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의 개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실천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사회복지 실천의 개념

◈ 사회복지 실천의 자원체계

◈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 및 기능

◈ 사회복지 실천 영역

◈ 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

◈ 사회복지 실천의 기반

◈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이론 및 기술

◈ 사회복지 실천의 모델

◈사회복지 실천 기법과 지침

본문내용

너한테 어떻게 도움이 됐을까?
- 뭘 어떻게 하면 너한테 도움이 될까?
- 해답은 클라이언트 주변에 있다.
변화매기인 체계 - 상담선생님
클라이언트 체계 - 어머니. 할머니
행동체계 - 상담가, 미라.......
표적체계 - 미라, 어머니, 아버지, 기타 환경
문제 = 청소년기(사랑이 부족해서 그것이 폭력으로 표출
심리학 이론 = 많이 적용
정신분석학 이론 = 욕구 불만족
생태체계 이론 = 아버지가 없다. 오빠는 엄마와 같이 살고, 미라는 할머니와 같이 산다.
역할 이론 = 어머니 역할이 과중, 사랑이 딸에게 부족, 딸이 아버지를 닮아 싫어한다.
할머니, 어머니, 미라 = 각각 비상고성(서로 기대하는 대로 서로 오고가지 않는다)(역할의 인지적 불일치)
강점이론 = 칭찬(정의감이 많다. 인정이 많다. 친구가 많다.)
문제해결 중심적 이론을 많이 사용함
질 : 어떻게 좀 뭐가 좋아졌나요? (긍정적으로)
답 : 미라→잔소리가 줄었다.
예외적인 상황을 물어본다.
기적질문
질 : 변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됐으면 좋겠는가?
답 : 엄마, 아빠랑 같이 살았으면 좋겠다.
질 : 같이 살게 되면 뭐가 너한 테 좋지? (없는 것은 대체해줄수 있는 것을 찾는다.)
답 : 엄마라도 같이 살았으면 좋겠다. 할머니가 지애비 닮았다고 하는 것도 싫다.
질 : 어떻게 하면 미라한테 도움이 될수 있겠죠?
답 : 클라이언트 스스로 얘기하도록 , 본인이 예기하면 지키게 되있다.
∴ 문제의 근원을 어떻게 찾아내는가 ?
수용 : 할머니, 어머니, 미라, 문제가 있는지는 다 아는데 누구 예기도 다 수용하고 듣는다.
개별화 : 미라를 문제아로 보지 않는다.
의도적 감정표현 : 상대방이 많이 생각해서 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한다.
자기결정 : 스스로 클라이언트가 예기를 하도록 한다.
칭찬 후 → 메시지 전달 : 지금상태보다 조금더 개선 할 수 있는 것을 전달
10월 31일 시청각 교육
준호
기적질문, 척도질문
- 뭐가 변해야지?
- 아드님 한테 뭐가 어떻게 변했으면 좋겠어요.
- 만약에 ~ 한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 어머님 생각에는 다시 옛날처럼 아들이 돌아갔으면 뭐가 어떻게 달라지겠는가?
- 준호씨는 어머니와 뭐가 변해야 태도가 변할 것 같아요.
- 어머니가 어떻게 변해야 그 변화된 태도에 도움이 될까요?
- 어머니가 무슨 행동을 하셔야 준호한테 도움이 될까요?
기적질문
= 문제가 해결됐다면, 뭐가 달라져야 해결이 됐는지 어떻게 알까요?
뭐가 있어야 기적이 일어났는지 알까요?
그렇다면 어머님 태도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척도질문
=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게 10이라고 가정을 하고 전의 상황을 1이라고 한다면, 지금 나아진 정도를 수로 나타내면 몇 점이나 될까요?
뭐가 어떻게 변해야 3으로 올라가게 될까요?
※ 메시지 전달
칭찬 → 실패가 아니라, 성공의 결과를 즐기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설계해봐라.
관찰
행동 : 해결책 = 정신적인 공김이 필요, 서로 다르게 행동하는 가를 관찰
변화매개인 체계 : 상담가
클라이언트 체계 : 엄마
표적체계 : 준호, 엄마
행동체계 : 상담자
준호 → 방문형
엄마 → 불평형
생태체계 → 아버지가 없다.
준호가 대학에 들어갔다는 새로운 환경(준호가 다른 가정과 자신의 가정을 비교하게 되고 어머니는 이해를 못함)
역할이론 → 비상고성
인지적 불일치
역할거부
배당적 불일치
심리적 이론→ 정체감 형성
방황, 심리적 갈등
해결 기법
질 : 뭐가 변해야 되는가? 달라져야 되는가?
예외상황 : 예외를 찾아내는 질문을 한다.
기적질문 : 밤새 기적이 일어난다면?
척도질문 : 점수를 준다면 몇점?
관계론 : 준호 마음을 본다.
의도적 감정표현 :
자기결정:
메시지 전달 : 조금씩 변화
책 :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김유숙, 학지사
◈ 사회복지 실천의 모델
1. 심리사회 모델
1) 개요
클라이언트의 심리적인면, 사회환경적인 면
(1) 개인의 내적 문제
(2) 사회 환경적인 문제
(3) 개인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문제(적응력, 적합의 문제)
Richmond - Hankins - Hamilton - Hollis
2)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경험
Richmond의 영향, 자선조직협회
클라이언트 개인의 도덕적 결함, 의지부족, 나태만이 원인 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의 환경 : 사회적제도의 개선필요
ㄱ) 사회개량 : 한번 빈곤에 빠져들면 헤어 나오기 힘들다
ㄴ) 사회복지실천절차의 과학화
진단 치료
사정 개입
자료수집 - 사회연구 - 진단 - 계획 - 개입
ㄷ) 차별화 - 차별적으로 진단되고 차별적으로 개입되야 한다.
(2) 정신 분석 이론
무의식을 중요시함. 프로이드
리비도 - 성적에너지에 의해 자아가 많이 지배된다. 미해결된 욕구해결
(3) 자아심리학(에릭슨)
자아와 의식을 중요시함. 자아의 수행능력과 현실판단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
과거 < 현재
피동 < 능동
(4) 기타 사회과학
체계이론
인류학적 이론
사회학 이론
3) 사회복지 실천에 필요한 개념들
4) 실천절차
문제상황
(1) 자료수집 : 초기 면접 및 심리사회 상황 조사
ㄱ) 클라이언트와 관련 있다고 생각하는 내부문제
ㄴ) 클라이언트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2) 사정
자료를 분석해서 의미 있는 실천적 개입을 위한 추론을 도출해 내는 것.
(3) 계획 및 개입
개입목적 - 개입목표 (세부실행 목표의 구체화) - 개입수단 및 절차의 시행 선택
goal objectives
ㄱ) 관련체계들의 변화가능성
ㄴ) 클라이언트 및 주변체계들의 장단점
ㄷ) 가족체계들의 역동적 상호관련성
등등
(4) 종결
(5) 적용
2. 클라이언트 중심 모델 (인간중심 모델)
1) 개요
감정이입의 반영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감정이입적인 반응을 한다.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수용, 진정한 존중 등을 표시하면 클라이언트에게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1) 랭크의 이론
ㄱ) 개인의 동기와 의지 : 개인은 자기 생을 스스로 조절해 나가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ㄴ) 클라이언트가 자기이해를 돕는 치료자
ㄷ) 클라이언트와 치료자간의 독특하고 진솔한 관계
(2) 인본주의 이론( 메슬로우(자아실현), 로저스(훌륭한
  • 가격3,000
  • 페이지수65페이지
  • 등록일2005.02.01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