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각로의 종류 및 특성
1) 소각시설의 기능에 따른 분류
2) 연소방식에 따른 분류
1. 스토커 소각로
2. 화격자의 종류
3. 부유식 연소
4. Fiberclaim 시스템
5. 열분해 반응 시스템
6. 다단소각로
7. 유동층 소각로
8. 전기 소각로
9. 사이클론 소각로
10. WATERGRATE 소각로
11. 로터리 킬른
12. 수직로(비 소용돌이 식)
13. 볼텍스 로
14. 직접 불꽃 연소
15. 촉매소각로
16. 드럼 소각로
17.공기제어식 소각로
18.교반식 소각로
19. 전기용융 시스템
1) 소각시설의 기능에 따른 분류
2) 연소방식에 따른 분류
1. 스토커 소각로
2. 화격자의 종류
3. 부유식 연소
4. Fiberclaim 시스템
5. 열분해 반응 시스템
6. 다단소각로
7. 유동층 소각로
8. 전기 소각로
9. 사이클론 소각로
10. WATERGRATE 소각로
11. 로터리 킬른
12. 수직로(비 소용돌이 식)
13. 볼텍스 로
14. 직접 불꽃 연소
15. 촉매소각로
16. 드럼 소각로
17.공기제어식 소각로
18.교반식 소각로
19. 전기용융 시스템
본문내용
1 소각로의 종류 및 특성
1) 소각시설의 기능에 따른 분류
폐기물 소각시설은 기능에 따라 크게 연속식 소각로와 회분식 소각로로 구분되며 주요 설비의 기계화 정도에 따라 준연속식 소각로와 기계화 회분식 소각로로 세분된다.
(1) 연속식 소각로
투입설비에서부터 연소잔재 처리시설까지 기계화하여 완전자동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소각시설로서, 최소의 인원으로 24시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며 공해방지시설 등 각종 부대설비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연속식 소각로의 대표적인 예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연속식 소각로】
수집된 폐기물은 저장 핏트에 저장되며 크레인 등에 의해 투입 호퍼로 공급된다. 호퍼 내의 폐기물은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씩 소각로 내로 투입되며, 기계화된 연소장치에 의해 건조, 연소, 후연소 과정을 거치면서 완전연소되고, 연소잔재는 하부 연소 재저장 호퍼로 떨어진다. 이때 소각재의 비산이나 연소가스의 외부유출 그리고 외부공기의 소각로 내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재 저장 호퍼는 물로 채워져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 냉각, 수침된 연소재는 연소잔재 반출장치에 의해 소각재 저장 핏트로 반출되어 저장된 후, 소각재처리 크레인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최종처분장으로 운반된다.
(2) 준연속식 소각로
소각설비를 완전자동화하여 연속식으로 할 경우 설치비나,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간소화하여 수동운전을 하도록 하는 소각로로서, 일반적으로 1일 16시간 정도의 운전시간을 목표로 설치한다. 폐기물의 투입설비에서부터 연소잔재 처리시설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을 기계화하여 연속식에 가깝기 때문에 연소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부분적으로 기계화가 되지 않았거나 연소제어장치 등을 자동화하지 않고 수동으로 운전하도록 한 설비를 말한다.
【준연속식 소각로】
(3) 기계화 회분식 소각로
이 방식은 회분식 소각로와 같이 소각대상물의 투입은 수동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하면서 연소장치를 기계화하여 소각로 내에서 투입된 소각물의 교반 및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소잔재 반출장치도 기계화하여 회분식 소각로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한 설비이다.
【기계화 회분식 소각로】
(4) 회분식 소각로
회분식 소각로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는 설비로서 소각대상물의 투입을 수작업에 의해 간헐적으로 실시하며 연소장치는 고정된 화격자를 사용하고 소각대상물이 완전히 연소된 후 연소잔재를 수동으로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소각로는 연소작업 자체가 완전히 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1) 소각시설의 기능에 따른 분류
폐기물 소각시설은 기능에 따라 크게 연속식 소각로와 회분식 소각로로 구분되며 주요 설비의 기계화 정도에 따라 준연속식 소각로와 기계화 회분식 소각로로 세분된다.
(1) 연속식 소각로
투입설비에서부터 연소잔재 처리시설까지 기계화하여 완전자동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소각시설로서, 최소의 인원으로 24시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며 공해방지시설 등 각종 부대설비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연속식 소각로의 대표적인 예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연속식 소각로】
수집된 폐기물은 저장 핏트에 저장되며 크레인 등에 의해 투입 호퍼로 공급된다. 호퍼 내의 폐기물은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씩 소각로 내로 투입되며, 기계화된 연소장치에 의해 건조, 연소, 후연소 과정을 거치면서 완전연소되고, 연소잔재는 하부 연소 재저장 호퍼로 떨어진다. 이때 소각재의 비산이나 연소가스의 외부유출 그리고 외부공기의 소각로 내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재 저장 호퍼는 물로 채워져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 냉각, 수침된 연소재는 연소잔재 반출장치에 의해 소각재 저장 핏트로 반출되어 저장된 후, 소각재처리 크레인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최종처분장으로 운반된다.
(2) 준연속식 소각로
소각설비를 완전자동화하여 연속식으로 할 경우 설치비나,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간소화하여 수동운전을 하도록 하는 소각로로서, 일반적으로 1일 16시간 정도의 운전시간을 목표로 설치한다. 폐기물의 투입설비에서부터 연소잔재 처리시설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을 기계화하여 연속식에 가깝기 때문에 연소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부분적으로 기계화가 되지 않았거나 연소제어장치 등을 자동화하지 않고 수동으로 운전하도록 한 설비를 말한다.
【준연속식 소각로】
(3) 기계화 회분식 소각로
이 방식은 회분식 소각로와 같이 소각대상물의 투입은 수동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하면서 연소장치를 기계화하여 소각로 내에서 투입된 소각물의 교반 및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소잔재 반출장치도 기계화하여 회분식 소각로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한 설비이다.
【기계화 회분식 소각로】
(4) 회분식 소각로
회분식 소각로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는 설비로서 소각대상물의 투입을 수작업에 의해 간헐적으로 실시하며 연소장치는 고정된 화격자를 사용하고 소각대상물이 완전히 연소된 후 연소잔재를 수동으로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소각로는 연소작업 자체가 완전히 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추천자료
연료분사장치 설계
[화공]분쇄실험 보고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 및 처리현황과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 예방에 관한 연구(단체급식관리)
연료전지(Fuel Cell)와 열전대(Thermocouple)의 구조 및 작동원리
폐기물의 자원화 기술(재자원화, 물질회수, 열회수에 의한 자원화, 회수기술 등)
하수슬러지의 처리 및 재자원화
다이옥신의 발생과 제어
하이브리드로켓실험
[보일러][보일러 원리][보일러 장치][보일러 구조][보일러 연료][보일러 관련 제언]보일러의 ...
증류실험 결과
바이오매스- 메탄발효,바이오매스 에너지,바이오매스 열이용,바이오매스 플랜테이션
폴리우레탄 폼에 적용가능한 인계 난연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자재 용기
반응열의 측정과 Hess의 법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