재활 - Rehabilitation [재활 의미 재활 모델 재활 평가 결과 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