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허공에의 질주>: 잠행자의 공간에 관한 에세이
1.잠행의 공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선
2.잠행자-기계
3.잠행자의 징표(기호)
4.잠행자의 가족
5.잠행의 시제
6.잠행의 공간
1.잠행의 공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선
2.잠행자-기계
3.잠행자의 징표(기호)
4.잠행자의 가족
5.잠행의 시제
6.잠행의 공간
본문내용
우리 옆에 있기를” 욕망하는 부인, 그리고 보호와 관심 없이는, 혹은 그것의 대칭적 짝인 인정욕망 없이는 자신의 길을 가지 못하는 아이. 이 셋은 바로 그 가족 삼각형이 반복하여 재생산해내는 근대적 인간의 형상이다. 가족들로 하여금 안정적인 삶을 살게 해줄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등등의 모든 책임이 그 권한과 더불어 가장의 ‘임무’가 되고, 남편을 선술집에서 가정으로 끌어들이는 것, 아이를 거리의 불량한 공간에서 가정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아내 내지 주부의 ‘임무’가 된다. 잘 보호받고 잘 자라주며,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여 열심히 공부하고 건강하고 도덕적인 삶을 살며, 그리하여 성공적인 삶의 요건들을 훌륭하게 성취하는 것, 그것이 또한 아이의 ‘임무’다.
그러나 잠행자의 가족은 처음부터 그런 조건에서 벗어난다. 경제적 내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지위나 직장은 거의 불가능하다. 가장이 경제를 책임지고, 주부는 가사를 책임지는 근대적 가족의 이분법은 처음부터 통하지 않는다. “자, 각자 무엇을 벌었는가 내놓아 보지.” 따라서 경제력의 장악에 기초한 가장의 권력은 없다. 탈주선을 이끄는 지도자로서의 권위와 권한이 있을 뿐이다.
또한 누구나 자기 스스로를 보호해야 하며, 또한 누구나 다른 가족원을 보호해야 한다. 아이들이 초병이 되고(시작할 때의 탈주), 어른들로 초병이 된다(끝날 때의 탈주). 잠행은 부모만의 긴장으론, 부모만의 변이로는 한 걸음도 떼 놓을 수 없다. 어른과 아이 사이의 대립과 구별의 선이 급속히 약화된다. 아이는 금방 어른이 되며, “누구보다 똑똑하고, 누구보다 어른스러워” 진다. 부모는 아이들을 사회적 욕망의 배치에 따라, 통념적 성공의 욕망에 따라 바라볼 수 없으며, 아이들 역시 인정욕망을 통해 만들어지는 자아의 동일성(identity)을 구성하지 않는다. 반대로 끊임없는 변이를 요구받으며, 끊임없이 다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
여자친구의 말을 통해 보여지는 음악선생의 가족, 소시민의 전형적인 가족과 주인공의 가족이 대비된다. 조개껍데기를 생일선물로 바치는 건 생각도 할 수 없고, 하인 없이는 살 수 없는 엄마, 아버지의 바램대로 피아니스트로 성공한 오빠, 학교에선 좋은 선생일 지 몰라도 가족에선 똑같이 자신의 욕망을 자식에게 투영하는 가장인 아빠. 이는 또 하나의 몰적인 선분성의 선을 구성하는 선분들이다. 학교에선 유연한 분자적 선을 그리던 음악선생도, 이 가족의 선에 이르면 경직된 선분이 될 뿐이다.
반면 주인공의 가족을 이런 식으로 만드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거기에는 이른바 ‘성공’도 없고, 성공을 바라는 욕망도 없으며, 그것을 받쳐줄 돈도 없기 때문이다. 대신 엄마와 아들 사이의 더없이 강한 이해와 우정이 있고, 고통을 함께 넘어서는 동지로서 남편과 아내 사이의 신뢰와 우정이 있으며, 비록 불만과 충돌이 있지만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깊은 이해와 우정이 있다.
이러한 양상이 잘 드러나는 것은 어머니의 생일파티에서다. 돈은 없지만 애정이 가득한 선물들, 자신들로 인해 뜻하지 않게 눈을 잃은 사람을 초대하는 케
그러나 잠행자의 가족은 처음부터 그런 조건에서 벗어난다. 경제적 내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지위나 직장은 거의 불가능하다. 가장이 경제를 책임지고, 주부는 가사를 책임지는 근대적 가족의 이분법은 처음부터 통하지 않는다. “자, 각자 무엇을 벌었는가 내놓아 보지.” 따라서 경제력의 장악에 기초한 가장의 권력은 없다. 탈주선을 이끄는 지도자로서의 권위와 권한이 있을 뿐이다.
또한 누구나 자기 스스로를 보호해야 하며, 또한 누구나 다른 가족원을 보호해야 한다. 아이들이 초병이 되고(시작할 때의 탈주), 어른들로 초병이 된다(끝날 때의 탈주). 잠행은 부모만의 긴장으론, 부모만의 변이로는 한 걸음도 떼 놓을 수 없다. 어른과 아이 사이의 대립과 구별의 선이 급속히 약화된다. 아이는 금방 어른이 되며, “누구보다 똑똑하고, 누구보다 어른스러워” 진다. 부모는 아이들을 사회적 욕망의 배치에 따라, 통념적 성공의 욕망에 따라 바라볼 수 없으며, 아이들 역시 인정욕망을 통해 만들어지는 자아의 동일성(identity)을 구성하지 않는다. 반대로 끊임없는 변이를 요구받으며, 끊임없이 다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
여자친구의 말을 통해 보여지는 음악선생의 가족, 소시민의 전형적인 가족과 주인공의 가족이 대비된다. 조개껍데기를 생일선물로 바치는 건 생각도 할 수 없고, 하인 없이는 살 수 없는 엄마, 아버지의 바램대로 피아니스트로 성공한 오빠, 학교에선 좋은 선생일 지 몰라도 가족에선 똑같이 자신의 욕망을 자식에게 투영하는 가장인 아빠. 이는 또 하나의 몰적인 선분성의 선을 구성하는 선분들이다. 학교에선 유연한 분자적 선을 그리던 음악선생도, 이 가족의 선에 이르면 경직된 선분이 될 뿐이다.
반면 주인공의 가족을 이런 식으로 만드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거기에는 이른바 ‘성공’도 없고, 성공을 바라는 욕망도 없으며, 그것을 받쳐줄 돈도 없기 때문이다. 대신 엄마와 아들 사이의 더없이 강한 이해와 우정이 있고, 고통을 함께 넘어서는 동지로서 남편과 아내 사이의 신뢰와 우정이 있으며, 비록 불만과 충돌이 있지만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깊은 이해와 우정이 있다.
이러한 양상이 잘 드러나는 것은 어머니의 생일파티에서다. 돈은 없지만 애정이 가득한 선물들, 자신들로 인해 뜻하지 않게 눈을 잃은 사람을 초대하는 케
소개글